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구강에서의 멋진 유람 龜江勝遊 짧은 서문을 함께 붙임. 을사년(1665, 현종6) 초여름 기망(旣望 16일)에 내가 구강 침벽정에서 이틀 밤을 묵었다.39) 다음날 강가의 수석 사이를 산보하였는데, 이때 강가의 나무는 여린 잎으로 푸릇푸릇하였고, 언덕에 자라난 풀은 향기로웠으며, 쾌청한 날씨에 따스한 바람이 살랑 불며, 거울처럼 맑은 강물에 어여쁜 물고기가 헤엄치고 있었다. 위로 바라보고 아래로 살펴봄에 물과 내가 서로를 잊은 듯한 즐거움과 세속을 버리고 진세를 초월한 듯한 생각이 일었다. 얼마 뒤, 몇몇 객이 술병과 거문고를 들고 왔다. 강가의 높은 누대에 죽 늘어앉아서 술이 몇 순배 돌고 거문고 몇 곡조 연주하고 나니, 날이 이미 저물었다. 여러 객은 내 마음이 그 즐거움을 즐긴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혹은 고래고래 노래하며 호기를 부리기도 하고, 혹은 술을 다투며 시끄럽게 떠들기도 하였다. 나는 턱을 괴고 바위에 기댄 채 푸른 강을 고개 돌려 바라보니 저녁 바람이 갑자기 불어오는데, 강물결이 온통 은빛 비늘이었다. 강가 모래톱으로 걸어 나가 마침내 시를 지어 그 일을 기록한다.강가 바위에 앉아 기대어향기로운 화초 속에서 술을 마시네강산은 세상 물정 버리고천지는 나의 한가로움 길러주누나안개 낀 물가에서 은빛 붕어 바라보고물가 모래톱에서 옥란을 캐었네거문고 서너 곡조 울리니바람 일어 물결이 번져나가네 【並小序。 乙巳孟夏旣望。 余信宿于龜江枕碧亭。 翊日散步于江磯水石之間。 是時江樹嫰綠。 岸草芬芳。 天氣淸爽。 微風藹和。 澄潭若鏡。 錦鱗游泳。 仰觀俯察。 有物我相忘之樂。 遺世出塵之思矣。 俄有數客携壺與琴而至。 列坐江上高臺。 酒數行琴數曲而日已晡矣。 諸客不知余心之樂其樂。 或放歌叙氣。 或爭酒喧譁。 余支頤倚石。 回望蒼江。 夕風乍動。 萬匣1)銀鱗。 步出汀洲。 仍成韻語而志其事云。】坐倚潭邊石開樽芳草間江山遺世態天地養吾閒烟渚看銀鯽沙汀採玉蘭琴鳴三四曲風起水紋斑 이틀 밤을 묵었다 원문은 '신숙(信宿)'인데, 이틀 밤을 유숙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경(詩經)》 「주송(周頌) 유객(有客)」에 "손님이 하룻밤을 유숙하며 손님이 이틀 밤을 유숙하니 끈을 주어 그 말을 동여매리라.[有客宿宿, 有客信信, 言授之縶, 以縶其馬.]"라고 하였는데, 주희(朱熹)는 이를 두고, 《시경집전(詩經集傳)》에서 "하룻밤을 유숙함을 숙이라 하고, 이틀 밤을 유숙함을 신이라 한다.[一宿曰宿, 再宿曰信.]"라고 하였다. 匣 저본에는 '匣'으로 되어 있으나。 문맥에 근거하여 '匝'으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從姪敬於 誼重配耦。固當偕老。而但人壽短永。亦天定。有非人力所可爲。悲悼之情。踽凉之懷。必不禁念頭往來矣。雲哀來此以後。每朝相對。可喜其執心不懈。而至若工夫。則似欠篤實。意味雖知。其年幼者通患。而每勖以世業。諄諄說道。俟其前頭進趨之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之虛靈知覺。一而已。而道心。原於性命。人心。生於形氣。則是於其發處。始有理氣之分。然則所謂虛靈知覺者。本無分於理氣歟。 天下無獨立之理。而有是理必有是氣。理乘氣載。而二者。固不相分也。蓋人心未生之前。氣順聽命於理。而性命自存也。豈有理氣之相分耶。蓋人心生然後。氣不聽命於理。而理自理氣自氣。性命橫缺矣。然則虛靈知覺。本無理氣之相分也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考府君安谷公行錄 祖考府君。諱範龍。字洪瑞。安谷其號也。我文系出南平。始祖諱多省。諡武成。有諱克謙。諡忠肅。自羅迄麗。名公碩德。蟬聯不絶。爲東方鉅族。勝國末。有諱益漸。見易姓。遂杜門自靖。世稱三憂堂先生。諡忠宣。第二子。諱中誠。亦杜門鞱晦。贈兵判。諡純質。是生諱和。入我朝。都丞旨。贈左贊成。諡景惠。是生諱琰。井邑縣監。贈中樞院事。是生諱尙。行禮曹參議。自丹城移居于湖南綾州。實維我再基之祖也。參議公一傳。而有諱穆。長興庫令。再傳而有諱自修。號勉修齋。以孝友學行。除咸谷兩縣監。鄕章甫。慕其德。俎豆之。勉修先生。寔公十一世祖。高考祖諱盛周。判官。曾祖諱聚東。祖諱演鼎。考諱顯相。學者稱鳳山處士。學問詳洽。質行純備。爲世所推重。妣驪興閔氏。諱道贇女。婦德甚備。公以正廟己亥正月十一日生。生有異質。穎秀聰慧。神彩昭朗。鳳山公甚器愛之。纔學語授字。便能不忘。其入學。不煩口授。能自屬字成讀。讀小學。輒領會愛親敬長之要義。如古人之負米懷橘。嘗糞露禱。與定省溫凊。應唯敬對之節。每爲群兒相語。段段有緖。方其少時。膂力過人。以氣義自許。出行。常以一鐵椎腰之。嘗言自料。擔百十斤。擔日行百里。似可容易耳。雖然。能折節就學。魁梧厚重。絶無剛厲麤率之態。博涉乎洙泗。深賾乎洛閩。凡性理之學。禮樂刑政。敎化之具。無不硏究。旁及乎二十四史。徧授廣記。其於興亡得喪。必求其所以然者。而剖析之。如利刃之破竹節也。乙丑中司馬。初有魏進士文斗。頗有筆名。爲卿宰子姪所牽引。冒入會圍。公未始知。其爲進士請書其藁竟得捷。魏來賀之。公始覺之。因警之曰。向我有知。不須子手爲也。士子志尙。豈可因有力者所牽。而苟行乎。魏大慚。鳳山公。因勉公北遊。期大闡。蓋爲門戶計也。公性至孝。一以承順無違爲心。而居館學十有餘年。益讀已讀。益講未講。尤工於詩書。夏做則課以賦表策。文章發越。名傾全館。嘗參東堂試。竟不得意。顧氣淸而數局。一時士類。咸惜之。以親老時歸寧。柳公輨。洪公秉鼎。諸進士。寄聲曰。應製梧製聯設。而館中虛無人。公之文苑鉅手。此可徵也。每應擧赴京。必預爲之經畫。屬于家。以供親廚而慮其不能繼。又稍存餘資。別擇里人謹信者。使之隨時繼乏焉。父母嘗有疾。公隻身扶護。無可代勞者。朝訪百里醫。夕必還侍者累矣。閔夫人患病。思新鱻。公躬抵砥江。蒼黃沿行。忽有錦鱗魚躍出。持而供之。又鳳山公患甚。思鼈湯。公急趁陰川。臨水彷徨。有巨鼈入苞中。則取而獻之。鄕里異之。以爲靈感。或有以此試叩於公。公艴然曰。尋常魚鼈。誰所難得者。妄以傅會於古之筍鯉。則反爲識者之大嗤笑也。鳳山公每出入。必候諸里門。鳳山公。或行値風雨。公必具雨備疾趨。而獻之。凡有周旋勞苦。惟親意是承。始終如一。乙亥丁內艱。喪葬之節。一遵備要。棺槨衣衾。浮於家力。擗踊哀毁。踰於常例。而一以質實。不爲表襮。不偯之哭。梅蠒之容。有足以動感鄰里者。丙戌遭外艱。亦如之。時公年已不致毁。雖有疾。不敢快嚥酒肉。而助以薑桂之滋而已。嘗患先妣。兆或不寧。試取堪輿術。攷閱而猶不敢自信。又旁求陰陽客。百般參互。始得占穴。考妣合襄。邱木手植。以識之歎。曰雖欲孝親不在。且短碣未之竪。恐先徽遂泯泯焉。公詞翰鳴世。而內重之實。知之者。蓋或鮮矣。自失怙恃。頓沒進取之意。卽廢擧業。自矢隱淪。專心於問學之功。着力於彛倫之實。蓋未嘗無資於家庭擩染。而燕居講究。自得之味。又不可誣也。有詩曰。貴如可得人誰賤。心不能欺理自明。又箴以自誡曰。靜室獨坐。心爲嚴師。氣溢則驕。禍生於忽。酒是狂藥。毋多酌。口是禍門毋多言。忠孝至路人稱譽。暴怒作家人亦疏。躬自厚而薄責於人。又曰士生於世。不以忠孝爲心。則餘無足觀也。迹公平生。要皆不乎此數段語也。公平日。以禮自檢。冠服必整齊。晨謁家廟。朔望省先塋。厚於享祀。薄於自奉。不喜紛華。於世味泊如也。未嘗爲治生長尺寸計。晩暮家益旁落。每秋夏之交。甁儲告罄。饘粥不厭。有一雇奴役苦食菲。意欲謝去。及見公對盤。怡然反。自責而服役云。其安於居貧如此。自校村搬移寒泉澤村牟山諸處。牟山今居也。始外堂幾頹敝。公曰外內之居。不可不辨。卽理而完之。躬自塗墍。與童僕同其苦。堂制湫溢。只容膝而止。褒忠祠在村右近麓。院屋或有滲漏未葺者。天且雨。適役丁不家。率一二赤脚。戴苫蓋以隨之。躬親塡補。其勤儉多類此。嘗重修校宮。不煩民役。以故告功遲緩。鄕有一人。納優資助役。公奇之。言于官。特許其人爲座首行。公七日而止。蓋以其地與望。俱不稱其任。故暫從權以償功也。其人感而謝之。又有餽公輒正色却之。及易簀後。有以斂棺等物。致賻而哭之哀者。乃昔日座首也。公嘗侍親癠歲餘。畧涉刀圭之術。每里閈有疾。輒試以單方。頗有所濟。鄰有喪。不計常賤。必造慰撫。或有窮蔀將頹。而力未遑者。卽勸鄰保助修之。俾無蕩析。府東有巨川橋梁。歲一再修。東一坊孱丁。殆不能堪。公爲之諗諸官。使府人半其役。永爲完式。坊人至今誦之。人或有以禮致饋食。則斯受之。而至若錢貨之餽。一切牢却。曰義利公私之際。不可苟也。嘗論壬丙事蹟歎曰。使朝鮮君民。至有今日。皆皇明賜也。丙子城下之恥。可忍哉。使臣子秉彛之性。不昧乎尊攘大義。而至於數百載之久。窮荒之野。庶人屋樑。例書崇禎字者。此非斥和諸公扶植之力哉。因慷慨累歔不已。公御家。寬溫簡重。撫臧獲。先恩後威。惇宗族。禮賓客。處於鄕黨。信實相與。不以存亡而易心於人。少許可遇賞心人。則款款傾倒。見人之側媚不正者。不忍正視。以故。忤於時。然處之泰然。不以利害槪于心。蓋其高文至行。足以模範。當使展布所蘊。必有大可觀者。而遭世不耦。懷寶遯晦。若將終身焉。辛卯偶嬰疾。眞元漸澌。越三年。純廟癸巳正月十八日。考終于正寢。享年五十五。葬于州西飛鳳山先塋下負壬之原。近遠章甫會葬者。百餘人。邑宰李公廣度。爲之庀幕。持祭文以哀之。道儒金公光欽。進士羅公時永。進士崔公煥龍。聯狀撫實。稱揚孝思。屢告營邑。未蒙成命。士論欠之。配昌寧曺氏。諱允復女。先公五年而終。戊午正月十九日。有女士行。合窆祔右。以土驗不如右故耳。唯有三女。以族兄知事公。諱永國第三子鳳休入系。通政大夫。敦寧府都正。蓋公之求嗣。不于戚而必于疏者。心知都正之有異稟。而黙定久矣。將屬纊。始遺命。祖妣曺氏。以其命擧哀。奔哭于知事公之門。三日三夜。絶水醬泣懇。乃得爲嗣。以此。人多公之識鑑云。女長李復圭。次奇東爀。季朴東英。都正擧四男三女。男璟煥進煥達煥奎煥。女崔相翼閔泳祚李馨會。璟煥男載弘。女朴琬柱吳進洙。進煥男載廷。女林德圭尹道炳。達煥男載謨載尙。女幼。奎煥三男一女。男載恒載昌載五。曾玄以下不盡錄。嗚乎。公窀穸之掩。蓋六十年于玆矣。平生著述。盈箱累牘。再厄回祿。存者無幾。謹撮家庭所聞。與夫鄕里耆舊之所傳誦。蒐得巾衍中一一文帖。詮述如右。以俟立言君子之擇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참동계(參同契)》271)를 읽었으나 그 오묘한 이치를 궁구하지 못하였다. 국화를 심다가 감회를 일으키다.【나는 평소 병이 많아 약물과 수련하는 방법에 대해 깊이 살피지 않음이 없었다. 일찍이 위백양(魏伯陽)이 지은 《참동계》의 비법을 들었으나 궁벽한 곳에서는 구할 수가 없었다. 무신년(1668, 45세) 연간에 남운로(南雲路)272) 영공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가 이 일을 언급하였는데, 남공이 빌려 주기를 허락하였다. 기유년(1669, 46세) 봄 천리 먼 곳에 전해주었기에 한 해 남짓 읽어 보았으나 그 오묘한 이치를 궁구하지 못하였다. 지금 국화를 심다가 문득 생각이 미쳐 그 뜻을 부친다.】 閱參同契。莫究其妙。仍種菊起感。【余平生多病。凡藥餌修鍊之方。無不窮考。嘗聞魏伯陽參同契之術。而僻地無可求。戊申年間。邂逅南雲路令公話及之。南許以㭒2)倩。己酉春。千里遠傳。披閱歲餘。莫究其妙。今仍種菊而忽念及焉。以寓其意也云。】 구전(九轉)의 금단(金丹)273) 만드는 방법 전해지지 않으니솥 안의 용호(龍虎) 끝내 달이기 어렵네274)꽃잎 먹으면서 차라리 도 팽택(陶彭澤)을 배우겠으니동쪽 울타리에 술 취해 누우니 이 또한 신선이네275) 九轉金丹術未傳鼎中龍虎竟難煎啜英寧學陶彭澤醉臥東籬亦是仙 참동계(參同契) 한(漢)나라 위백양(魏伯陽)이 지은 책으로, 《주역(周易)》 효사(爻辭)에 맞추어 연단(鍊丹)하는 방법을 논하였다. 남운로(南雲路) 남구만(南九萬, 1629~1711)을 가리킨다. 운로(雲路)는 그의 자. 본관은 의령(宜寧), 호는 약천(藥泉)이다. 1656년 과거에 급제하여 교리, 대사성, 함경도 관찰사, 형조 판서 등을 거치고 삼정승을 역임하였다. 《韓國文集叢刊解題 4 藥泉集》 구전(九轉)의 금단(金丹) 도가(道家)에서 제조하는 장생불사약(長生不死藥)으로, 아홉 번의 단계를 거쳐야 완성된다고 한다. 솥……어렵네 연단술을 익히기 어렵다는 말이다. '솥'은 도가(道家)에서 단약(丹藥)을 제련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며, '용호(龍虎)'는 도가에서 정기(精氣)를 이르는 말이다. 《주자어류(朱子語類)》 권125 〈참동계(參同契)〉에, "감과 리, 수와 화, 용과 호, 납과 수은 따위는 다만 그 이름을 바꿔 부르는 것일 뿐이요, 그 실제는 다만 정과 기 두 가지일 뿐이다. 정은 수와 감, 용과 수은이고, 기는 화와 리, 호와 납이다.[坎離水火龍虎鈆汞之屬 只是互換其名 其實只是精氣二者而已 精 水也 坎也 龍也 汞也 氣 火也 離也 虎也 鉛也]"라 하였다. 꽃잎……신선이네 도 팽택(陶彭澤)은 팽택 현령(彭澤縣令)을 지냈던 도연명(陶淵明)으로, 그는 국화를 매우 좋아하였다. 그의 〈잡시(雜詩)〉에, "동쪽 울타리 아래에서 국화를 따고, 유유히 남산을 바라보노라.[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라 하였다. 㭒 오자로 추정되나, 어떤 글자의 오자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雜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四勿 視聽言動。日用維近。非禮則惑。匪誠則紊。斯須不愼。天人易分。程旣有箴。佩服厥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居遊 愼居者。定性之資。嬉遊者。悖德之基。遊居有常。德性維思。循蹈規矩。顧諟明命。事物來應。心虛如鏡。戰戰兢兢。傍若臨聖。欽哉勿墜。是身之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丁亥重陽。始設詠歸會。入夜唱韻。 邀我群賢一榻開。今宵更進月中盃。黃花佳節金蘭會。誰識曾從瑞石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憶文君啓元【頌奎】寄詩敘懷。 悠然懷想入淸晨。黃鶴山前有故人。臘雪初消梅欲放。尋芳何日更同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松石亭韻 綾陽山水地。梁子擅名邱。疎葉琴生韻。奇巖玉載頭。孤臺心月古。碧澗光風浮。到此多悲感。先人手墨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艾山同題 萬丈頭流高。山人意亦豪。幾懷葭露水。惜別落花皋。怪底人間。事偶然夢裏遭。詠歸相見夕。樽酒樂陶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姪益見 頃得斗三書云。鰲山雖在病昏中。樂聞鄙書之傍告。此非愛書也。悅花樹之情話也。感且悵然。只恨前便之不能修一字書。仰副樂聞之意也。古詩云。多病故人踈。況在懿親最密之地。而若是其疎耶。敢奉一幅之問。以替躬候之儀。雖涉脫略。此非猶賢於已者乎。謹詢新凉漸緊。攝養有方。漸臻康復否。仰誦秋風病欲蘇之句。而不任祈祝之至。惟加餐自愛。以副遠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二同會所 日前。順集兄見過。聞以今日修二同會案云。果是吾鄕盛擧也。曷不仰賀。又聞以賤名。將穢於案末。仰認不遐。感祝萬萬。然顧此至愚極陋。不足比數於人者。未嘗一日拜謁於先生之門。況是今日。罪蟄人事。敢此率然入名。豈不未安乎。伏願僉君子。諒此情景如何。更圖異日無故時節。拜謁先生。歸來而當別稟請。以卒承僉君子不遐之盛意。伏計耳。餘伏冀僉尊體候。循序保重。松下集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시(오언율시) 詩(五言律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여름 구름이 매우 기이하였는데 누군가가 전한 시가 신운40)이 있으므로 마침내 흉내 내어41) 짓다 【평한다. "구름이 변하여 산이 되고 산이 변하여 눈이 되며, 눈이 변하여 아름다운 구슬이 되고 아름다운 구슬이 변하여 저물녘 바람이 되는 것이 또한 기이하다."】 夏雲奇甚 有人傳有神韻 遂效嚬而成【評曰雲變爲山。 山變爲雪。 雪變爲瓊璧。 瓊璧變爲晩風。 亦奇也。】 인간 세상은 무더운 여름 한창인데하늘 위엔 구름이 봉우리가 되었네42)만 개 구슬 푸른 골짜기를 감추고43)천 개 구슬 푸른 소나무를 숨겼네암벽 가엔 절이 물론 있을 것인데먼 곳에 어찌 종소리 들리리오잠깐 동안 환상에서 돌아왔더니너른 허공 저물녘 바람이 씻어 놓았네 人間大夏中天上雪成峯萬壁藏靑壑千瓊沒翠松巖邊應有寺地遠豈聞鍾俄頃歸虛幻長空掃晩風 신운(神韻) 예술 작품 속에 표현된 작가의 정신과 운치를 말한다. 흉내 내어 원문은 '效嚬'인데, 자신의 재주는 헤아리지 않고 억지로 남을 흉내 내려고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여기에서는 자기가 지은 시에 대한 겸사로 쓰였다. 춘추 시대 월(越)나라의 미인 서시(西施)가 심장병을 앓으면서 눈썹을 찡그리자[效嚬], 찡그린 모습도 매우 아름답게 보였으므로, 이웃의 추녀가 그의 찡그린 모습을 흉내 냈더니, 마을 사람들이 모두 그녀를 피해 버리고 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天運》 雪 저본에는 '雪'로 되어 있으나, 문맥에 근거하여 '雲'으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壁 저본에는 '壁'으로 되어 있으나, 문맥에 근거하여 '璧'으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종형 최운로50)에 대한 만사 挽崔從兄雲路 이종사촌 간의 형과 아우는서로 무척 걱정하는 마음51) 돈독하다네자혜로운 심성을 하늘로부터 품부 받아서온화한 성품을 저절로 이루었네앞으로 장수52)를 누리리라 기대하였으니어찌 중성53)을 닫을 줄을 생각이나 했으리오남은 경사로 지란과 옥수를 남겼으니54)가업 잘 이어서 훗날 영예롭게 되겠지55) 兩姨兄及弟相篤孔懷情慈惠由天稟淳和任自成將期享大耋豈意掩重城餘慶留蘭玉克家擬後榮 최운로(崔雲路) 누구인지 미상(未詳)이다. 무척 걱정하는 마음 공회(孔懷)는 형제간에 서로를 걱정하는 마음을 가리킨다. 《시경》 「소아(小雅) 상체(常棣)」에 "사람이 죽어 초상을 치르는 두려움에 형제간에 무척 걱정하며, 언덕과 습지에 쌓인 시신을 형제가 찾아 나서네.[死喪之威, 兄弟孔懷. 原隰裒矣, 兄弟求矣.]"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장수 원문은 '大耋'인데, 해가 기울듯 인생이 얼마 남지 않은 노년기로, 흔히 80세를 이른다. 《주역》 「이괘(離卦) 구삼(九三)」에 "서산에 해가 기우는 형상이니, 질장구 치고 노래 부르지 않는다면 이는 노년을 한탄함이니, 흉하도다.[日昃之離, 不鼓缶而歌, 則大耋之嗟, 凶.]"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중성(重城) 무덤을 가리키는 말인 듯하다. 남은……남겼으니 원문의 '餘慶'은 선(善)을 쌓은 음덕으로 훌륭한 자손이 많을 것임을 뜻하는 말이다. 《주역(周易)》 「곤괘(坤卦) 문언(文言)」에 "적선한 집안에는 반드시 남은 경사가 있다.[積善之家 必有餘慶]"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원문의 '난옥(蘭玉)'은 '지란옥수(芝蘭玉樹)'의 준말로, 훌륭한 자손을 뜻한다. 진(晉)나라 때 큰 문벌을 이루었던 사안(謝安)이 자질(子姪)들에게 "자제들이 또한 인사와 무슨 상관이 있기에 어찌하여 사람들은 자기 자제가 출중하기를 바라는가?[子弟亦何豫人事, 而正欲使其佳?]"하고 묻자, 조카 사현(謝玄)이 "비유하자면 마치 지란(芝蘭)과 옥수(玉樹)가 자기 집 뜰에 자라기를 바라는 것과 같습니다.[譬如芝蘭玉樹, 欲使其生於庭階耳.]"라고 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晉書 卷79 謝安列傳》 가업……되겠지 극가자(克家子)라고도 하는데, 조상의 사업과 집안일을 잘 계승할 수 있는 훌륭한 자제를 지칭하는바, 《주역》 「몽괘(蒙卦) 구이(九二)」에 "구이는 몽매함을 포용해주면 길하고 부인의 말을 받아들이면 길할 것이니, 자식이 집안일을 잘하도다.[九二, 包蒙吉, 納婦吉, 子克家.]"라고 한 데에서 나온 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理氣者。天地之公也。理無不善而氣有偏正。以若天地之公。而猶有所偏。何也。 蓋人者。五常全具。故氣以五常成其形。物者。五常各具其一。故氣以各一成其形。此人物五常之所不同。而氣豈無偏正之同異乎。然此。以氣之流行發用處言矣。蓋萬物未形之原頭處。則氣是公。公無偏之物。而本無彼偏此正之同異也。然則其氣之公。以原頭處言。其氣之偏者。以流行邊說也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明德。先儒或有以理言。或有以氣言。未知據何而謂之理。據何而謂之氣。且孰爲長。孰爲短。 明德。以心字看。心卽氣之精爽也。然心該眞妄。明德。只是無妄之本體。故虛靈以具應事也。而先儒所謂理者。以虛靈故也。所謂氣者。以具理故也。然似有未會處。若專以理言。則難是具理。專以氣言。則難是無妄。然則先儒所謂。理與氣者。皆謂氣之精爽而言也。氣之精爽。故虛靈以具應事也。然則不論先儒所云。理與氣。孰長孰短之所言。而但以氣之精爽看。似可合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