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庚寅開歲之五日。嶠南丈人金山石同白水過余。謂將遊頭流。戒余聯袂。余亦經營未遂。遂欣然許之而作。 願遊我亦幾年秋。春入名山興轉悠。二子鼇西同曳杖。一行鴨綠去登舟。屠蘇餘釀須頻酌。輿地全勝說不休。靑鶴洞深何處在。雲峰萬疊是頭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徐秋帆 百年願遂識荊州。何幸今霄此地遊。雪白相尋添皓月。夜寒無寐似凉秋。梅信品題登畵肆。春光偏到入書樓。不向城東馳逐去。箇中剩是足風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姪婦高氏文 我家寒微。殆沒規矩。自汝入門。庶望贊助。運何騫滯。賢弟夭逝。心摧骨痛。絶望于世。惟汝貞靜。閨範周備。備經艱難。少不見色。動止安詳。人不測度。宗族隣里。咸曰賢婦。下至婢僕。众口一辭。賢而不壽。此豈天理。嬰疾數歲。竟至不起。穉女姊男。情尤愴惻。爾舅高義。謂庇後祿。奈其門衰。遽至此極。哭訣柩前。一慟腸絶。嗚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밭 개구리가 노니는 모습을 보고 짓다 見田蛙游弄有作 구슬 궁과 조개 대궐311)은 용왕(龍王)의 전각이요푸른 물과 이끼는 올챙이의 집이라네일삼는 바 없는 참된 한가로움을 말한다면용궁이 하나의 개구리 집만 못할 것이네 珠宮貝闕龍王殿綠水靑苔蛙子廬若道眞閒無所事龍宮不如一蛙居 구슬……대궐 원문은 '주궁패궐(珠宮貝闕)'이다. 하백(河伯)이 사는 용궁을 가리키는 말이다. 《초사(楚辭)》 〈구가(九歌) 하백(河伯)〉에, "물고기 비늘 집은 용의 저택이요, 붉은 조개 대궐은 붉은 궁이로다.[魚鱗屋兮龍堂 紫貝闕兮朱宮]"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우연히 읊다 偶吟 뭇별들 북두성(北斗星)으로 함께 돌아가고269)천 송이의 꽃 끝내 두세 열매를 맺었네만약 모래와 자갈에서 금옥(金玉)을 찾는다면밝은 거울을 먼저 충분히 닦아야 할 것이네 衆宿共歸三四斗千花終結兩三顆若從沙礫尋金玉明鏡先須十分磨 뭇별들……돌아가고 뭇별들이 북두성을 중심으로 돈다는 뜻이다. 《논어》 〈위정(爲政)〉의 "정사를 덕으로 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북두성이 제자리에 머물러 있으면 별들이 그를 향하는 것과 같다.[爲政以德 譬如北辰居其所 而衆星共之]"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밤에 앉아 夜坐 선방(禪房)의 창가에서 한밤중에 꿈에서 막 깨니은하수 서쪽으로 흘러 물소리 나는 듯하네그저 작은 난간에 기댐에 산 적막하니뜨락 가득 밝은 달 비추고 바위샘 소리 울리네 禪窓午夜夢初醒星漢西流欲水聲徒倚小軒山寂寂滿庭明月石泉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잠깬 뒤 覺後 꿈속에서의 몸 터럭 하나처럼 가벼우니구만 리 긴 하늘을 자유롭게 다니네잠깨고 보니 세속에 있는 8척의 몸저녁 해 밝은 서창(西窓)에 홀로 눕네 夢中身似一毛輕九萬長天自在行覺來八尺塵間骨獨臥西窓殘日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앞 들의 농부가 종일 밭 갈고 김매고서 소를 풀어놓다 前郊農夫。盡日耕耨解牛。 한나절 부지런히 열 이랑의 밭을 가니쟁기 풀어 풀 깊은 두렁에 놓아 주네농가(農家)의 공적 저 소가 으뜸이니들판 샘물 옆에서 한가로이 잠잔다고 야단치지 말라 半日勤耕十畝田解犂旋放草深阡農家功業渠爲首不伐閒眠傍野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箕初 自夫送別。神思常往來於堠影之間。而況又風氣漸寒。爲慮不細。忽焉僕夫先期而來。告以到光州沽馬趲程。而飮啖稍進。病已退却。是以慮稍弛釋。未知當日果能返省。而不甚勞攘耶。達依劣。而但以大小第。憂故支離。爲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伯虞【光佶】 頓首。久逋慰。更有何言。隙駟迅奔。祥期奄屬。哀慕悼怛。想不以出系有間。而但禮制之拘。冠裳之改。其在一本。不得不爾。則痛迫尤復何如。仰惟雪寒。春丈筋力。不瑕有損。而定省支安。仰愫區區。達年來慘變。尙忍言哉。只欲溘然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單就一心字。單就一性字。而有體用之可言乎。 蓋心者。具理應事。而有未發已發處。具理未發。便是體。應事已發便是用也。是則可言。若性者。固一理而已。固不可體用言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仲三【光度】 下山有日。寄齋課讀。今復如何。山則恬靜。齋則煩聒。恬靜則宜讀。煩聒則妨讀。然當於其間。處之有道。但執心以端莊靜一。則彼外誘之雜冗。不足以動吾之中。而主翁。常惺惺然。凝定於聖賢立言垂訓之間矣。且讀書之法。勿較字行多寡。當隨力定式。逐日立課。決不放過然後。可以收效。幸勉勉從事。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弟錫一 六月書。果未承見。而又此書存。尤感勤摯。況其辭義懇至。志意堅固。足見其進善不已。而至若靜坐看書。日與古聖賢相對等語。尤覺灑落。然第將其親切之訓。就吾日用間實下工夫。方是有得。若只悠悠似做不做。而於自己分上。無用力處。則何益於事。須熟讀深思。反復玩味。就自己身心上。凝定收斂。存養力行。循循有序。無有或遺。積累多後。又就有道。而證其所得。訂其差誤。則何患乎學之不成也。顧此耄廢。自警不得。其何能警人爲哉。只自恧縮而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從姪興瑞 洛中事。旣是立宗。而又有保宗之擧。則豈可使之持單帖巡境乎。非徒欠重宗之義。顧不免人譏笑也。旣有修閣排物。則又發論此一款事。無拘多寡。畫給幾許。亦豈非正當道理也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從姪武一【載豊】 承諦。美愼彌留。雖曰老人例症。是元氣澌削。而痰爲之祟。或補元或消痰。如是用藥。趁至夬復是企。女行治送。雖日氣平和。凡具易致矛盾。今天雨又如此。想多虞憂之端矣。代悶非細所騎仲言之非不勤勅。而馬今到寶城地爲數日。姑未還鬛。夫汗之失信與否。亦未可預度。若今夕來到。則當明朝送去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以心性分體用。則何者爲體。何者爲用。 蓋性者。實體準則。而只是仁義禮智之理也。心者。主宰妙用。而具仁義禮智之理也。然則心性固其一也。若以體用言。則心性相分。以此看之。則若不可言何體何用。若以性爲體。則雖若可。而以心爲用。則心必爲氣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張子曰心統性情。朱子曰心者性情之主。統字主字。同乎異乎。 此統與主字。非如統兵之統。主國之主。而只就敷施發用上說也。然則是統字主字。皆主宰妙用之總名也。而雖文不同語不同。義實同歸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梁汝正文 竊聞。希菴梁君汝正。輀車祖載。將就窀穸。路由鄙近。情當往助執紼。而宿疾愈肆。跬步正艱。謹遣男載畿。奉酒饌脯果。往奠柩前。哭而送之曰。嗚乎哀哉。汝正而至於此耶。修善而福。餉福而壽。理所固當。纔六十而遽然耶。抑亦有以福不可餉盡。而留待後昆耶。如夢如疑。悲淚莫禁。樂易之姿。純篤之行。好學親仁之心。追遠闡幽之誠。修御之道。處事接物之理。類難殫言。矧玆路奠。不敢張皇。靈其有知。尙識玆意。嗚乎哀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崔甥伯訓文 嗚乎哀哉。維君才德。人鮮駕追。旣精纂述。又深經義。稽驗今古。懷抱經綸。時乎不遇。終老林樊。中間移宅。居不相遠。源源來往。講禮論文。少我三歲。工則先進。誼雖叔姪。交實金蘭。同守東岡。謂終餘年。遽懷遺阡。言旋言歸。屢舍跋涉。亦不容易。所以逢着。漸覺稀少。中宵相思。徒勞夢寐。今焉已矣。永隔千古。緘詞寄酹。悲不自裁。精爽如在。汔識余意。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