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妣周甲日有感 人子天長地久恨。且當今日倍傷心。傷心何處音容得。世事東流滄海深。壽星若使照南陔。此日吾門慶宴開。親戚欣欣談笑地。一雙綵服舞庭來。曷有極兮于彼蒼。人間懸絶白雲鄕。空山寂寂多風雨。可奈春天秋月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人間七夕問 銀河路隔水東西。烏鵲危橋歲一奚。何似人間行樂處。翡衾䲶枕長提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天上七夕答 莫道人間行樂好。風燈塵夢易爲老。不如天上稀相見。千萬年來恒久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到天安三街以寒威留宿 一陽南至北方天。適此日寒馬不前。投宿旅窓無與語。遠思家信有誰傳。風聲終夜愁蓽戶。雪色幾時換山川。寄語僕夫須自護。漢江消息已永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五七言 秋風凉。秋色長。時物多登熟。病人己自强。回憶往時正苦熱。相思今日足難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元小會 一遊遂卜上元時。搖蕩春光定不遲。嘲我年來嗜濁酒。共君今日話淸詩。野梅惻惻姑無信。庭草生生好有期。不欲別尋方外樂。苦吟此地皺愁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朴贊鳳韻 閒窓夢入老松陰。多謝吾人思我心。詩到吟時春有信。酒因何處日謀斟。但知分內天公厚。莫歎塵中世昧深。回首紅塵長夢客。不如樵採臥山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歸亭講罷。賦詩一絶。 此亭無恙尙文明。今日喜聞絃誦聲。山水富春猶古否。使人遐想子陵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月波【時林】鄭艾山兩丈。同題。 詠亭客到雨初晴。星月晶晶夜色。淸旅榻吟秋非宋玉。想應只有故園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歸亭原韻 此亭賴有瑞山靈。風浴歸來志氣淸。泗上春風噓不盡。願同鼓瑟鏗餘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鄭艾山。掃庭韻 曉此直須在彼明。柏翁笑對一庭淸。願把程朱門下箒。心塵凈掃喚吾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奇松沙 曩也。士一便。略付候書登照。未歲內候問。謂復漠然。今此新兄。百里冒寒。往參于老先生奉諱之日。其誠力可知也。顧此罪蟄者。當替送家兒。陪從以去。而此兒近有滯症。未能遣去。只此付候。悚仄。伏惟歲色將翻。德體候。百福心制。弟當此歲除。百感倍至。而又添賤疚。頹枕圉圉。苦悶奈何。講室事。前已略告。今不必更煩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奇松沙 春意漸暢。道德體候。履元崇康。搬移可謂得計矣。一則澹軒密邇。便於講學。二則不見石壕吏。便於居生。三則某水某邱。可以寓終身之慕。爲之慰慰。此邊講室。一役三年。雖云粗了。但財力已盡。衆意懈弛。凡百艱狀。更何言哉。伏望今春講會。尊駕枉臨。爲之立定䂓模。又以鼓作此間朋友懶散之習。使之有嚴憚懲革如何。企仰企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奇松沙 未審天氣淸和。德候崇康。搬寓之餘。種種土木之役。今皆了畢。石役更設否。向便怱劇。欠闕一候。餘悵曷已。春講旣違枉屈。更於秋會。亦不至爲奉虛望誠否。嗚乎。山頹樑折。日月幾何。易名之典。尙爾未遑。其所齎欝。不惟及門之徒而己。月波日新兩丈。奮然倡論。以通喩嶺湖列邑之意。方今遣人。豈不欽歎。大抵今日之擧。嗚乎其晩也。雖以時象如此。而亦何可漫待他日耶。更祝爲道保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梁順集【在海】 靑城返旆後。未能趍走相省。以慰跋涉之勞。此何情理耶。期擬未果。懶習可笞。自顧賤狀。夤緣於大人門庭。猥承陳牘之勞者。爲幾許矣。矧復鄙先揄揚之事。實賴指引周章。得遂生平之債。種種厚眷。感誦鑑佩。俾也可忘。適因玉見賁顧。叩悉動靜。與兄對討娓娓。相去一間耳。芳隣相接。麗澤互滋。其風味可想。謹詢庚熱孔酷。旅候萬休。溫習舊業。新味津津。仰慰且溯。弟頹塌劣狀。忨愒日月。所謂空腹高心。不濟事者此也。從容握叙。凉生可圖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吳永之【長燮】 阻懷不須言。日候稍寒。謹詢調中體候。更若何。實係願聞。心制弟慈候。欠寧。身家亦以感冒數數叫囈。自憐奈何。文見。近以眼眚。至於廢課。見甚悶然。初料幸忝諸兄之末。立得小小課程。讀得小小卷帙。豈知同病相隣。而虛費光陰於二竪子場中耶。浩嘆亡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吳永之 杜門讀書。吾兄今日之計。可謂得矣。竊念堂上平日。好聞讀書之聲。而有賢子弟。暫不離側。日夜咿唔。可以慰悅老境涔寂之味。此亦養志之一助也。必須篤志力行。竟爲成德之儒。則其爲養志也。不亦大哉。弟奉親讀書。昔何日矣。風樹餘生。只切靡逮之恨而已。顧兄視爲前車之鑑。益加勉焉。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梁奎煥 南服眞儒。間世偉人。穎悟秀爽。溫恭慈仁。切磋琢磨。深䆳精密。戰兢臨履。平正篤實。光輝發越。玉潔氷淸。氣像莊重。岳峙山停。顧余淺劣。交自弱冠。情如膠漆。契合金蘭。花辰月夕。乘興相訪。詞場酒榻。致書相請。甲乙以後。變亂無窮。前程夷險。所恃惟公。如何今日。遽棄友朋。彷徨中途。如瞽失相。詠歸一亭。巋然獨存。斯文無祿。餘生誰因。懷之悲矣。曷其有極。天長地久。萬古今夕。嗚呼哀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朴奎鎭 嗚呼。溫良愷悌。天姿近道。追慕蘆沙先生。而與艾山日新松沙遊從。以附私淑之義。追仰檗溪先生。而與勉庵龍溪往復。以聞餘論之旨。其門路正矣。淵源深矣。甲午之擾潔身而高蹈者。誰如吾公。丙申之變。舍生而守義者。誰如吾公。廉潔之行。剛直之節。視之古人。庶無愧焉。天胡不佑。仁人未壽。詠亭空樑。落月隱映。松軒高榻。悲風蕭索。余以無似。從逐有年。黌堂秋月。講社春風。習禮講義。風浴詠歸。一生會合。百年爲期。今焉已矣。吾將安依。靈車旣駕。千古在郞。綴文述哀。敢此致侑。不昧者存。庶幾降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具翼謨 嗚呼哀哉。與兄相知。已自束髮。志托郢斤。聲同牙琴。綢繆繾綣。相期日深。乙未丙申。時象駭慘。泰山鴻毛。矢死同歸。旣而風靜。掃塾相聚。樽爼秩秩。絃誦如故。誰知斯文之厄。遽爾今日耶。悠悠蒼天。曷不慦遺。凶音晩至。不能奔哭。及卜靑烏。又未執紼。千古痛恨。曷其道哉。綴文寓哀。庶幾格思。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