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부들부채를 읊다 詠蒲扇 당나라 황제의 대궐 안 바람은 필요치 않으니206)원규(元規)의 더러운 티끌을 스스로 뒤집어쓰지 않네207)여름 무더위가 어찌 두려우랴208)영숙(永叔)의 아름다운 작품 부질없이 공교롭네209)안회(顔回)는 팔베개 하며 살아가니 그대가 쓸모 있으며210)광문(廣文)은 자리가 없으니 네가 공을 이룰 것이네211)요(堯) 임금 뜰에서 혹 평생의 뜻 이룬다면아첨하는 이 가리키고 어진 이 부르는 일212) 너와 내가 같으리 不必唐宗閣裏風元規自未汚塵蒙趙盾威虐寧知畏永叔佳篇謾見工回也曲肱君有用廣文無席爾成功堯庭倘遂平生志指佞招賢汝我同 당나라……않으니 당나라 황실의 귀한 부채 바람은 필요하지 않다는 말이다. 당나라 때는 황제가 대전(大殿)에 오를 적에 양쪽에서 봉황 깃털 부채로 보이지 않게 가렸다가 천자가 좌정(坐定)한 뒤에 부채를 다시 거두는 의식이 있었다고 한다. 《唐會要 朔望朝參》 또 황제 양쪽에서 156본(本)의 우선(羽扇)을 들고 있었다고 하는데, 두보(杜甫)의 시에 "기린을 새긴 향로에선 향연(香煙)이 위로 올라가고, 공작의 우선(羽扇) 열렸다가 부채 그림자 돌아가네.[麒麟不動爐煙上 孔雀徐開扇影還]"라 읊은 일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6 至日遣興》 원규(元規)의……않네 '원규(元規)'는 동진(東晉) 때의 권신(權臣) 유량(庾亮)의 자다. 유량은 국구(國舅)의 신분으로 세 조정에서 잇달아 벼슬하여 권세가 막중하였으므로 사람들이 대부분 그를 붙좇았다. 그러나 왕도(王導)는 이를 불만스럽게 여겨, 유량이 있는 서쪽에서 바람이 불어 티끌이 일자 문득 부채를 들어 서풍을 막으면서 "원규의 티끌이 사람을 더럽힌다.[元規塵汚人]"라 하였다. 《晉書 卷65 王導列傳》 여름 무더위가 어찌 두려우랴 사람을 두렵게 하는 여름날의 태양이라는 말이다. 춘추 시대 노(潞)나라의 대부 풍서(豊舒)가 진(晉)나라 가계(賈季)에게 "진(晉)나라의 대부 조순(趙盾)과 조최(趙衰) 중에 누가 더 어진가?"라고 묻자, 가계가 "조최는 겨울날의 태양이요, 조순은 여름날의 태양이다.[趙衰冬日之日也 趙盾夏日之日也]"라고 대답하였는데, 그 주(註)에 "겨울 햇빛은 사랑할 만하고, 여름 햇빛은 사람을 두렵게 한다.[冬日可愛 夏日可畏]"라고 하였다. 《春秋左氏傳 文公 7年》 영숙(永叔)의……공교롭네 '영숙(永叔)'은 송나라의 문인 구양수(歐陽脩, 1007~1072)를 가리킨다. 그가 지은 〈증승창부(憎蒼蠅賦)〉에, "쓸데없이 하인과 아이종에게 큰 부채를 부쳐 바람을 내기도 하지만 모두 고개를 떨구고 팔이 빠지며 매양 곧장 잠들어 풀썩 쓰러진다오.[徒使蒼頭丫髻 巨扇揮颺 咸頭垂而腕脫 每立寐而顚僵]"라 한 대목이 보인다. 안회(顔回)는……있으며 '안회(顔回)'는 공자의 제자로 가난하였음에도 도(道)를 즐기며 살아간 인물이다. '팔베개 하며 살아간다'는 말은 《논어》 〈술이(述而)〉에, "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시며 팔을 굽혀 베개를 삼더라도 낙이 또한 그 속에 들어 있다.[飯疏食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라 한 데서 취해 온 표현이다. 안회와 같이 안분자족하는 삶에 있어 부채가 쓸모 있음을 말한 것이다. 광문(廣文)은……것이네 '광문(廣文)'은 당 현종(唐玄宗) 때 광문관 박사(廣文館博士)를 지낸 정건(鄭虔)을 가리킨다. 《新唐書 卷202 鄭虔列傳》 그는 몹시 가난하였으므로, 두보(杜甫)가 일찍이 그에게 〈희간정광문(戱簡鄭廣文)〉이라는 시를 지어주면서 "재주 명성은 삼십 년을 날렸으되, 빈객은 추워도 앉을 털방석이 없네.[才名三十年 坐客寒無氈]"라 읊은 바 있다. 부들부채가 정건에게 주어진다면 그것이 방석의 역할이라도 할 수 있을 것임을 말한 것이다. 아첨하는……일 요(堯) 임금 뜰에는 '지영초(指侫草)'라는 이름의 풀이 자랐는데, 아첨하는 사람이 들어오면 반드시 그를 가리켰다고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鄭雲藍【鳳鉉】 雲山一別幾多年。況復夜臺隔重泉。竝世淸樽皆已矣。同門信筆忽於焉。才高難保過之後。愚下無知及也前。頗怪草廬差跬步。永令未死起唏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來蘇寺 巖陰乍與澗曛逢。隱隱峨峨第一峯。峯頭適遇生秋月。風便遙聞報夕鍾。缺鉢尙能兼味供。小寮猶得數人容。蓬萊已到惟看佛。借問喬松何處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步鄭公韻 萬丈峨丫拔石根。松杉挾路手堪捫。將軍留蹟方爲寺。詞客題詩尙有門。華表悅聞歸柱鶴。嵩山如見報時猿。伊今始得眞源到。可與喬松出俗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八世祖考隱士府君行狀 公諱祉。字大受。其先竹山人。直提學參判諱迢玄孫也。曾祖諱子詮司果。始贅居于牟陽。祖諱悅承訓郞。考諱世卿顯陵參奉。妣端人河陰李氏土人鎭宅女。公自幼頴悟絶人。甫七歲。見子烏哺母。惕然曰。相彼鳥矣。矧伊人乎。【見李惺庵潤德撰狀】少遊學宮。言動以小學爲準。則好讀書。尤用力於心經近思錄。不修擧子業。與兄處士公諱福隱居。養親躬奉。甘脆因心。則友庭無問言。嘗手植五槐於禮智川盤石上。風乎浴乎。日哦其問。辛戀齋夢賢武靈聞人也。納公于甥舘。嘗曰。安君之淸儉操履高明學問。可師也。不可友也。夫人克執婦道。事舅姑以誠事。君子以禮。閨門之內。斬斬若朝廷焉。旣冠。往拜牛溪成先生。先生稱之曰。安祉淳厚辭氣威儀頗。有修飭之容。【見牛溪先生年譜問答條】 遊學圃梁先生之門。與語經旨。不覺移日。不以門弟子之禮齒之。其所推詡甚重。【幷見舊家狀】先丁外憂喪制一遵朱文公家禮。而哀毁則過之。遠近聞者。莫不自傷。縣之南鷲嶺之北。旣卜玄宅。結廬守墓。只留一奴。以給薪水。別炊飯羹。以上朝夕。旣撤。除少許。更作粥啜之。織筐爲盤。取塩爲饌。盖有所人不堪者。而公處之確如也。荐哭內艱。袝窆同塋。仍居舊廬。終始凡六載如一日。時人以兄弟二公。稱大安小安。擬之二連。服闋。搆一小堂於鷲嶺上每日晨起。展拜墓下。以爲終身慕之計。時復徜徉於山水之間。吟哦自適。惟事高尙。洞名古稱童海店。人景仰之名。其洞曰隱士堂洞。名其溪曰處士溪。公深自韜晦。不求聞達。而凡鄰近守宰及搢紳之行過是都者。莫不艶其名慕其賢。或致禮相問。造廬請見。知其爲君子人。而心誠愛服也。【見旁七世孫禧所記】公時或出洞。常騎一角。使僧攬矕。衣冠偉樸。飄然有出塵之像。道路觀者。歎曰。太古眞人。夏月蓬塘。農人耘於野。張旗伐鼓。其樂瀜瀜。柳石灘澐過曰。安處士之廬不遐。汝曹忍爲此乎。語未竟而歌鼓。便止自嘉遯後。遺落世慮。嘗於前川中洑上。使婢覔篋中冊子。夫人問家事。哂而不答。此盖東西角立。龍蛇見兆之時也。嘗手抄近思錄要語。附以已見。所著有遺稿二卷。金鍾城地粹寓本縣苔川時。借就不還。而家經回祿之灾。琬琰之藏。亦八灰燼惜乎。【見五代孫慶裕所記】牟陽縣夫子廟。舊在治北杻洞。【今川北學堂洞】地湫而隘。生徒病之。萬曆己丑【我宣祖二十三年】間。李公弘業以前持平來守是邦。將謀移䢖屬之公甚勤。公以事繫斯文。有不得辭者。與吳韜庵希吉。協心規劃。庭壇齋竂。彬彬有可觀。【卽今之鄕校】纔逾月而功告訖。遂徵文於金鰲峯濟閔以記之。越三年壬辰。島夷之入寇也。韜庵吳公。以慶基殿寢郞負影幀。隱內藏山。贈持平李德秀。奉聖廟位板。隱聖護山。公終慕楸下。隱鷲嶺山。一時三隱。其於生三之義。各盡事一之誠。人多韙之。【見本縣誌】鷲嶺山在縣南十三里延褒十許里。山深境僻。人迹罕到。虎豹多窟。公之廬于此也。人皆爲公危之。而處之晏如。樵牧亦不見惡獸。咸曰。孝感所致。後人有贊云。鷲嶺山下遺跡宛然。隱士高名。當與鷲嶺相終始矣。睛川公諱旭。早登甲科。與李月沙爲同庚修褉帖。石泉公諱昶。受業於牛溪先生之門。有抗章伸下之義。察訪公諱曇。以靜庵先生之門徒。同被己卯之?。三公於公爲從昆季也。一門征邁之戒。多有得於師友之淵源者。如此。公子長諱處益。次諱處中。長公早襲庭訓。考終林下。壽階至三品。次公少有大志。泰昌庚申。【光海君十二年】投筆登武科。官止訓鍊奉事。見光海君昏德日甚。觧緩還鄕不復屑孰。曾孫諱國昌。性至孝。火賊之變。衛護親側。號泣乞哀。身被刀槍。凝然不動賊義而釋之。竟得兩全。肅廟朝事聞給復。處士公孫諱晉。慷慨有氣節。甲丁兩亂。與柳察訪鐵堅募義守城事。載兩湖擧義錄。七世孫諱建。號篁菊齋。累登薦剡名重士林。若林尙書綺壽之褒美。趙三巖然明之撰狀。槩可見矣。嘗有感唫詩一律。吾家先世世多賢等句。足以不墜先蹟。而族曾大父慶裕族叔禧二公所撰旣載。家庭之見聞聲湖金公允明惺庵李公潤德石下李公馨萬記狀文字。公議不泯。嗚呼。兵燹之後。回祿之餘。嘉言善行。百不一二。而其或幸以出於公乘私牘者。若全豹之一斑。全鼎之一臠。又皆散逸無統。昔不肖之先君。常以遂失其傳爲憂。申申以詔之。思所以不朽者。而齎志未果。略擧平日所口授面命者。泣血以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五言長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奇大振【東立】 小春奉別後。自擬歲內。更有賁枉。得遂一番從容。而加額已久。今焉歲除且迫。將爲隔歲顔面也。悵黯倍至。當此歲末。篤老下。侍奉凡百。想必難狀。仰慮仰慮。然貧者。士之常而固窮二字。是其着力處也。不然。則墮坑落塹。何所不至。未知大振。或以此爲持守之戒耶。心制弟當此歲除。百感哀苦。無以爲喩。又以脅痛。連日作苦。家兒輩。種種告病。私悶奈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松庵眞公【壽華】文 嗚呼。天之福善人之錫類。今見于公。其果信驗矣。慈癠血指。能延晷刻之命。五家敦睦。克協尺布之謠。鄕里稱其善。兒童頌其德。至於兩胤克家。群孫滿庭。靈根醴源。餘薩綿綿。所謂福善錫類。不其然乎。嗚呼哀哉。病牀有言。我無憾焉。盖旣避匪類之禍。將厭來塵之穢。遽遽乎遠擧。有若潔身長往者。此非所謂無憾耶。嗚乎。國禎之於公。最厚且親。幸接芳隣。又托瓜誼。自擬一生。永視源源。今焉已矣。誰因誰仰松廬寂寞。薤露悽悲。操文寓哀。庶鑑衷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芝南李公【贄鎬】文 芝山降靈。篤生我公。稟賦資質。端嚴安詳。齊家孝悌。律已儉約。展拓雅意。超脫倫俗。顧余無似。辱知門墻。恩愛隆洽。何日可忘。吾黨無祿。公不少延。黃泉將閟。奉接無緣。操文告訣。淸血如注。有懷莫究。惟靈鑑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齊集跋 謹齋子旣歿。日新翁。求其文之散在諸友巾衍中者。合爲一卷書。此豈古人所謂。勇於苟作。急知後世之意耶。見其平生績學。辛苦未就。而螟胤穉弱。又不諒其意之所在故也。然則使故人子弟。待其成長。而得見其先親儀刑。爲可以繼述之地者。其不在是耶。嗚乎。謹齋取友之端。日新爲謀之忠。可謂至矣。余在從遊之末。不勝悲感之私。謹以此用識卷末云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高友兄弟 工夫等稼穡。秋穫在春勤。幼若無堅着。壯而昧見聞。欲求仁者事。莫捨古人文。融貫眞良計。慇懃更勉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洪敬集 人也參天地。此生恐負名。稟雖淸濁異。工必謹勤成。主宰心爲貴。養觀理便明。須令分寸積。方見大亨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族從聖伯氏吟 陸沈幾日月。相對共悽然。取趣臨泉石。寬懷上酒筵。野容平似海。山氣遠生烟。千載誰高尙。伯夷與仲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龍湖齋夜話 舟巖歸路渡龍溪。烟樹依依暝色低。湖上淸風噓不盡。今宵借宿主人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鄭日新。留大原寺。値詠亭講日。述懷。 年年此日暮春時。多少諸生講會期。何事窮山天鳳下。客懷臥聽雨聲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日新齋 向日。天台松陰。連襟灑風。穩承淸誨。怳然之間。自不覺浮氣妥帖。塵慮銷釋。意謂從此存省。更勿違失。則庶可以漸次得毫髮之效矣。歸家不旋踵。爲事物紛撓。此心散漫。旋復如故。但不知此生工夫。只此往來於若存若亡之間。而終無發端得力時節耶。撫射慨然。只切無窮之歎而已。更願。憐此區區一友生。幸賜鐫責。俾免大何。乃所深望也。比日潦炎蒸欝。尊體百福。令允近間還庭。鄙豚果能立定程課而有些少進就否。時時提督。使有所嚴憚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寬汝【承愚】 秋間聯袂。追逐幾日。遽爾歲暮。悵黯則深矣。謹詢歲華如紗。侍體萬宜。弟一向碌碌。擡頭無日。奈何奈何。吾人俱是衰頹。又當缺界。所謂琢磨砥礪之功。尤所汲汲。而爲究竟相守之訃。願兄勉焉勉焉而警及之。乃所深望也。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