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姜蒔卿【福】 意謂此月前還山。想仰黯黯東馳。豈知比日得此訊也。爲荷甚盛。但飽歸官厨。烟火一點。尙留諸胷中。向之恐不深庵。今恐爲不深庵。若商山平地樣。仰呵。次第貢賀者。明日卽東朝誕節也。郊霈自當下注。洽任在卽。而亦是悵一邊也。茂衙所去。何足仰塵。中滯便是藏拙也。棋字此以無日不重陽爲眼。而他作。則不此之爲。反。未免失旨也。繼春一題。亦是頃刻花。至若都是春。則放出一頭地矣。此君筒更奇前。又刻一筒滿面雕繪。雖費極巧甚。失却吾兄本意。此造物戱之也。餘在有面。則依飭飭鏤。而姑不來未呈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叙養士齋契案 昔者文翁之泣蜀也。設學校。興儒化。司馬相如。亦出其中。後之修梁吏列傳者。以文翁爲之首。奚哉。自文翁上下數千載間。賢候循吏世不乏人。而世之言能治之吏。必稱文翁者。夫以學校爲政之首也。學校修則庶政畢擧。然則以文翁爲數千。載良吏之首。果不爲溢美也。惟我本縣舊無養士之齋。往在正廟乙未南侯履範。慨然有意於文翁之治。辦財損廩以給養士之資。一時儒化彬彬有可觀。至今傅之爲美譚。吳侯亨喆。亦繼之優助。孶孶拮据。積有年數。而去純廟王午秋。李侯寬福與鄕之多士協議劒齋。規劃之未備者。從以殫擧。財力之不贍者。隨卽補給。前侯奬勸之意。於是有光。後生莊修之地。自此生顔。年才數紀。瓦漏壁頹。則勢將嗣葺。事巨力綿。故是日也。接議齊發。以接粮中蠲出条十兩。雖爲別庫名色。言念前頭。成效無目。今我韓侯亨敎。聞而嘉之。惠以十緡銅。使之左右斯文。矜式諸生。則吾鄕興學之化。不多遜於文翁。而南侯經始之。李侯踵成之。韓侯思兼之。較諸蜀一文翁。亦非專美也。抑未知蜀之郡。亦有後文翁否五十載之間。吾鄕之幸。幸於蜀者尤夥矣。司馬相如之出不出。其將有待於斯文。吾黨之士盍各勉旃哉。僉曰韓侯良吏也。後之修良吏列傳者。亦將有取於斯言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講會契重修叙 歲丙寅冬十一月之旬有一日丙寅。屬同門友群從季修契事於吾師金丈之門下。申之以修契之義曰。噫。吾黨小子自學齒至。今日服吾師之敎者。幾年于兹。學而未能也。雖然日用常行之間。一字半管之窺。何莫非吾師之賜也。古人以一字恩較諸空中千間屋。則信乎酬恩之若此難。而不可以學末能自沮。不思所以萬一之酬也。春某日秋某日。與冠者六七。侍立終日於吾師之門。難疑答問以展其學。未能之餘意。次及於吾黨同門之誼。團圓講修。以盡吾服其勤之餘地者。不亦庶幾乎。是契之設已於往年。而中廢之者勢然也。今又不可以往年之中廢者。看作一饐之飯。吾黨小子勉其所往年不能勉者於今日也。夫僉曰。唯於是乎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興德獄堤祠祝文【慕義高公德鵬閙隱高公汝興配享】 嗚呼。盈虛有數。龍蛇一亂。倫綸罔墜。熊魚孰判。天以先生。生丁茲辰。長澤名家。霽峯懿親。學不韜幹。衣惟布韋。移孝爲忠。視死如歸。時幸同德。九十有二。載之牲書。質諸天地。乃褁糗粮。勇赴琴陣。庶竭丹衷。偕蹈白刃。一敗何圖。萬死非惜。如公從殉。奈我宗祐。抽策後殿。歸保孤城。隻手單技。七隣不驚。銘誦至今。案堵如舊。治東里許。石面不朽。是孫閙隱。克趾闕美。家傳北學。文指南軌。尼村高弟。西峯畏友。質勝行過。詡以坡矩。身晦聲聞。仰止山斗。三年方喪。古人無愧。四禮諸輯。百世可俟。感泉同室。祭社餘儀。樹風及遠。世德匹休。板蕩誠臣。林泉碩儒。一旅紏義。七方含仁。詩禮貽孫。聲聞八人。輿論悠久。秩文斯擧。玉石其堤。杖屨之所。不食之報。靈宇巋然。有千其麗。神光燁若。奉之祠板。心焉怵惕。載薦肇禋。尙蘄歆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鄭艾山風浴 乘凉茵綠草。避暑濯淸川。坐對西山氣。此時意爽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講習堂壁上 講道審蕪越。爲仁辨主客。不可斯須離。銘諸常目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踰月山峙 洞深隨水入。路轉穿林歸。頓覺夕陽晩。行行露濕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楊林。見鄭承旨【淹】孝閭前石狗。吟 承旨襃旌里。爲欽孝養忠。有石傳書狗。至今戀主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艾山鄭丈 昨春適因便風。修上一候。而想未免洪喬矣。生昨年六月。始免喪。第擬躬造軒屛。以寓畢生相從之意。而荐値時變。迄未遂夙心之願。人生萬事。寧不忉怛。未知前頭何時。天其默祐。以紓此積菀乎。瞻望嶺雲。情私飢渴。伏詢此時。晦養道體崇適。生年來經過。惟日新兄是倚。尙爾支捱而前路險陂。又將如何出場也。舊課殘業。不遑自做。而中身已過。聰明不及。悠悠淟涊。有退無進。回首悲悵。追補靡策。惟望文丈。垂憐遠庇。終不棄區區一賤生耶。餘只祝。爲道保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鳳瑞【秉燮】 雪程泥濘。扶病行駕。果爲利稅。而不至有甚憊耶。謹詢至沍調候。更若何。酬應之暇。溫習不廢。種種工夫。日以長長否。伏切頂祝心制。弟一向憒憒。不得近書冊。何足道。講室事。僉兄。買人家垈於佳洞。而未知會中之意。爲何如。故以今十二日將設一會。兄未可枉臨耶。餘便忙胡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艾山鄭丈 秦緩。古之明醫。而能洞見人之五臟。人有患陰病裏證者。一日遇秦緩令診之。居數日曰。此不病之人。乃袖手而去。噫。我知之矣病在膏肓。無藥可醫。我病其膏肓乎。因復自念。有病則必無無藥之理。且棄之而以待死日。曷若救之而僥倖其萬一乎。伏乞文丈。今日之秦緩也。仰誦再拜。藥園翁。爲我起膏肓之句。不能無望於下風也。千萬十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艾山鄭丈 每當秋八月。天淸氣朗。則怳然若陪從杖屨於天台詠歸之間。此固人情也。伏未審。晦養道體候。天相神勞。連享康吉。生萎耎殘質。衰病侵尋。杜門跧蟄。恰如掛鉤之鱗。荏苒因仍。只以未遂一番拜床之願。爲一生茹恨耳。新兄。遽遭衋傷之痛。抱孫尙穉。幹家無人。種種情景。殊可悲念也。年形稍熟。嶺亦如是否。行便怱怱。略此胡草。辭不達意。欠敬殊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尹興瑞【滋宣】 日前霎奉。未得穩叙。餘悵耿耿。心焉如結。際承惠書。足亞奉晤。比審旅中體候。在經萬休。酬應之暇溫習一着。慥慥接續否。哀溯區區。實切懇祝。罪弟頑喘不滅。而一向頹靡。更何足道。草枝行似在再明間。下送一度書。當依敎付去耳。景玉。近還家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중원(中原)에 전란이 많다는 소식을 듣고 聞中原多亂 사해(四海)에 전란이 일어난 지 20년남아의 머리 위로 푸른 하늘 바라보기 부끄럽네한밤중에 기운 토하여 무지개 피어나고밝은 해가 길게 신음하여 구름과 안개 이어지네주의(周顗)의 정자 가에서 누가 눈물을 닦아줄까203)공명(孔明)의 두둑 위에서 다만 밭을 갈 뿐이네204)어찌 알겠는가 위수(渭水) 북쪽에 낚싯줄 드리운 자가만고의 경륜(經綸)을 홀로 차지하고 있을 줄205) 四海干戈二十年男兒頭上愧蒼天中宵吐氣虹霓發白日長吟雲霧連周凱亭邊誰拭淚孔明隴上但耕田焉知渭北垂絲者萬古經綸獨自專 주의(周顗)의……닦아줄까 원문의 '주개(周凱)'는 '주의(周顗)'의 잘못이다. 서진(西晉) 말년에 중원이 전란에 휩싸이면서 진 나라 왕실이 남으로 옮겨가 동진(東晉)을 세웠다. 동진의 여러 명사(名士)들이 신정(新亭)에 모여 술을 마시면서 즐기는데, 주의가 탄식하며 "풍경은 다르지 않은데 눈을 들어 바라보니, 산하(山河)가 다르다." 하였다. 이에 왕도(王導)가 얼굴빛을 고치고 "함께 나랏일에 힘을 바쳐 신주(神州)를 회복해야 하는데, 어찌하여 초수(楚囚)처럼 맞대고 울기만 하는가?"라 하였다. 《晉書 卷65 王導列傳》 공명(孔明)의……뿐이네 '공명(孔明)'은 촉한(蜀漢)의 승상 제갈량(諸葛亮)으로, 그는 출사(出仕)하기 전 남양(南陽)에서 몸소 농사지으며 생활하였다. 어찌……줄 주 문왕(周文王)이 강태공(姜太公)을 얻은 고사를 말한다. 문왕이 사냥을 나가기 전에 점을 쳤는데, 그 점괘에 "잡을 것은 용도 아니요 이무기도 아니며, 호랑이도 아니요 말곰도 아니요, 범도 아니요, 비휴도 아니다. 얻을 것은 패왕의 보좌이다.[所獲 非龍非彲 非虎非羆 所獲 霸王之輔]"라 하였다. 사냥을 나간 뒤에 과연 위수(渭水) 가에서 강태공을 만나 후거(後車)에 싣고 돌아와 스승으로 삼았다고 한다. 《史記 卷32 齊太公世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奇春潭【東準】 松老樑摧哭我兄。德陽憔悴好家聲。終知南服多孤德。更使餘生失育英。身不勝衣言若訥。志能率氣敬爲情。平生樹立辛勤意。落照牛山有月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天冠山 一上天冠地盡頭。滄波萬里淨高秋。山窮民戶三千里水。濶軍船六大州。莫道雄奇空絶勝。故敎閑置此名區。從來三子知吾意。載酒登臨作快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夢裏君王近 松沙與我太王前。愁色慘惔大器遷。不敢復言天下事。如何長恨殿中筵。孤忠危激心懸闕。憂憤悲傷淚徹泉。知是靈魂應不眛。胡兒誓滅格君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蘆沙奇先生集。 萬一相涵同異圓。師門旨訣昔何年。紛紛蟻虎眩人眼。可惜只看氣一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遊永陽亭。憶金友文見。【奎源】 老石疎松舊面親。悵然何事感懷新。㥘塵未宿人千古。惟有山亭寂寞濱。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