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知止而后有定。【止】知止能得。此之謂止於至善止於至善。則得其道矣。下文云。知所先後。卽近道矣。讀此疑晦滋甚。伏乞敎示。 能得。就止善功効上說。故曰得。近道。就知所先後上說。故曰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方氏曰。於雨露。言如將見之。則知霜。露如將失之。親旣不在。豈復有如將失之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子之於親。親雖不在。思慕無方。故隨時物之變。而感愴之殊。自然而然也。 孟子謂。學問之道無他。求其放心而已。夫格致誠正修齊治平。及夫九容九思。四端七情之發。理會審度。無非學問之道。而直以無他言之。何也。與夫所謂。詩三百篇。一言蔽之曰思無邪。同看耶。知善而勸之。知惡而戒之。只是思無邪。蓋身如一屋子。心如一家主。有此家主然後。能灑掃門戶。整頓事務。故云然耶。來喩甚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雜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경인년(1650, 27세) 정월 庚寅正月 안회(顔回)는 30세에 이미 인(仁)을 이루었으니고요하고 조용하게 성신(聖神)에 계합(契合)하였네254)나는 올해로 27세인데끝내 무슨 일로 사람 부류에 낄 수 있겠는가 顔回三十已成仁靜默從容契聖神而我今年二十七竟將何事齒諸人 안회(顔回)는……계합하였네 '성신(聖神)'은 옛적의 성인(聖人)을 가리키는 말로, 공자(孔子)를 의미한다. 안회(顔回)는 공자(孔子)의 제자 가운데 가장 뛰어난 학덕(學德)을 지니고 있었으나 32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논어》 〈옹야(雍也)〉에 공자가 "안회는 그 마음이 석 달 동안 인을 어기지 않았고, 나머지 사람은 하루나 한 달에 한 번 인에 이를 따름이다.[回也 其心三月不違仁 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라 하며 그의 인(仁)을 인정한 대목이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비 갠 뒤에 감회가 있어 霽後有感 바람이 먼지 일으켜 온 세상이 흐릿해지니컴컴한 가운데 범 포효하고 원숭이 울음소리 뒤섞이네잠깐 가랑비 내리다가 하늘 맑게 개니이전처럼 앞 시내에 달빛 내려오네 風拂驚塵宇宙迷暝暝虎嘯雜猿啼須臾霎雨天開霽依舊前溪月色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趙而卿【泳善】 昨春枉存。已是奇遇而別後沖悵。何時可弛。仰惟經候淸腴。馳仰區區。達去年哭孫婿。今春又遭孫兒逆慘。而家憂尙彌留。只可任天而已。先師影幀遭變。尙忍言哉。或者諉以坤冰愈堅。乃是地雷消息。此日此變。實先生後日尤爲彰著之兆眹。然今焉憤痛。寤寐益深耳。竊聞賢者與諸益。曾有辨論於金澤榮處云。其書簡錄示。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永實【一奎】 桑海滔滔。尺地便成涯角。思欲一握者久矣。忽得華墨。曷勝慰豁。仍審侍省康衛。學候佳裕。尤副懸情計。而足下質美志篤。凡讀書。卷帙欲少。咀嚼欲多。前頭之深造自得。亦不待蓍龜而可卜矣。此是令人愛仰不已者也。一言下敎之喩。亦云左矣。平日所讀經傳中。可師可法者何限。而乃有此尋常之請耶。窮理亦無他法。只日用間。讀書應事處。每事理會。便是雖若無大段增益。然亦只是積累久後。不覺自浹洽貫通。此是朱夫子語。而未知曾見否。遙爲之仰誦。須以此加之硬脊。勉勉長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人斗一【昌圭】 嚮奉。足慰積年耿結。而華緘踵至。仍審美愼向蘇。而益究經籍。曷不欣慰。示喩貧病。豈非玉成兆眹耶。勇往直前。無少回互如何。達煥已是病廢。有時歇㞃。不足仰塵。可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孟子見梁惠王章第三節。先言何必曰利。而後言仁義。第六節。先言仁義。而後言何必曰利。何也。 孟子對惠王。利國之言。則不得不先。抑其利而後可說仁義也。且中間兩節。旣言求利之害。次言仁義未嘗不利。而將結之。則不得不先言仁義。而後可抑其利欲也。其語勢自然如此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未有仁而遺其親者。未有義而後其君者也。對人君言。先親而後君。何也。 此以陳仁義而格其利欲之非。則其主意。專在於仁義。故不倒仁義之常序。而先仁後義。且爲仁。始於父子。爲義始於君臣。故各從其理之常勢。而先親後君。然人倫之始。莫先於父子。人倫之敎。莫先於君師。則互相先後之。亦何害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中庸自誠明章。自誠明者。明在誠中。只一時事也。自明誠。誠在明後。非一時事也。誠則明則字。猶是字自然上說也。明則誠則字。猶以字用力上說也。 徐相敦 誠明。明在誠中。明誠。誠在明後之義。得矣。而但誠則則字。以卽然之辭看之。明則則字以將然之辭看之。亦似然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贈金秀才乙洙 心爲萬事之綱領。性是萬善之本源。故聖賢親切之訓。無非講明乎此耳。是以自其始敎。爲之小學。而使之習乎誠敬。收其心而不放。養其性而不失。使吾之得於天之所賦而本然者。毋或至外物之所撓奪也。爾今課讀是書。深感尊府之勤督塾師之善導。謹其灑掃應對。修其孝悌忠信。夙夜孜孜。一息之頃一念之微。無少怠忽放過。則存養有素。根基自固。而其工夫之開發通暢。奚翅如始潝之醴泉。沛然而達。方茁之靈芝。傑然而秀也。願勉之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望美臺韻 望美臺中望美客。海山明月讀春秋。如何風雨時來急。落盡宮花是可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尹喜璇壽宴韻 蟠桃春色上眉紅。不受塵寰灩澦風。凌雲喬松心氣合。經霜寒菊志操同。爲賀仁人開壽域。喜看平地卽仙宮。庭前寶樹餘陰遠。樂事無窮歲歲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獨釣臺記 近時吾黨。有諸葛澹寧者。見世道斁喪。隱居於雪山之南。臥龍岡下。白首躬耕。不求聞達。以月竿風絲。徘徊於玉湖淸灘之上。其志不在取魚。人所不及知之。抱獨樂。乃起一臺於淸灘白石之上。徜徉嘯詠而有詩。遠近章甫。多唱酬而賡和焉。余適過湖上。與同志數人。登臺優遊。蒼蒼雪山。泱泱江水。嚴先生高尙之風。庶幾更覩於今日。而狂奴古態。可謂朝暮遇也。然先生。身際光武聖明之世。高尙其志。衆方有爲。而獨不事王侯。動星象居江湖。使貪夫廉懦夫立。大有功於名敎。桐江一絲風。非但扶漢家九鼎。至今數千載之下。慕其節而仰其風者。亦未嘗不若屹然砥柱焉。至若澹寧公。則不幸生叔季之末運。世道陷溺。倫常殄滅。夷狄猖獗。冠冕掃盡。而澹澹然明志。寧靜而致遠。曾不與世俯仰。獨善其身。獨尙其節。名其臺曰獨釣。囂囂然樂其所樂。使時輩過此。而聞其風。則秉彝之良心。不有油然以復生者乎。然則澹寧之業。大有功於名敎。而其風。亦可謂山高水長也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玉山記 余觀。古人寓於物而置號者多。或居於山。或隱於水。趣味各有不同所同者寓也。美中。自號以山。山上加玉。無乃以玉爲至寶。而必出於名山故歟。美中之志。余知之矣。君子比德於玉。蓋以仁義禮智忠信。與樂七物者備矣。又推之以極焉。則其生也。天地沖和之氣之所鍾。而凡物之貴。莫與爲倫。孟夫子稱聖人之全德。以玉振爲譬。則人孰可以當之哉。雖然。其物旣寡。而又有待價之戒焉。君子雖欲佩於身。不以其德而自勉。不可得也。美中之學問步趨。周旋折旋。每欲佩服於身。以德於玉而有待價之心。故乃寓於號而自勉也歟。嗟呼。美中讀聖賢之書。求聖賢之道。愛其書如玉。貴其道如玉。一切工夫。琢之磨之。至於精微。則仁義禮智。信忠孝德。無所不達矣。如是然後。美在於中。而光着於外。人比之如荊山白玉。無愧於君子之德矣。美中。勉乎哉。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