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늦봄에 꽃이 만개하였는데 눈바람이 몹시 매서워 시동으로 하여금 운자를 부르게 하여 장난삼아 제하다 暮春花盛。風雪甚烈。令侍童呼韻戲題。 땅이 요동(遼東)과 이어져 기운이 언제나 음울하니하늘이 어두운 기운을 빌려 오래도록 비 내리네어지러운 구름과 날리는 꽃잎 먼 시야를 미혹시키고찬 얼음과 향기로운 풀 봄 마음을 시기하네향기가 보배로운 꽃받침에 다하자 벌의 근심 더해지고바람이 옥 가지 끌어당기자 새의 한탄 깊어지네이날 저녁 은거하는 이 띳집 아래에서단정하게 앉아있지 못하고 고심하며 시 읊조리네 地連遼左氣恒陰天假昏氛日久霖亂雪飛花迷遠目寒冰芳草妬春心香消寶萼蜂愁轉風掣瓊枝鳥恨深此夕幽人茅屋下不勝端坐苦呻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풍토(風土)를 읊다 詠風土 내가 남쪽 고을에서 지낸 지 30년풍토와 습속 익숙히 전해 들었네민심은 사사로이 벗들과 무리 짓는 것 몹시 좋아하고세도(世道)는 스스로 어질다고 자부하는 것 참으로 마땅하네산은 장기(瘴氣) 어린 강과 가까워 독사가 많고땅은 낮고 습하여 난초와 향초 드무네일찍이 듣건대 삼도(三島)175)가 동국(東國)과 이어져 있다 하니곧장 단약(丹藥) 가지고서 신선술 배우러 떠나고 싶네 我在南鄕三十年土風人俗習相傳民心酷好私朋屬世道偏宜許自賢山近瘴江多毒虺地仍低濕鮮蘭荃曾聞三島連東國便欲携丹去學仙 삼도(三島) 중국의 동쪽 발해(渤海) 가운데 있다고 하는 삼신산(三神山)으로, 봉래(蓬萊)‧방장(方丈)‧영주(瀛洲)를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晩翠亭 雪山輕重此亭新。逸韻淸音不俗塵。叢菊垂黃霜後砌。晩松含翠歲寒濱。經綸付與藏書閣。志尙便高干祿人。嗟我今來同社友。請觀修契善相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荒山行 古木荒山官道岐。龜頭屹立讀豊碑。聖祖當年征倭日。神武英特得偏裨。白羽彤弓腰間帶。策馬神鞭赴湯時。十八片箭不虛發。皆中左目魚貫奇。拔都雖勇那可數。一箭引滿孤雛墮。遂成逐北破竹勢。石上血流何淋漓。至今見者猶豎髮。安不落膽彼東夷。懸崖有石記諸將。歲久苔蝕知者誰。掃淸妖氛安邦國。凱歌還奏言班師。當時再造三韓謠。雲臺麒麟耀高麗。天生英雄濟世才。安知此役是造基。澤被生民功蓋世。天命人心自歸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咸陽學士樓 學士何年起此樓。孤雲千載思悠悠。至今遺化歌難得。從古今聞未易休。風月無邊招客到。江山有限使人愁。後來佔畢仙鄕吏。可惜高賢埋禍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朴石陰【魯述】 世皆諾諾獨行稀。孝友家聲終不違。宮殿昔日同獻策。師門春雪共摳衣。蹍劉蹶項醯鷄笑。說禮談詩茶飯肥。也識淸閑無慕外。蘆翁脚下得依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歸亭。講罷後作 世事多隆替。盃情孰淺深。芳沂水上。千載見春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오래 병중에 윤 사군(尹使君)54)【종지(宗之)】께 드리다 久病呈尹使君【宗之】 온 하늘에 가을비 내려 강가의 성 씻어주니일 마친 공당(公堂)엔 세속의 번잡함 가볍네아전 흩어진 송정(訟庭)엔 거문고 소리 깨끗하고바람 높은 빈 방엔 학 울음소리 맑네호산(湖山)은 남창(南昌)의 흥취55) 넉넉히 차지하고누각은 북해(北海)의 술잔56) 한가히 열어주네다만 한스러운 것은 원헌(原憲) 오랫동안 가난하고 병들어57)훌륭한 선인(仙人) 모시고 새로 갠 하늘 감상하지 못하는 것이네 一天秋雨洗江城事罷公堂世累輕吏散訟庭琴韻澈風高虛室鶴音淸湖山剩占南昌興樓閣閑開北海觥却恨愿生貧病久未陪仙伯賞新晴 윤 사군(尹使君) 윤종지(尹宗之, 1597~?)로 자는 임종(林宗), 호는 백봉(白篷), 본관은 해평(海平) 이다. 1618년(광해10)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대과에는 합격하지 못하였다. 병자호란 때 영남으로 피신하여 유리(流離) 생활을 하다가 효종 즉위년에 다시 음직(蔭職)에 발탁되어 곡산 현감(谷山縣監), 대구 부사(大邱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남창(南昌)의 흥취 은거하는 이의 흥취를 말한다. 한(漢)나라 때 남창위(南昌尉)를 지낸 매복(梅福)이 왕망(王莽)의 전정(專政)을 증오하여 처자(妻子)를 버리고 떠나 신선이 되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漢書 卷67 梅福傳》 북해(北海)의 술잔 빈객과 함께 즐기는 술자리를 말한다. 후한(後漢) 때 북해상(北海相)을 지낸 공융(孔融)이 빈객과 함께하기를 좋아하여, "자리에 빈객이 항상 가득하고 술독에 술이 비지 않는다면 나는 근심할 것이 없다.[座上客常滿 樽中酒不空 吾無憂矣]"라고 한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卷100 孔融列傳》 원헌(原憲)……병들어 공자(孔子)의 제자 원헌(原憲)이 노(魯)나라에서 몹시 곤궁하게 지낼 적에 자공(子貢)이 사마(駟馬)가 끄는 수레를 타고 원헌을 방문하여 말하기를 "아, 선생은 어찌하여 이렇게 병이 들었습니까?" 하자, 원헌이 대답하기를 "나는 듣건대, 재물이 없는 것을 가난이라 하고, 배워서 그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것을 병이라 한다 하니, 지금 나는 가난한 것이지, 병든 것이 아니라오."라고 하였다. 《莊子 讓王》 곤궁하게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을 원헌에 빗댄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수운정(峀雲亭)에 제하다【정자는 고을 남쪽 영강(榮江)49) 가에 있으니, 곧 경주 부윤(慶州府尹)을 지낸 나위소(羅緯素)50)가 기거하던 곳이다.】 題峀雲亭【亭在州南榮江上。卽羅慶州緯素棲息之所。】 날아갈 듯한 높은 누각 바다 산 동쪽에 솟아 있으니멀리 봉래(逢萊)과 영주(瀛州)51) 압도할 듯 기세가 웅장하네학이 서호(西湖)에 나니52) 천고(千古)에 변함없는 달 뜨고붕새가 남쪽 먼 땅에 높이 나니53) 구중천(九重天)의 바람 불어 오네정자에 오르니 마음과 정신 상쾌해짐을 문득 깨닫고굽어보니 우주의 광활함에 다시금 놀라네지난 일을 가지고서 감개 일으킬 필요 없으니이 몸 마치 이 세상에 잠시 부쳐 사는 듯하네 翼然高閣海山東逈壓蓬瀛氣勢雄鶴擧西湖千古月鵬摶南極九天風登臨阧覺心魂爽俯瞰還驚宇宙空攬舊不須興感慨此身如寄此寰中 영강(榮江) 전라남도 담양에 위치한 영산강(榮山江)을 가리킨다. 나위소(羅緯素) 1583~1666.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계빈(季彬)이다. 1623년(인조1)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좌랑, 옥과 현감(玉果縣監) 등을 역임하였다. 1650년(효종1) 9월부터 1652년 4월까지 경주 부윤(慶州府尹)을 지낸 뒤에 사임하고 나주로 돌아와 은거하다가 80세가 되어 노인직(老人職)으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임명되었다. 봉래(逢萊)과 영주(瀛州) 신선이 산다고 하는 산으로, 방장(方丈)과 함께 삼신산(三神山)이라 불린다. 동해(東海) 가운데에 있다고 한다. 학이……나니 '서호(西湖)'는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杭州)의 서쪽 고산(孤山) 옆에 있는 호수다. 송(宋)나라 때의 처사 임포(林逋)가 이곳에 은거하여 20년 동안 성시(城市)에 발을 들여놓지 않은 채 처자 없이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사니, 당시 사람들이 그를 매처학자(梅妻鶴子)라 일컬었다. 《宋史 卷457 林逋列傳》 붕새가……나니 붕새가 남쪽 하늘을 날아다님을 말한 것이다. 《장자》 〈소요유(逍遙遊)〉에, "북쪽 바다에 물고기가 있으니, 그 이름은 곤이다. 곤의 크기는 몇 천 리인지 모른다. 변화하여 새가 되니, 그 이름은 붕이다. 붕의 등짝은 몇 천 리인지 모른다. 기운차게 떨쳐 날아오르면 그 날개가 마치 하늘에 드리운 구름과 같다. 이 새는 바다가 움직이면 남쪽 끝의 검푸른 바다로 날아가려고 한다. 남쪽 바다란 하늘의 못, 천지다.[北冥有魚 其名爲鯤 鯤之大 不知其幾千里也 化而爲鳥 其名爲鵬 鵬之背 不知其幾千里也 怒而飛 其翼若垂天之雲 是鳥也 海運則將徙於南冥 南冥者 天池也]"라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梁文五 岸本墮黃。浦鴻引哀。觸境悲霣。何可堪抑。第委耎殘質。衰頹日甚。又以眩氣。因作貞疾。此生良苦。惟以眷率之無他頉爲幸耳。秋來日氣甚佳。常擬躬造。以紓幽鬱。而尙爾未能。向者詠亭講席。別有新論。或可轉聞否。詠亭設立。未滿十稔。將見顚覆之慮。此何貌樣。以此衆議齊發。求助境內。以圖盖瓦。未知此計如何耶。雖出於下計。事已至此。如矢上於弦。不得不發未知來頭之如何耳。鄙家婚說。尙爾未定。望須尋求可宜處。言及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而仰【濟泰】 春間。猥承尊駕南爲。曾是不圖也。別後但覺。千山重重。停雲漠漠。每欲得凌風翰。一蹴飛。到於新安講聚之社。而不可得也。伏詢秋高。德候萬休。弟素以不逮之資。固不足比數於人。而只被朋友之援引。猥參於詠歸講聚之末。便同琳琅叢中。置一頑石也。是以。常恐貽累於近友。況於遠友乎。願兄勿吝提引。俾有收桑萬一之效。豈非終始之厚惠耶。切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洪漢瑞【祐震】 梅雨初晴。體候康適。餘力溫習。所得幾何。弟蒲柳殘質。病故侵尋。紛冗卷婁。已業荒廢。未知以何事。而可聞於親知之間耶。可懼可愧。向日枕亭講會。足以見一方風化之盛而。其酬應之勤。迎送之勞。若非德門諸君子好賢之風義。誰能擔當哉。深可歎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黃新汝【承顯】 前書未復。景涵又顧。未及敘話。鄙顔先騂。因審侍中文候珍衛。溫習慥慥。方進未已。遠友期擬。此外何有。大抵爲學。先須立志。平日爲氣所勝。習所奪。皆可責志也。譬如植木。其材可以干霄。而一爲藤蘿之纏繞。荊棘之蒙蔽。則不屈出而㙲腫者。幾希矣。願益加奮張。擺脫習俗之纏繞。豈非今日之先務耶。新汝相愛人也。尺紙相問。不可以寒暄而止。故聲說及此。倘恕覽否。景涵。可與共學。旣得共學。則相觀相䂓。期以適道。亦何難之有哉。欽艶無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考府君行錄 公姓安氏。諱壽策。字寅直。號德林齋。其先順興人。有諱子美。仕高麗。爲神虎衛上護軍。始顯。厥世上護軍。生樞密副使諱永儒。樞密生密直副使。版圖判書。追封太師。門下侍中。諱孚。侍中生奉議大夫。中書省左贊成。諱裕。號晦軒。諡文成公。忠肅王已未。從祀文廟。文成公生匡靖大夫。校僉議贊成事。兼判典儀寺事。封順平君。諱于器。順平君。生密直提學。提調經史都監。諱牧。密直生大匡輔國門下侍中諱元衡諡文惠公。以功封竹城君。子孫因貫。於公爲十七代祖也。生諱勉。官至判典校寺事。左贊成。號雙淸堂。與牧隱李先生穡同年。牧隱。取杜工部心跡雙淸之句。遂名其堂。贈詩有序。生諱挺生。寶文閣直提學。始仕本朝。生諱乙謙。宰靈巖郡。因而落南。生諱汝舟。官直長。寓居長與。子孫仍居焉。生講矩。刑曺佐郞。生諱愼。同直長。生諱良弼。郡守。生諱磯。生諱福止。號梅溪。官參奉。坐諱凱同。號雲谷處土。寔公六世祖。五世諱植弘。高祖諱近龍。曾祖諱漢徵。號梅谷。祖諱宅仁。號海翁。世居府東巾山村。世以孝悌相襲。而公天性。仁厚謹飭。好學問。晨謁廟。朔望省墓。雖大暑寒。不廢一日。大寒省墓歸路。見弊衣乞人。僵于路。卽解衣衣之。中年荐遭喪禍。歲且飢饉。白放奴婢百餘口。任其所之。考諱夢元。妣淸州金氏。判官龍釆女。端淑柔嘉。婦德備至。以丁巳十一月日。生公于居第。公性孝。自幼不戲嬉。不妄言。不煩父母之詔責。而卓然有出人之行矣。家計蕭然。樵山耕野。裸跣行傭。使適口之旨。便身之物。無不畢給。左右就養。事務多端。而行有餘力。必對案讀書。日以爲常。十九遭外艱。哀毁過節。每至氣絶。奉偏慈。有疾病。至誠致憂。露禱嘗藥。不離其側。一日。患搔癢遍身瘡瘢。夢有老人來言曰。此病有神藥。曰榧子也。何不用之。覺而驚異。方欲求之。適榧子商過門。卽買一升。爛付之。果得神效。又患瘧積年不瘳。一日自外歸家。自念病親下。出入無得一味。可以歸供。適見群鵝滿江。因擧杖投之。中一鵝。遂持以供之。瘧疾乃差。鄕里嗟歎。一日公自外還。金夫人曰。昨夜夢有一仙官。自天而下。呼汝曰。孝子某受此。受而見之。卽一紙堆也。怪事怪事。公笑曰。此或爲田土券交乎。盖慰其老親憂貧之心也。公勤力治生。家業稍饒。鄕里皆曰。皇天有感。降福孝子。公常對人語。曰吾粗有衣食之資。皆吾祖考之餘蔭也。戒人子弟曰。爲人之子。不可怠惰。惰則貧。貪則其於奉先事親何。金夫人年九十。公亦踰耆艾。平日未嘗以衰老自處。常彩衣斑斕。以安其心。至於問寢視膳之節。亦不以衰老自懈。一夜之間。凡三問寢而後乃退。配完山李氏諱震芳女。墓蓴池案山壬坐原。子男二人。長曰次曰浹。女一人。適徐春球。配。海州崔氏無嗣。有三女。適文邦浩。閔禎鎬。李敎馹。浹配。豊壤趙氏。有一男一女。男卽不肖國禎。出系伯父。女適梁在璇。嗚呼。我祖考敎訓二子。嚴有法度。諄袈導迪。期於成立。嘗書訓戒之辭以與之曰。憂懼戒謹。誠敬愼密。沉默勤苦。是百福之基也。豈不美哉。宴安逸樂。驕奢侈靡。輕薄惰慢。是百殃之門也。可不懼哉。兄弟二公。遵循佩服。以爲平生行已之要。己未二月九日卒。壽六十三。嗚呼痛哉。公之歸。先於金夫人。方其臨終。招二子戒之曰。我將死矣。老慈在堂。我何忍訣。惟幸汝輩。在善養善養。以慰汝父九原之恨也。嗚呼。先考兄弟。修身齊家。孝弟友愛。素爲鄕里之推服。鄕里之言曰。孝如安某。而又有是二子之孝。眞可謂孝子不匱。永錫爾類。丁亥秋九月。鄕里多士。行鄕飮禮禮畢。因剡薦三父子孝行于官。先君在時。常言。我祖考隱德至行之盛。而以不能顯褒爲恨。旣而先君棄世。遺言在耳。深恐久而或失。道記略干語。將以告于當世立言之君子。得記實顯刻。永垂不朽。則豈惟不肖國禎之幸。抑可以慰吾先君泉壤之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竹川。與鄭日新。呼韻。 入谷聞蘭馥。登山採玉輝。天鳳深深路。翩然作伴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重九夜。會宿。 風高西日暮。歸鳥反棲枝。我有萬花釀。携君月下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艾山鄭丈 半千里信息。一月再聞。若此續續。誰謂宋遠。可謂一副快事。令允喪耦。向日候書。未及仰慰。追後思之。雖因忽猝。罪悚則深矣。豈望厚恕。不謂丹邱二君見過。又聞次允。以腫毒作苦。甚可驚慮。惟願早早善治。以副遠望。應長子厚。先後逝去。此何惡報。今日之倚仰追逐。以擬究竟同歸之計者。凡幾人焉。尤切踽踽之歎。詠亭知舊。述數行祭文。一紙聯名。因便替告。以寓千里不諼之情耳。更祝晦養自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芝南李丈【贄鎬】 比年以來。久未有及門請敎之日。此豈少者事長之道乎。然而吾丈爲之不遐。辱貺惠書。至於如此。此雖出於包洪之盛。而在此生。自不覺愧汗沾衣也。況滿幅覼縷。無非謙已推人之意。此豈少者所可承當者乎。尤不知所以仰對也。生至愚極陋。加以因循退託。不知其終何所止泊。但吾丈卓然在邇。質疑考德。爲平日依歸之地。自有所在。尋常馳仰。不能無自慰者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日新齋 聞初七日。雨色未霽。遽爲發行果爾。則中路見窘。如在目覩。比日秋淸。靜養增休。嶺湖講會之期不遠。何日啓駕耶。日前夜夢。得溪南翁枉顧。可怪可怪。令允山陽之行。無撓返庭耶。鄙豚。日昨歸來。有何所見。而不入擧子場中。只得小學一帙書是幸。次兒咽痛。尙未見效。可慮。向因文見聞。有文字之惠。果然否。自顧滅裂。每荷至厚之意。常恐不能以堪當也。然一言一字。刊去浮實。責以直諒。乃所深望。弟今日之計。惟在兄左右之如何耳。餘意多筆澀。留不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奇大振 開歲已久。而信息漠然。憧憧訝菀之懷。必覯而後乃降也。謹詢新元。萱幃氣力。迓新康旺。令姪宿苦何如。並切㴑仰。弟去年人而已。而眷率。幸不告病。又得一女孫耳。近不得與台三爲一番從容者。只因自家紛冗無暇耳。或可恕諒否。宿草餘糧。分各有定。須以此自寬。而忍到熟處。自無戚戚之念。未知何如耶。初擬躬晋穩叙。因得與松沙相慰。而擾擾未果。替送家兒耳。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