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帖 天敎星使駕蒼龍。春祝家家摠華封。太史先三占某日。斜川鄰四告余農。橋穿白雪梅應綻。盤出靑絲莱已供。和氣瀜瀜看似畫。唐虞文物幸重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瀛洲裴氏孝肅忠肅二公延諡韻 忠肅仁承孝肅仁。芬香節惠自天申。春秋日月昭如鏡。壬丙江山淨不塵。兩世勳名增耀舊。一家榮祝煥章新。貤褒奚獨私門幸。留取綱常認後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승지 남구만(南九萬)16)과 이별하며 주다 贈別南承旨【九萬】 성곽 밖 푸른 산 깊고도 깊으니한 구역의 절17) 운림(雲林)에 의지해 있네다행히 천상의 삼청객(三淸客)18)을 만나인간 세상 십 년 동안의 마음을 다 쏟아내었네절 안의 향 연기 양 소매에 남아있고선방(禪房) 창가의 가물대는 촛불은 두 옷깃을 비추네내일 아침 필마(匹馬)로 이별한 뒤에는훗날 어느 해에 만나 다시 오늘의 만남을 이어갈까 郭外靑山深復深一區蕭寺倚雲林幸逢天上三淸客盡人間十載心梵宇香烟留兩袂禪窓殘燭照雙襟明朝匹馬相分後後會何年再繼今 남구만(南九萬) 1629~1711.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이다. 1656년 과거에 급제하여 교리, 대사성, 함경도 관찰사, 형조 판서 등을 거치고 삼정승을 역임하였다. 1664년 5월 동부승지에 임명된 이래 우부승지, 좌부승지, 우승지 등을 지냈다. 절 원문은 '소사(蕭寺)'다. 불교를 독실하게 믿던 남조(南朝) 양(梁)나라 무제(武帝)가 사찰을 지은 다음 자신의 성(姓)인 '소(蕭)'를 쓰게 한 것에서 유래하여, 흔히 사찰을 뜻하는 말로 사용된다. 천상의 삼청객(三淸客) '삼청(三淸)'은 도교에서 말하는 천상 세계로, 삼동(三洞)의 교주(敎主)가 사는 최고의 선경(仙境)인 옥청경(玉淸境), 상청경(上淸境), 태청경(太淸境)을 말한다. '천상의 삼청객(三淸客)'이란 곧 신선을 뜻하는데, 당시 남구만이 대궐에서 임금을 모시는 승지였기 때문에 하늘에서 내려온 신선에 빗대 표현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龍岡精舍【擬紫陽夫子白鹿洞佳句】 平岡容一小堂成。添得寒泉繞枕鳴。地與自家皆有分。天應無物不爲誠。依山月輒當軒出。入柳風多隔水生。欲識先君初剙意。斯文珍重此心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隱士洞花樹軒原韻 玉削芙蓉映粉圖。峯峯羅似衆孫扶。香詩有夢皆春草。情話當琴半夜梧。每歲團圓花樹會。先靈陟降石麟孤。扇楣調記思亭記。備戒吾門一本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泮宮鄕飮禮示諸君子 槐新杏古似洙鄕。敎在興賢戒濫觴。後學經營非一日。先朝儀物幸重光。三辭聞命升賓席。百拜忘勞到夕陽。願我諸生仍紹述。山如不老水如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白羊寺雙溪樓板上韻 千古白羊欲問僧。圃詩在壁世傳能。山回九月楓丹又。樓合雙溪水碧增。定到雲門仙不遠。端從物外佛同澄。悤悤三十年前事。那把新詩更一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金上舍愚拙【慶奎】圜扉韻 以金寒暄趙靜菴宋尤菴三先正受命所仍院事朝暉紅射煖如袍。十里歸笻未覺勞。酒別西京圓夢濶。詩遊南國一肩高。踽凉過夜無聊睡。忼慨更冬不幸遭。隻手敢障東海水。君非愚拙便熝豪。物不得平也有聲。滿天風雪又孤城。雞嫌坐寂酬三唱。燭喜書看助一明。死亦猶甘堂號福。威焉肯屈杖魂驚。仰如無愧須吾分。何彼蒼蒼上訴情。叔世人情未可期。花飛葉散仕風隨。道如徇枉原非道。詩亦工窮便是詩。一粟無功投鉅海。孤軍不戰竪降旗。雖然所蓄知平昔。此義誠難辨霎時。【言之所不能盡。而咨嗟詠歎之不已。音響節奏之。必有此詩之所以作也。爲此詩者。且難乎。能言者。況乎未敢言者。第以此三詩添作一詩軆。始言境中。言情未言思。言之所不能盡者其景也乎。茅二篇逸頸聯補以一驚字。音響節秦之所必有也。字驚語不驚。再日昨抵舘下。但使主翁知咨嗟詠歎之所不已也。似償實未償。此又詩外之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樂山韻贈道谷金【明彦】 里上攸廬擇亦仁。知君況是樂山人。郍中出處應盤谷。斯世明狂或季眞。樹隱流風全似古。森溪朗月倍增新。蒼屛白屋多淸福。晩境生涯自不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金竹林【國鳳】 竹林淸士晉千年。含盃高致坐談玄。爭似金公知免日。不讀酒經讀聖賢。十二平章宅。七旬謹勑門。紆懷來慟哭。白屋有孤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悼次孫痘化仍用醒字寫懷 人生大寐苦難醒。未百齡然未一齡。美脹當膿旋黶黑。良材如療贖銅靑。顧余否德無貽翼。憐爾非常獨弔形。眉宇森森猶在眼。郍時更返此門庭。蓮上集卷之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奇參奉【升奎】 年前甚風聞有所遭多月棲屑。未知下稍之。如何。逢人必問。皆無指的說矣。苟若情到間。當進慰者。爲十分道理。而日前從姪之趨拜也。亦杳然莫知。未有一字問候。追惟罪悚。實非尋常。或不以此歸諸例套語乎。間又幾多日。伏詢體候。連護邁旺。於便後曁各節。亦復坸相。伏溯伏溯。世生出沒塵臼。已是自分。而兒又病痁。自七至今。悶悶沓沓。如何可控。開月間。以先山修築役。又營洛下行。凡節愁擾中。次孫兒種痘。又始之。無非關心處也。茲因令甥便略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朴顧庵【孝一】淸溪齋 人有三居。山海溪是已。山居多陰移群絶俗之居也。海居多瘴長干愚叟之居也。惟溪居也山爲源而海爲委。無多陰多瘴之病。有仁者智者之樂。求古賢人處士之居。若剡溪竹溪建溪等。溪居多而淸溪之見於世者尤著焉。在春秋峕。有鬼谷之淸溪。在武陵源。有洞仙之淸溪。在點易門。有道士之淸溪。信乎。淸溪之美也。觀其居可以知其人焉。余友朴斯文孝一眞淸士也。周遊十載閱南國名山大川。而歸定居於詩山象頭之陽小溪。村人謂之眞溪。溪之眞者。惟淸也而已。舍是淸則溪安得謂眞也。涵芷蒲。穿桃李而成蹊。扣枻濯纓歌滄浪。而爲綏深。有盤谷之魚。或一竿而垂釣。睛對山陰之雪。乃小舟而乘興。三峯之朗月。少焉而徘徊。雙巖之奇花。杳然而流去。人影在地。眞別有天。獨高之霧初罷。彷彿無風之鏡水。九將之瀑長掛。疑是落天之銀河。花坪歸雁點點於兩岸之苔。瀟湘何處墨榜落霞依依於孤䳱之背。秋水一色。眞所謂好風水第一洲也。客有過其溪者。少頃其身淸。已而其心淸。翛然作淸。談曰。是宜名之以淸溪。主人曰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柳允之【志榮】 阻若相忘。歲色薄薄如紗。仰詢侍棣候。連護萬旺。溯祝溸祝。弟身疴室虞。彌月倂苦。憐悶。卽接嶠泥龜老兄書。則魯校尹參奉十一月二日。政後職除元陵寢郞。知舊之喜消息。而在兄地其諸異乎餘人。要余轉報。故爲此逓仰。而如可修嶠候也。新正有蘆竹。好信風諒會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柳允之 故人書已極感。而咸友又帶訪。荷貺稠疉。何以爲謝。追惟疇曩。旋不覺愴然。矧又賢閤夫人患節。未知因何而至此之久也。第念家貧之思。中饋如此。其所艱虞。不見可想。動止何似。各房允兄侍湯中。共無大損。遠溯且仰。實非尋常。弟狀風濕交攻。藥之鍼之。雖不至病廢。猶是半截人。元氣不知落下。幾十百丈。兒又宿疝。往往委痛。今亦不健。觸目愁亂。難以形諭。尊先祖哦亭公墓道後碣。尹寢郞旣復職廟堂。風波又宿。以若感天至誠。何患乎。其未之遂也。鳴金草誼。不敢以不文辭。猥此寫呈。而秪恨體裁生疎。未能形容。其原蹟原寃之萬一也。西行想入魯校矣。幸與之議。而以之用捨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叙牟陽鄕約案 吾鄕可謂近古之風。而不古之風。猶有一焉。葬虞朞祥人家之何等大禮。爲人子者。誠宜啼號而岡極。爲弔客者亦當匍匐而相救。則略設蔬果。以資迎送古之道也。今也則不然。宿齊之日。大設供帳。盃盤狼藉。觥籌交錯。所謂愚夫稱以弔客。終日經夜。飮取飽。隨意歡笑。看作宴會之日。乘醉闘閧。便成市肆之風。哀喪問孤。意果安在。噫。主人極力營辦享需。猶艱疲。精供接。哀慽靡遑。則如在之誠。從何做來。且如主人或家貧而薄設。或矯俗而儉禮。酒不及醉。肉不及飽。則餔餟之徒。反席而訾毁。駭悖之類。當面而唾罵。雖有知禮之家。同歸末流之弊。而賣土出債。期免客禍。此等壞禮敗俗。在叔季之世。猶尙未聞。況吾小中華之南州冠冕者乎。識者之嘆。厥有日矣。因循到今。莫非吾士林之一大羞恥事也。廉恥節禮人皆是知。則顧何難於反漓以爲淳。而非禮之禮。耳濡而目染。一家一里先之。而不得則爲今日一燮之道者。莫若自鄕中。僉同詢謀。嚴立科條。痛加譴斥。使吾鄕一新而復古。則不亦休哉。不亦美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方丈山祈雨文 節彼方等。鎭我牟陽。曰肅曰又。時雨時晹。天高聽卑。莫云冥冥。熯色不辰。農月適丁。桔橰徒勞。稼穡卒痒。原田告㦖。石山焦傷。夙宵虔禱。牲幣旣具。伏乞神明。亟賜甘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金丈【慶澤】 脫屣人間九十年。塵緣未凂老神仙。曾從英抱同研會。爲拜韶顔短竹聯。話到通家先契重。謨貽肖胤一經賢。殘花流水渾如夢。回首春山覺惘然。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