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渡漢江 湖海風波五十春。孤舟何處覓要津。身言豈有堪遊世。貴當元無可悅親。山色千程藜杖倦。江光三月柳條新。無端歸鳥河陰影。賦送淸篇感後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足一樣寒句 梅與吾曹一樣寒。直敎詩也。尋常記在心下矣。歲在攝提格律協姑洗之月。送伊人歸嶺也。于時風甚烈雪亦飛。但見園梅獨發冷蘂。蕭條恰是俄間行者氣像也。仍記昔年酬唱。豫爲今日兆朕異哉。自風雅之不作。而興觀群怨之義。不復可見也。秪爲天下之過。鳥飄花者。不由情性之正而然耳。不然其所以可興云云者。豈獨古詩爲然也。今讀一樣寒句。使吾不能忘其群。而如有所怨焉者。豈非所謂出於情性之正。而可以興觀群怨者耶。因感而足焉。三月日之三。惆悵與君別。僕夫怨歧多。嶺語亦自切。遠送吾且能。丹藜扶蹩躠。蘧蘧出洞門。冷颷吹霰雪。款段縮不申。促蹄皆凍裂。投轄歸孟公。小車出康節。淸姿況向衰。偪寒恐氣苶。去何若浼焉。和者云不屑。所懼曠晨昏。情狀吾矩絜。處贈亦靡遑。豊隆御歸轍。方塘暗風波。何時疏鬱結。忽見古查梅。氣條冠國列。風雪不相存。翩翩來拍掣。瘦質可力排。誕辭骨如鐵。騷怨雖返魂。腮凍不能說。如何別後情。對茲益悵缺。非爲淸冷姿。性癖所饕餮。分明雲中春。畵出人疎拙。豈其與雪期。氣韻暗相竊。龍眠惜難工。非物欲奇絶。風也空偸香。雪者謾猜潔。眞境如可分。何惜一枝折。秪是一樣寒。疇昔有遺闋。好辭儻有心。豫爲今日設。詩之可群怨。影響猶不滅。豈非因性情。天機乍漏洩。乃知冲淡聲。聖卜心所悅。如何驪鳳流。斵雕競優劣。三復大雅篇。餘懷托筆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戊子元宵後夜 前宵缺月今宵圓。始覺前宵是望前。若良辰景非好。那令老骨興無邊。雪山壓盡三千地。冰海凝連上下天。隣語巷喧皆自樂。新春聊喜太平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金士亮 聞說三洲風俗仁。祇斯已合處斯身。況對兩山浮鏡面。看君疑是水仙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微痾 少寒侵外便攻內。穀府虛空似歲年。殘月滿山心耿。耿方知能食乃能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諸名勝遊白羊 羊山何處紫煙浮。遊賞孤違諸子秋。碁話偏令柘泉壯。楓光全付錦城收。德松與月迎巖下。莘野濡毫灑軸頭。直待明春花事好。杖藜聊占我風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落齒 齒與我麤是亦天。如何保得六旬年。朝朝鹽洗要常潔。夜夜綿敲自謂堅。胡乃磯如啗便激。等爲病也落差痊。摩挲未已因藏在。豈忍相忘棄遽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丙申上元 上元蒸糯剙何時。羅季遺風聞已熟。婢要供馥朝烹艾。奴爲驅臊曉爆竹。曲塘水薄魚鱗明。古巷天深烟霧宿。雲外月迷遙對日。野農堪笑有年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見兒子和李大耀遊月仙峯韻 諸翁追逐月峯靑。風韻能醒此病生。東泰有餘登小意。荊高不盡往歌情。倦遊便與山川壯。盟好方從花草平。但耳得之眸得未。氣鹿閒向肚間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男孫生 六旬有九見男孫。皓首歡欣可勝言。儒賢舊業光吾祖。文武長程大汝門。神奇卓異雖才賦。忠孝寬洪願性存。豈意窮山衰朽物。暮年還得好乾坤 。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辨原韻 甘者未能後鶴凋。如何偏感爾詩豪。詩豪莫復分甘鶴。所尙非香是節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丁亥除夜六十韻 當年志氣出乾坤。小藝奇功何足言。百世淸風守松宅。一天化雨沐蘆門。在師只是虛名弟。於祖終非克肖孫。空把六旬付春夢。回首不覺曠懷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戊子舊曆 吾生於戊子。戊子曆是吾同物。甚可惜也。歲起於戊子。終於丁亥。曆書與之。始終凡六十年。次第俱存。遂成一部六戊全書。而戊子爲之首也。君生戊子我同物。歷久其容亦甚衰。無窮雨雪風霜積。幾許星辰日月移。一時才過皆千古。千古都看便一時。六十舊顔情厚在。摩挲悵子何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戊子新曆 戊子吾生年也。今見新戊子不。覺有愧于心。何哉。戊子則新。而吾則不能新。嗟乎。蒼顔白髮已老者。固不可復新。而心地亦不可以復新歟。心地可新而不能新。此吾所以有愧於新戊子也。新戊子非昔戊子。如何戊子乃同名。髮膚若是吾全老。日月胡言我始生。首建三正依舊夏。大書一統至今淸。階蓂不識人怊悵葉葉朝朝萌又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漆杖 瓜木旣材美。漆焉更覺侈。丈人懷椘荷。君子憶朱倚。彼相危而顚。則行吾與爾。自從得汝來。巖險入平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衣冠 衣冠今獨我東存。華夏遺風尙可言。箕敎長懸前日月。明民猶在舊乾坤。海間漸聞人文闢。天下方知吾道尊。仁者其誰攘左衽。夷吾優入仲尼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立春 支離艱險涉隆寒。春煖方令老者安。氣志那無思奮發。體膚渾不覺凋殘。葵園自理稱心易。菊砌仍修努力難。從此巖棲多好事。草萌已向雪邊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聖人 聖人者。天地之元氣也。聖人之所以爲元氣者。以其道也。聖人雖沒。而道之傳於天地之間。而所以爲元氣者。自如也。元氣者。天地之所以爲天地也。天地而無元氣。則不可以爲天地也。故天地無則已。有則必有元氣。而聖人之道。卽是天地之元氣。則天地無然後。聖人之道。乃可無也。二五聚精秀。人中有聖人。天用莫如氣。氣也不能坸。陰陽不齊地。輔相功若神。蒼蒼天無語。聖則誨諄諄。使天若無聖時序失冬春。如何天地閉。賢人將隱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揔論甘鶴 昨夜飛霜促物凋。江城殘卉少强豪。孤節惟君兩黃在。式相好矣莫相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亡室鄭氏文 嗚呼。亡室。天胡禍君。夙年罹疾。吾不幸爲君之夫。苦心救護。忽焉星移三十七。木之啼石之笑。君胡爲乎。精魄之失。凡吾所崩心者。不可與君言惟君之鬼神。可以質君非欲?我。我亦無所怨於君。將相慰於泉下。異日君之魂。無或飄蕩。庶其依我而歸。有木主。吾書之以手筆漸之。築旣堅乃返。吾爲夫之道畢。嗚呼哀哉。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