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漢光武中興論 嗚呼。帝王草創之業。實天下之所難。撥亂中興之功。亦萬古之不易。以布衣特擧大。義創興艱難而得其正者。無如漢高祖光武兩皇帝。何哉。高祖。以泗上亭長。提三尺釰。起於沛澤。誅無道秦。討項籍。罪定天下。以草創大業。垂統數百載。王靈不振於中葉。有王莽者。簒弑自立。盡廢劉氏宗族。罷漢家宗廟。於是天下。知有莽而不知有漢。漢祚絶矣。噫。劉氏。得顯爵。處公侯之位者。非不多矣。朝廷舊臣。亦非不存。一無能起義討莽。反以附莽者。紛紛然有之。獨光武。以宗室之親。徒居南方。數世未有達官高職。只是一介布衣耳。慷慨有大節。當此之時。賊莽行暴。天下大亂。豪傑竝起。各自稱王。僭自稱帝者。不一二可數。而光武乃奮氣思義。起兵於壽陵。東征北伐。西攻南討。天下響應。四方豪傑。爭先竝興。大小百戰。諸賊稍稍平定。乃誅討賊莽。卽皇帝位。復高祖舊業。其勞心之勤憂。征伐之艱難。賢將之任用。大度之豁達。得天下之心。其明見萬里之智。實非後世創業者。所能及之。而有光于高祖也。然余每於高光創業之論。妄謂未嘗不小有優劣也。所謂優劣者。以用賢任能。擇善行仁之道也。竊惟高祖創業之際。良將謀士。不過乎蕭張陳韓數人。定天下之後。或繫獄。或斂退。或被殺。創業功臣。一不得全。竟致呂氏之禍。光武則不然。賢者用之。不肖者戒之。君臣禊合如符。中興功臣。太過數十人之多。而各盡其忠義。勇於王事。但卒于軍者數人。而其餘。則共享富貴。以終其身。噫。聖人云。君使臣以禮。則臣事君以忠。禮之所在。不可以輕殺。忠之所在。不可以自反。微臣亦不可。況將相之有大功者。乎高祖之見大臣也。或踞而見罵。無禮莫甚。奚望臣子之畢忠於上乎。其義一廢。則豈其無反奪之禍乎。此高祖之所以致呂氏之禍。而不及乎光武之令反側者。自安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余年今二十六。忝被剡薦。對策于展庭。退宿于泮宮。與多士剪燭拈韻 選士卽今廊廟淸。滿庭洋溢走書生。明時際遇稱堯舜。群彦追隨若弟兄。是日共承丹聖渥。疎才愧乏素微誠。西廂夜寂人喧息。風便喜聞絃誦聲。謾使虛名貢擧鄕。初心不讓致虞唐。頒綸方急招賢俊。獻策誰能設大綱。志士元來求蓽戶。英雄從古起農桑。賴天遇順飛鴻翮。雲路迢迢向日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廟 國都南門百武許。古廟松柏森森靑。云是蜀漢關將軍。列士曾至侯壽亭。當年義氣聞天下。貞忠丹忱炳日星。誓滅曹賊討群盜。下奠蒼生社稷寧。社稷未報時不利。萬事東流辭漢廷。荊州一失非公失。天意終厭垂卑聽。豈徒不禁英雄淚。遺恨千秋目難瞑。至今華人爭崇奉。如何遺祠曁東溟。國家否運壬丁年。眷佑東士頻顯靈。齊東傳說誰得知。三百年來萬口銘。是時天將初刱建。廟貌維新嚴典形。禮數祀典自別異。歲歲犧牲無所停。我來今日秋氣高。古木蕭條風起汀。像想靈魂應不昧。長吁漢代淚自零。都人不識將軍義。日夜滛祀滿前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鼠相害 我來遊京國。京國多紛華。質性不好之。覓向靜處家。靜處少人到。狂塵不敢加。竟日無所事。是眞何地耶。悄坐良久許。注目墻壁斜。忽見一鼠出。一鼠從傍遮。兩鼠熟視之。對峙不相遐。有若相敵者。碩鼠竟一拿。項刻嚼而斃。始信鼠有牙。渠以同類害。厥由不可査。恩怨胡自生。所爭應是些。從前名利場。此鼠列如麻。賢人長避害。世事亦堪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邂逅權詞伯道壽汝會於洛社。臨別贈律。 三角山前一見君。逢場文酒覺微醺。老年薑桂辛兼辣。盛世詞花子獨芬。是日將離聊贈芍。明朝相憶復停雲。從今卬有豊南友。別後應知此意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國家三首 國家五百載。剩得小華名。蕩蕩乾坤大。昭昭日月明。道源尊孔孟。文學彰朱程。朝野昇平久。不曾尙伐征。箕聖遺風敎。蔥蔥起士林。家家積黃卷。處處會靑襟。臣盡忠君志。人懷報國心。如何當叔世。回首小知音。滿目蕭條態。人人不古情。宮花春雨濕。士氣秋雲輕。澤畔吟漁父。長沙屈賈生。東西南北路。豺虎任縱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遊瑞石錄【幷序】 瑞石。南土特鎭也。東南諸山。無可與等者。故又名無等。巍巍孚柱天直上。余所居屋。隔在三舍之外。正如相對。晨夕瞻望。英雄豪傑。慷慨文章之士。往往登臨。風詠而歸。余自省事以後。經營一登。爲俗累所牽。耿耿五十年。時癸丑五月戊午。路出光山。乃與二三同志。間關前進。渡浿湖過福川。冒雨越耳嶺而宿。己未早發。過穴巖里。入鼎谷村。小歇脚。入瑞鳳寺遺墟。登月禮巖上。神仙臺。入首陽山洞口。素石白流。孤竹淸風。可謂千古勝景。如伯夷叔齊。庶幾朝暮遇也。良久。上鵲峯。下烏南啼峯。復回宿鼎谷。庚申早發。入梨峙金章植家。章植亦與同伴。過安陽窟。上元曉菴。風起雨注。宿菴裏僧舍。壬戌大雨。癸亥雨止。早發。耕雲踏水而進。過元洞晩峙德山。登瑞石。擧目四望。千山萬岫。伏在足下。層層素石。疊疊奇巖。環如屛列。光如玉潤。嚴肅之氣淸秀之像。如一方丈人。軒健特立。兒孫羅列于前也。緩步登最上峯。飮數杯。歌武侯出師表。文山正氣歌。遙望下界。此身若羽仙而登玉京。憶前古已往之事。念吾無窮之劫。不覺雙眶出汁焉。攀石扶巖。下廣石臺。入圭峯菴。觀風穴臺。望桃源洞。乘石橋入石室。過地藏菴。吸淸泉。登立石。暮入澄心寺宿僧舍。甲子下光山府。滿目景色。無非斷腸。消魂處也。卽向梧峙。宿李友景直家。乙丑往拜支石村內從氏。仍留宿。丙寅午發。宿復村鄭景春家。丁卯復入光府。論醫藥來。宿和順林伯道所住房。戊辰。至家庭。親癠無加。眷集無頉。幸莫大焉。所過處。奇聞壯觀。要以詩摸像。而不得略擧萬一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起憶海心兩丈 挑盡靑燈倚竹欄。所懷何事不曾安。深宵雨壁蛩音濕。殘月霜空雁叫寒。雪髮共歡三影白。風波長憶一心丹。可憐相許相扶志。棘樹蒼蒼枯蕙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卯君除夕韻 自吾兄弟住西東。此夜三年不與同。人世方知無故樂。我心徒鬱有誰通。凉凉獨酌樽中白。耿耿幾看燭裏紅。憐爾詩情先獲我。一回吟罷意無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二鳥詩 二鳥是何鳥。其大亦云小。一鳥耀文彩。一鳥垂潔皎。潔皎仙者隨。文彩聖人兆。聖人世不出。仙子世絶少。世人不知爾。爾來何其杳。岐岑雖已遠。朝陽可以紹。憂然九皐聲。千年返華表。俯視人間世。九有波渺渺。未逢知音者。飛飛太淸遶。悲鳴蹔不已。百日顔色愀。忽然兩相遇。聚首鳴未了。不幸還爲幸。恨恨不在肇。翶翔將比翼。此意難復曉。天公下分付。送之越與趙。鳳去鶴南飛。各懷憂悄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記夢 戊寅之秋八月旣望。余將晝枕。遽遽而夢。夢信步到一處。不知何地。有大厦數千問。高五丈餘。乘危梯而上。其上布衣偉冠。如如焉列坐。有甚講論。旣從傍委曲。而下一間茅屋。階級不甚高。窓明人靜精潔可愛。望其中惟先聖在座。方倦而倚。以夢中景象。則屋北向于南面。但見光輝。未承一誨。而夢覺洒然。當時謂庶尋夫子之門墻以警此生。今忽焉五年矣。學不加進。只是舊樣人。可憎可惧。謹用一絶志之。聖人已遠千秋餘。何我丁寧夢不虛。夢若非虛還可念。主翁今日欲何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蔡三友。抱歲寒之志。植松竹梅爲庭實。仍以三友自號。謹次其原韻。 松梅修竹逕三開。爲愛昔年次第栽。寒性凌冬霜後見。永精宜夜月中來。四時蘊藉靑春在。萬事尋常白髮催。勁節貞心高士屋。相推友德不論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楊波亭 楊柳春波送客歸。淸朝月夕不相違。閒花帶雨香全濕。好鳥臨風習欲飛。十里沙明恒淑淑。萬條煙綠自依依。主人高尙丁寧志。獨臥江亭晝掩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徠笑亭 作亭晩計在安居。萬事由來一笑餘。峯秀金鷄天曉近。川流別鶴世緣疏。揣摩身禍惟懷璧。料理家傳卽古書。不向黃塵隨衆去。待他瑞日復陽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小峯李公諱鎰。字益汝。祖述小松。紹父日峯。自號以寓慕。其先星州人。初祖。新羅宰臣諱純由。當麗朝鼎革。廢徙京山。京卽星州。仍爲貫。屢傳而隴西郡公諱長庚。受封星山君。諱兆年。進賢館大提學。謚文烈。襲封至星山侯。三傳至文景公諱稷。入我朝。錄佐命勳。領相封君。賜不祧。歷六世諱珹。當戊午禍。以典牲奉事。碎帽南下寶城。爲郡人。世著名德。諱國鎭。贈吏議。寔公五世。高祖諱有源。贈吏判。曾祖諱箕大。號可隱。好學力行。屢登鄕剡。贈持憲。祖諱志容。屈親陞庠。歷熊川興德石城等邑。著治績。興儒化。考諱敎文。學邃望隆。爲蘆沙奇先生高足。三世遺稿。行于世。妣延日鄭氏。父汶。文淸公松江澈后。以洪陵戊辰九月十八日。生公于可川舊第。雋偉膚碩。小松公期遠器。錫嘉名。鍾愛之。未一年産弟。公不嗜他人乳。祖母高氏。念育恐育鞠。百方劬勞。公恃祖母猶母。及長。祖毋笑指鄭氏曰。是汝母。我汝祖母。汝尙知不知耶。蓋愛之無已也。又嘗曰。汝勤篤立揚。吾願畢矣。小松公。手摩頂稱骨骼。就傅諭。嘉言善行。謂男子不虛生。敎必有義方。學問進修之方。古人讀書。法舜何顔何。朱子十悔詩。公已得於手鈔口授。叮嚀反覆之餘。幼儀之學。逈出等夷。成童。左右自擬。遠大事業。志氣已卓如也。丙戌年十九。七月哭慈母。八月祖母見背。公號哭幾滅性。時內無主饋。外多應酬。小松公。命公幹蠱。公恐家道不成。承奉上下。洞屬扶持。聰悟英明。祭儀賓禮。小大無遺。夙夜匪懈。慰悅重庭。餘力執業。孜孜益勤。辛卯小松公病篤。及臨命。執公兩手泣戒之。畿湖先墓守護。群弟敎養。娣妹婚嫁。家戶保全之策。一一指授。公含痛受訓。初終葬祥。式禮罔愆。濟活百口。可隱實記。小松遺稿。五世墓田直土。祭器什物。次第經紀。初可隱公儲書草堂百架。建川齋置田甚多。爲子孫及學子講習資具。百種果木。萬幅山林。千畝松篁。排置遺護。孝友敦睦。躬行率德。而勤儉立規。此所以皐唳蒙數。而興業創垂者。至且大矣。公常曰。此非一朝一夕。卒辦爲獲。乃幾十年竭心窮力積久致傳子孫。當倍加用誠。勤力守成。二十年營畫。不棄基。又。謂吾家。自。甲申變亂後。橫被中替。丙戌喪禍。戊子饑饉。甲午東擾。備經艱險。此猶過境。乙未國變後。島夷猾夏。逆黨踵蘖。連年桑海。三千里箕封文明。五百年太祖故國。一朝淪爲夷狄禽獸之域。生民塗炭於罟擭陷穽之中。莫之知避。覆巢之下。理無完卵。大廈已傾。私室何支。當此時也。冠儒服儒。堅操篤行之士。尤爲時輩眼釘。先受奇禍。父母之遺我膚髮何以死守也。壬寅冬。結廬草幕洞先隴下。埋五世祠板。陪日峯公率眷深入。爲苟全性命地。目下國事。日益岌嶪。至乙庚。僞約合邦。丁未內禪。禍變極矣。戊申己酉間。南土義兵四起。出沒山野。公所居。爲順寶要衝之地。倭賊覘跟。欲剗地埋殺。謂日峯公素負人望。藏機待時。招納募義。自爲窩主。不然。何舍家室而窟處也。七耋癃年。受毒最甚。父子兄弟子孫。株禍苦楚。家産蕩敗無遺許。大眷族無奠接之方。公仰天太息曰。江山雖美。斗屋難成。天地雖寬。隻身莫容。穴處谷飮。朝夕侍湯。相依爲命。甲寅遭故。三弟流散。救活內外。疾病憂戚。去死不遠。公獨疚廬幕。吟痾骨立。下室之饋食僅繼。公冤籲父母。欲歸侍泉臺者累矣。六年間四世諱辰。別爲文祭告。冤痛迫切。重言複說。摸象先德。世述家業。罪已責躬。至不忍讀者。爲十餘度。今雖節刪過半。公致嚴如在之誠。足以感天神佑。豈眞如公自道也。小松公。嘗以非辜謫山淸一年。日峯公極伸理得直。公奉晨昏於日月。寢餗優安於在家。日峯公。承世抱返。居京國之志。遊洛多年。交士大夫賢有德者。間寓恩津錦陽圖畿搬之便於中路爲十五年。音書覲省。陸續不絶。季父小梅公。畢生爲宗子家相。及沒。一祭再祭。悃幅愈著。二弟分離湖西。去而詩送。來而涕迎。雅以受敎家庭者。授之諸弟子姪。若勸學文。三遷說。泄於骨髓。是故。季弟鐺。沈洪多識。三子樹立雅飭。一門子姪。彬彬多文學家風。餘祿尙未艾矣。公以丁卯四月二十四日卒。葬于寶城郡文德面德峯村右麓艮坐。配延日鄭氏。道源其考。生前公一年。圽後公十九年。甲申二月初三日卒。葬于同郡同面長洞村左麓己坐。擧三男七女。男龍淳。鳳淳。鶴淳。龍子相夏相武相潡相奎鳳子相勳鶴子。相舜相仁。壻鄭雲鶴。李秉河。許屹。林錫周。奇金燮。宋俊燮。李珉相餘多不記。嗚呼。公體幹壯實。顱圓面長。眉宇帶山澤之氣。衣冠有長者之儀。言論風旨。足以勵俗而入淸直。文學行誼。優爲範世而回淳正。時値蔑貞。窮居巖穴。壽且不永。事業不著于後。必起有識之竊歎。然世情可見於貧富。名節難保於變亂。昔人所慨惻。公在顚沛傾覆之秋。風霜歲寒之操。百折不摧。蔚然爲法家拂士。後世尙論者。誦其詩讀其書。孰不興感哉。公未弱冠。秉執家政。不失五世遺業。何時出入。何時毒書。餘力之工。浸涵薰化於箕裘書庫中。不規規於拘儒俗士。擎跽曲拳。而自有軌範。出入于松沙奇先生之門。尋父師淵源。得聞人所不聞。往來嶺湖五百里。賢人之聚。故家世族。婚友朋德。往往爲士君子淵藪。交遊觀感。江湖勝地。徭俗風土。周覽疏暢。得於典雅況重。博聞强記者爲多。是以形於詩。或懽欣和悅。或悽楚慷慨。不拘聲病。淋漓揮灑。世道之治亂不同也。著於文。或困心橫慮。或張皇反覆。不避煩複。連章累牘。男兒之志氣莫伸也。中國變於夷虜。聖學混於異敎。節義壞了。廉恥塗喪。孔朱之尊華攘夷。濂溪之光風霽月。淵明之松菊。嚴陵之風絲。無有不慕。而漢業中興。臥龍何起。宋德休明。兩程誰作。故都黍離之歌。大梁城東之歎。轉深於西山東海。公本無食人事人之勞。而草野丹忱。屢發椎秦。剌褐之憤。此不幾於漆嫠之恤乎。公平日觀法。在春秋綱目。宋子大全諸書。旁及百家語。遇忠義烈士傳。輒擊節歎賞。値國憂痛極。髮竪膽裂。慨然奮發。援筆記思。及遭戊午弓劍之痛。有聲天下大義。懷斬將搴旗之想。每歎君山讀兵。浣江鐵衣。無以有爲。豈非出於彝性所同乎。嘗與余論關西義士。安重根殺賊事。徵之以千古義俠。謂快心雪恥。有辭萬國。因講討復之議。語之而不休。觀此則公氣度。殆若嚴毅過强。性又飄灑。當春和景明。秋月灑落之時。得會心人。文酒擺脫。抵掌談笑。樂易和厚。風流動一座。念昔訪公于可川川齋間遂執御而還溯程江八詩川公和淸商雅操。詠秋水文章。余和公詩。有靑紅園果分生熟。大小川流酢淺深之句。時心齋李公。愛蓮堂曺公。海史兌承。李友樂川敎川。傡在座。公笑曰。生熟淺深。誰可當者。余曰靑紅自別淺深。可見少年不及大年。蓋稱公詩爛熟深奧也。諸公許以老少知遇。今思之依依如昨日事。忽忽三十年。遽以諸子謬託屬筆狀行。且奉遺稿。示及案擎數月。悅然如有所得於心者。當公之沒。生芻雖設於門。鷄絮未奠于靈。負負可罪。略撮公行。治爲文。貢償宿債于龍淳。追敍世分。庶立言之君子。採擇一二而爲銘焉。歲戊戌三陽月上元前。濟州梁會甲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연상집(蓮上集) 5卷 2冊 蓮上集 蓮上集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문집 표점영인 蓮上集 刊記(推定): (行狀)高宗癸未(1883)終于蓮桐...(跋)觀化後二十三年...歿三朔~工告斷于...乙巳(1905) 刊記(推定): (行狀)高宗癸未(1883)終于蓮桐...(跋)觀化後二十三年...歿三朔~工告斷于...乙巳(1905) 安重燮 木活字本 2 有界 12行22字 한자 內向2葉花紋魚尾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1905년에 간행한 조선말기의 학자 안중섭(安重燮, 1812~1883)의 시문집. 『연상집(蓮上集)』 해제 1. 안중섭(安重燮)의 생애 『연상집(蓮上集)』은 안중섭(安重燮, 1812~1883)의 시문집으로 그의 자는 순화(舜華), 호는 연상(蓮上), 본관은 죽산(竹山)이다. 그의 선조들이 고창에 거주하게 된 것은 안초(安迢, 1420~1483)의 여섯째 아들 안자전(安子詮, 1461~1489)이 모양(牟陽) 윤씨(尹氏) 지평(持平) 호(瑚)의 딸과 혼인하여 낙남(落南)하면서부터이다. 이후 안자전의 손자이자 안중섭의 8대조인 안지(安祉)는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과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하에 출입하였다. 그러나 안중섭에 이르기까지 과거 합격자를 배출하지 못하였다. 그는 아버지 주욱(周郁)의 명으로 과거를 준비하였는데, 1837년과 1838년에 아버지와 어머니가 연달아 돌아가시자 극진하게 예를 다하여 상을 치루었다. 고조부는 대(岱), 증조부는 수창(守昌), 조부는 방덕(邦德)이다. 아버지는 주욱(周郁)으로 호는 만재(晩齋)이며, 비(妣)는 선산(善山) 김광현(金光顯)의 딸이다. 배(配)는 청도(淸道) 김씨 홍우(弘佑)의 딸과 함평(咸平) 이씨 돈인(敦仁)의 딸이다. 안중섭은 1812년(순조 12) 11월 5일 모양현(牟陽縣, 고창) 연동리(蓮洞里)에서 태어났다. 1883년에 세상을 떠났다. 부인 함평(咸平) 이씨(李氏) 돈인(敦仁)의 딸 사이에서 1남 3녀를 두었다. 그는 일찍이 기정진의 문인이 된 뒤로 문장에 힘써서 기정진과 참판 이윤수(李潤壽)로부터 문장에 뛰어나다고 평가를 받았다. 노사 선생은 덕행이 독실하고 문장이 간결하면서도 정밀하다고 칭하였다. 1880년(고종 17) 증광시(增廣試)에서 진사(進士) 3등으로 합격하여 당시에 학행으로 이름이 알려졌다. 이후 용강정사(龍岡精舍)를 증수(增修)하고 후생들을 지도하면서 기양연(奇陽衍), 기량연(奇亮衍), 기우만(奇宇萬) 등 기정진 집안사람들과 정하원·조의곤 등과 같은 동향인과 가깝게 지냈다. 안중섭은 타고난 기품이 순수하여 부모님 앞에서 거절하는 말이나 얼굴을 찡그리지 않았으며 명을 어기지 않았다. 덕량은 크고 깊어 기쁘거나 화를 드러내지 않았고, 모든 행동에 법도가 있었으며 말하고 웃는 것에 구차하지 않았다. 4세에 아버지 만재(晩齋) 공이 천자문을 주니 외우는 것을 보고, 곧 『격몽요결(擊蒙要訣)』 등의 책으로써 가르쳤는데 총명하고 민첩하여 법도에 맞게 행동하였다. 10세에 묵재(默齋) 이상사(李上舍)를 스승으로 삼았는데, 묵재가 말하길 "이 아이는 덕량(德量)이 크고 깊고 그 재주가 뛰어나니 후일 입신하여 우리 당을 저버리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성동(成童)이 되기 전에 이미 거인(巨人)의 용모가 있었으며, 책 읽는 것을 좋아하고 총명하여 깨우침이 남보다 뛰어났다. 모든 경전자집(經傳子集)을 외우고는 반드시 손수 베껴두고 읽었다. 1836년(헌종 2)에 첫 번째 배위(配位)인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상을 당하였는데, 배위의 나이가 당시 28세였다. 딸이 한 명 있었는데 젖을 먹을 수가 없어서 복을 마치고, 다시 함평 이씨 돈인(李敦仁)의 딸에게 장가들었다. 1837년(헌종 3)에 아버지 상을 치르고 1838년(헌종 4)에 어머니 상을 치렀다.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사당을 배알하며 성묘를 지극히 하였다. 선대의 문헌이 전쟁을 겪어 유실되었는데, 『여람(輿覽)』과 여러 가문의 이름난 현인들의 문집을 널리 징험하고 참고하여 덕 있는 가문에 나아가 질정하였다. 누이에게 자식이 한 명 있었는데 일찍이 고아가 되어 가르치고 기르는 것을 자식들과 다르게 하지 않았으며, 친족이나 마을에 사는 고아 중에 가난하여 상례(喪禮)와 혼례(婚禮)를 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면 반드시 구제하였다. 1862년(철종 13)에는 삼정(三政)의 폐단을 올렸다. 「삼정책(三政策)」에서는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기 위해 6가지 대 변동책을 제시하였는데, 군전적(軍田糴) 중에서 전정에서는 토지측량방법을 바꾸고 양전(量田)을 다시 실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환정에 대해서는 환곡을 폐지하여 사창(社倉)을 세우고, 결환(結還)과 호환(戶還)도 전세(田稅)와 호포(戶布)의 형태로 전환하자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주장은 토지제도를 바꾸고, 호포제를 실시하고, 사창을 실시하자고 함으로서 노사학파 내에서도 근본적인 개혁을 주장한 인물에 속한다. 백석헌(柏石軒) 기양연(奇陽衍, 1827~1895)과 두터운 정의가 있었는데 변함없는 마음으로 기약하니 두 공 모두 당대 사우들에게 명망이 두터웠다. 사는 곳은 누추하고 의복이 넉넉하지 않았지만, 편안히 지내니 많은 선비가 스승으로 삼아 가르침을 청하였는데 재사(齋舍)에 수용하지 못할 정도로 모여들었다. 당시 현에 향교가 오래되어 서책이 없음을 한탄하며 계(契)를 만들어 책을 모으니 수천 권에 달하였다. 공부하러 오는 학생들에게 반드시 『소학』을 먼저 읽게 하였는데 안중섭이 말하기를, "소학이란 책은 성인의 근본에 대해 지은 것이다. 모든 배우는 자들이 이 책을 버리고 위인(爲人)을 구하는 것은 행동과 목적이 서로 어긋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시문(時文)의 폐단을 말하면서 "문장을 지을 때는 자신의 의사를 타인에게 전달하는 데 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논어』와 『맹자』, 『상서』 등을 읽는 것을 좋아하였는데, 매번 바람 시원하고 달 밝고 빈산에 눈이 내려 밝은 밤엔 문득 기뻐하며 단정히 앉아 낭랑하게 책을 외우고는 하였다. 1880년(고종 17)에 증광시 진사로 합격하였으나 연동리에 용강정사(龍岡精舍)를 지어 죽을 때까지 유유자적하며 학문을 닦는 곳으로 삼았다. 평소에 풍습(風濕)이 있었는데 1883년 여름에 점점 심해지더니 성휴명공(成休命恭) 4글자를 손수 써서 아들에게 보여주었고, 동년 6월 1일에 연동리에서 세상을 떠나니 향년 72세였다. 8월 25일 고창 수곡면(水谷面)에 안장하였다. 교유한 인물로는 윤자덕(尹滋德), 성대영(成大永), 성재삼(成載三), 성이호(成貳鎬), 박영보(朴永輔), 조석(曺錫), 박승학(朴承學), 이호익(李鎬翼), 이조연(李祖淵), 서신보(徐臣輔), 기량연(奇亮衍), 이건창(李建昌) 등이 있으며, 기양연(奇陽衍), 기량연(奇亮衍), 기승규(奇升奎), 기우만(奇宇萬) 등 기정진의 문인으로서 관직에 나아가거나 과거에 급제한 인물들이 많았다. 문하생으로는 금서(錦西) 유준철(柳浚喆, 1857∼1918), 흥남(興南) 임노태(林魯泰, ?~?) 등이 있다. 2. 『연상집(蓮上集)』 구성과 내용 『연상집(蓮上集)』은 안중섭(安重燮, 1812~1883)의 시문집으로 1905년에 6권 2책의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1905년 기우만(奇宇萬)이 작성한 서문과 유준철(柳浚喆)이 작성한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1은 「알성부(謁聖賦)」와 「납매(臘梅)」 등 시(詩) 140여 수와 권2는 서(書) 55편, 권3은 잡저(雜著) 9편, 권4는 서(序) 14편, 기(記) 10편, 발(跋) 4편, 권5는 상량문(上樑文) 9편, 제문 7편, 축문(祝文) 6편, 행장 4편, 권6은 삼정책과 부록으로 되어 있다. 서문은 기우만(奇宇萬)이 지었다. 서문에서 같은 노사의 문인으로서 삼정책을 주장한 안중섭을 노나라 애공(哀公)에게 철법(澈法)의 시행을 주장한 유약(有若)에 비유하여 경세의 재주와 문장을 갖추고 있는 인물로 묘사하였다. 권1은 시를 수록하였는데, 대표적인 시로 석탄정(石灘亭)의 12경과 변산(邊山)의 6경을 노래한 것을 들 수 있다. 성균관의 공자를 배알하는 장면을 묘사한 「알성부(謁聖賦)」와 「납매(臘梅)」 등 시(詩) 140여 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시는 5언이나 7언으로 된 절구, 율시, 장편 등으로 되어 있다. 주변의 풍경이나 생활 모습, 교유하는 인물들과 화답하는 시, 죽은 사람을 애도한 만사(詞)가 많다. 「만선(晩蟬)」, 「호창(糊窓)」 등 소재와 형태가 다양한 서정시가 많이 수록되어 있다. 권2는 서간문인데, 기정진(奇正鎭)에게 예(禮)와 학문에 대하여 질의한 「상노사기선생서(上蘆沙奇先生書)」 3편과, 중앙 정계나 생원, 진사 등과 왕래한 편지가 많다. 윤자덕(尹滋德), 성대영(成大永), 성재삼(成載三), 성이호(成貳鎬), 박영보(朴永輔), 조석(曺錫), 박승학(朴承學), 이호익(李鎬翼), 이조연(李祖淵), 서신보(徐臣輔), 기량연(奇亮衍), 이건창(李建昌) 등은 중앙 정계의 인물이며, 기양연(奇陽衍), 기량연(奇亮衍), 기승규(奇升奎), 기우만(奇宇萬) 등 기정진의 문인으로서 관직에 나아가거나 과거에 급제한 인물들과 주고받은 편지가 수록되어 있다. 촌락의 방위를 위하여 무기의 비치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유경선(柳景善)에게 보낸 「여유가휘(與柳可輝)」 등이 있다. 권3은 잡저(雜著)이다. 초당(草堂), 정자의 내력, 족보 수정, 서원 중수, 의병 모집, 대명(大明)의 문명이 우리나라에서 빛난다는 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정자(亭子)를 중건한 사실을 기록한 「오괴정중창사실(五槐亭重剏事實)」, 설산(雪山)을 유람한 기록인 「유설산록(遊雪山錄)」, 족보를 수정하기 위한 통문인 「답보성수보소통문(答寶城修譜所通文)」, 「용암서원중수통문(龍巖書院重修通文)」, 대명의 문명이 다시 우리나라에서 빛이 날 것이라는 기울어가는 국운을 암시적으로 묘사한 「반조신필(返照信筆)」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스승을 높이고 도를 보위하고자 윤황(尹煌), 윤선거(尹宣擧), 윤증(尹拯)을 모신 용암서원의 중수를 위한 통문을 작성하였는데 그가 소론 가문 출신임을 알 수 있다. 외세배격을 호소한 격문을 접하고 호응을 다짐한 「답전주모의소문(答全州募義所文)」, 고창지역의 향토사 연구에 참고자료가 되는 「서모양현향약안(敍牟陽縣鄕約案)」, 「모양현학기(牟陽縣學記)」, 「발향적(跋鄕籍)」 등이 있다. 교서(敎書)에 응하여 당시 각종 제도와 민생의 실상을 기록하여 올린 장편의 「삼정책(三政策)」 이 있다. 권4는 서(序), 기(記), 발(跋)이다. 서문 중에 「공중누각서(空中樓閣序)」는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를 모방해서 지은 작품이다. 고을 향교의 명륜당·양사재·사마재·향음례 등과 관련한 서문, 김기두(金箕斗)·유동석(柳東錫)·박효일(朴孝一) 등 인물에 관한 행적이나 처소에 관한 서문이 수록되어 있다. 기(記)는 향교의 명륜당이나 사마재·양사재·향사당 등 고창의 향교나 백석헌(栢石軒) 기양연(奇陽衍)에 대한 글과 팔곡정(八曲亭)·만한당(晩閒堂)·동오정(東塢亭) 등에 대한 기문이 있다. 발(跋)은 계나 족보, 책에 대한 글이다. 「사마재설계서(司馬齋設稧序)」에는 '향교의 재생들이 입직하는 장소를 교재(校齋), 제생(諸生)이 공부를 하는 곳을 양사재(養士齋), 태학사(太學士)가 공부를 하던 곳을 사마재(司馬齋)라고 하였다. 사마사(司馬士)도 처음에는 양사사(養士士) 였는데 어찌 구분하여 별도로 동쪽을 사마재라 하고 서쪽을 양사재라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하며, '오늘 양사사가 학문을 하는데 힘쓰면 후일 사마사가 될 수 있다'고 격려하고 있다. 「기학사양연백석헌기(奇學士陽衍栢石軒記)」에는 기학사(奇學士) 양연이 송암(松巖) 기정익(奇挻翼)의 후손이며 백암(柏巖)의 방계 자손으로 송암과 백암 선생의 덕업과 문장을 이루려고 하였다고 서술하였다. 권5는 상량문, 제문, 축문, 행장 등으로 되어 있다. 상량문 9편은 고창향교나 사마재(司馬齋), 고창 주변의 유서 깊은 곳에 지어진 은사재(隱士齋), 취석정(醉石亭), 동강정(東岡亭), 망북정(望北亭), 용강서루(龍岡書樓) 등에 관한 것이다. 제문 7편은 스승인 기정진을 비롯하여, 종제(從弟) 안기섭(安基變), 유기발(柳基發), 박승현(朴升鉉), 유지능(柳志能), 유항식(柳恒植), 이현정(李顯正) 등 안중섭과 친분이 있었던 고창의 인물을 추모한 글이다. 축문은 사직단과 방장산(方丈山)에서 기우제(祈雨祭)를 지낸 글, 흥덕(興德)의 옥제사(玉提祠)에 왜란 때 의병장 고덕붕(高德艦)과 윤선거의 문인인 고여흥(高汝興)을 배향한 축문, 질병을 쫓는 축문 등이 있다. 행장은 안중섭의 8대조인 안지(安祉)가 양팽손(梁彭孫)과 성혼(成渾)의 문인으로서 벼슬에 나가지 않고 왜란 전후에 수신에 힘썼던 일을 기록하였고, 아버지 안주욱(安周郁, 1786-1837), 어머니 선산 김씨(善山金氏) 광현(光顯)의 딸, 그리고 통덕랑 유지능(柳志能)의 행적을 기술한 행장이 수록되어 있다. 권6은 「삼정책(三政策)」과 부록으로 되어 있다. 「삼정책(三政策)」에서는 안중섭이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기 위해 6가지 대 변동책을 제시하였다. 군전적(軍田糴) 중에서 전정에서는 토지측량방법을 바꾸고 양전(量田)을 다시 시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특히 조선 후기 실학자인 유형원의 주장과 유사하게 현재의 결부(結負) 대신 경무(頃畝)로 바꾸어서 어린도(魚鱗圖)나 추배법(推排法) 같은 중국의 제도를 따르고, 정법(井法)을 참조하자고 주장하였다. 군정에 대해서는 속오(束伍)와 수성군(守城軍) 외에는 편적(編籍)하지 않으며, 경영납(京營納) 외에는 잡색군 명목을 일체 혁파하자고 하였다. 군적수포제 대신 호포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안중섭의 주장대로 하면 기본적으로 지방을 지키는 군대만 남고 번상병제(番上兵制)가 없어지며, 각 호에서는 군포만 납부하게 되어 자연히 호포제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환정에 대해서는 환곡을 폐지하여 사창(社倉)을 세우고, 결환(結還)과 호환(戶還)도 전세(田稅)와 호포(戶布)의 형태로 전환하자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단하(李端夏)가 사창을 운영한 사실을 예로 들어 향촌 자치적으로 운영하자고 주장하였으며, 환곡의 재원은 국가재정으로 전환하자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토지제도를 바꾸고, 호포제를 실시하고, 사창을 실시하자고 함으로서 노사학파 내에서도 근본적인 개혁을 주장한 인물에 속하는 것이다. 부록은 안중섭에 대한 1904년 유지진(柳志晉) 등 문인 10명의 고묘문(告廟文), 손자 안석렬(安錫烈)의 가장(家狀), 1893년에 지은 윤상갑(尹相甲)의 행장, 문인 정규삼(鄭奎三)과 유준철(柳準喆)의 후서(後序)와 발문(跋文)으로 되어 있는데, 후서(後序)와 발문(跋文)에서는 안중섭의 학행과 문집을 편찬한 손자 안석렬(安錫烈)의 관련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3. 세부목차 卷一 賦 : 謁聖賦, 詩 : 臘梅, 次牟陽東閣鄭霞谷(雲龍)板上韻, 次碧蓮社壁上韻, 次奇參奉(亮衍)一鑑亭, 早秋登高, 次石灘亭十二景韻(十二首), 效河西先生丁未三月小學韻, 千秋節喜雨, 效先祖參辦公客行詩體兼韻, 辛卯冬約柳東岡(志能)讀書龍岡, 次河南淸音亭原韻, 題完山寒碧堂, 龍岡春帖, 春日述懷, 看書, 續題鄭雪山(在燦草堂), 續題金破愁翁三愁帖, 求藥, 丙子立春日有感題龍岡東壁, 丁丑春見打租, 野話, 夕烟, 石礀浮花, 春帖, 次斥邪疏㕔韻, 與柳侯(敦秀)遊白羊寺, 糊窓, 續申何醒, 新鴈, 晩蟬, 遊蜓, 遊內藏寺, 龍岡精舍擬紫陽夫子白鹿洞佳句, 隱士洞花樹軒原韻, 泮宮鄕飮禮示諸君子, 謹續參判公筽城舘題詠, 辛未除石, 壬申回甲, 鷘南草堂原韻, 坐寂寄懷(二首), 次鄭侍郞(誠一)東岡亭原韻, 養士齋落成, 養士齋文會所(二首), 謝李放叟(遇德)夜過(二首), 新年與李放叟李老霞(遇仁)鄭草川(鍾台)柳春江(景普), 安蘭坡(錫秘)作龍岡會, 次郭五悔(孝根)詩集韻(二首), 敬次松島羅公(海崙)遺蹟原韻, 步寒山寺壁上韻, 次洪上舍(直瑞)晬宴韻, 硯滴, 遊蓬菜山, 和洛下曺斯文(明承), 次李侠(圭常), 題月浪臺, 詠秃柳, 漢陽除夕, 次李上舍(潤德)特庵原韻, 次李參判(潤壽)新齋韻, 龍岡別章, 除夕用杜少陵臘日韻, 和淸州朴明川(弘陽)見訪, 與曺東塢(毅坤)姜鳳巖(馨秀)夜吟, 次贈康松五世帖原韻, 和水橋李(遇春)雪梅, 次石灘亭板上韵, 丙子至月柳侠以板上韻見寄聯以和之, 聞柳孝子(民植)孫婦李氏下從竦惻用三綱錄詩, 與柳桐庵(志驥)題寒山, 次柳桐庵除夕, 次儒洞鄭氏道峯祠原韻, 蕉田趙公(然明)以西林亭板上韵見寄聯以和之, 西行夜宿錦江, 華城對雨, 洛中次扶風李石湖(大榮)白靑田(鶴來)東郊晩眺, 戱續樵庵老人洗兒詩, 寒山甲膾戱拈同字, 鄭草川來仍作蓮社小會, 續題利川徐氏孝行錄, 蓬山郊行, 次扶風使君鄭(晉默)邊山六韵, 和鄭方菴(仁聲)晬筵韻, 禮智齋示諸益, 赴南省畱齋洞贈朴兵使(長夏)安上舍(景喆二首), 次李友(重九)澄心亭韵, 題泉石洞琴書齋, 次經香韓學士(章錫)東陵行中, 次騎省直中, 贈別韓楊根(用異), 和放叟未開花韵, 春帖, 敬次灜洲裴氏孝肅忠肅二公延謚韵, 次東塢亭原韻, 謹次雙溪樓板上韻, 次金上舍愚拙(慶奎)圜扉韻(三首), 樂山韻贈道谷金(明彦), 贈別姜悟叟(福)東歸商山, 上元夜吟. 贈別金友(基榮), 李水橋高仁峯(濟琳)遊寒山要余以書失會而追謝, 瑞陽與蘭坡步黃岡, 贈李水橋寓警, 次韓(在敎)愚齋原韵, 次柳月溪(潑)考槃亭原韵, 謹次安陵搜勝臺原韻, 畱別小蕉鄭(憲奎)章溪金(箕斗), 續李鴈浦(章煥)詩軸, 病中書懷, 贈別金君(瑨中)歸鰲城, 立春柳春江來強和之, 過月波亭憶主人柳友(正奎)恨吟一韵, 東樓對雪, 濟州宗人違三與柳春江同來暢和, 仁川拈韵, 和詩社諸君, 聯李進士(觀述)李進士(謙述)金進士(慶奎)白進士(鶴來)八扶風仍得雨後韻, 壬午至日鄕貢抵完和靑田白進士, 敬次李巡相(敦相)晬辰韵見寄, 誄星塢先生李上舍(可白二首), 誄蘆沙奇先生(二首), 哭柳石庵(基發), 哭鄭丈(希奎), 挽庾丈(昇烈), 挽金上舍(養大), 挽金上舍(慶奎), 挽李上舍(鳳夔), 挽高斯文(濟萬) 挽李友(赫求), 挽李友(社榮), 挽旡憫翁金(在林), 挽金友(相弘), 挽庚上舍(聖烈), 挽丁參知(載龍), 挽鄭小蕉(憲奎二絶), 挽奇上舍(益鎮), 挽李友(景儀), 挽吳梅士(鎭微), 挽鄭荗南(晩奎), 挽鄭雪山, 挽金護軍(命休), 挽奇護軍(允鎭), 挽李丈(赫), 挽朴友(宗洽), 挽柳上舍(星煥), 挽李參奉(鳳賢), 挽柳丈(志濂), 哭族兄(宇濟), 挽朴棗庵(載樞), 挽姜友(圭煥), 哭柳東岡(志能二首), 挽徐晩悔(守瀚二首), 哭柳沙川(大植), 哭鄭環溪(謹一), 哭族叔(極), 挽金丈(慶澤). 挽金竹林(國鳳二首), 悼次孫痘化仍用醒字寫懷 卷二 書 : 上蘆沙奇先生書(八), 與尹參奉(相甲)江陵匪中(與一答一), 上尹尙書(滋悳)書(與一答一), 與成茂長(大永與一答一), 答鄭致三(鍾台與一答一), 與奇校理(陽衍與三答一), 上朴尙書(求輔)書, 與成參判(載玉), 與成參判(彛鎬), 慰奇參奉(宇萬與二), 與朴都事(承學), 與金夢汝(以洙二), 答曺尙書(錫輿)書, 答李直閣(鎬異), 與李募義使(祖淵與一答一), 與徐參判(臣輔), 與奇沃溝(亮衍與一答一), 與鄭兌一(鍾澤與一答一), 與朴法聖(元陽), 與柳可輝(景善), 與鄭希淸(可源與一答一), 與鄭扶安(晉默), 與曺士弘(毅坤二), 答金致謙(壽一), 與柳允之(志榮與一答一), 與奇參奉(升奎), 答朴漢瑞(宗洽), 與鴻山族姪根, 答姜蒔鄕(福與一答一), 答柳儀賢(恒植), 與族孫錫禹, 答李英三(錫九與一答一), 與李翼汝(肯洙), 與金元一(在俊), 與李參判(建昌), 答朴儀七(載樞與一答一), 答康化允(基泰), 答柳德鄕(成植), 答柳悅鄕(志普二) 卷三 雜著 : 鷘南草堂事實, 五槐亭重剏事實, 望北亭事實, 遊雪山錄, 陳情表, 答全州募義所文, 龍巖書院重修通文, 答寶城修譜所通文, 書柳義士事蹟後, 返照信筆 卷四 序 : 空中樓閣序, 退川小序, 司馬齋設稧序, 鄕飮禮小敘, 牟陽縣校重修靑襟案總敘, 續贈崔浪谷小序, 敘金(箕斗)爲親稧帖, 與柳君(東錫)往復錄小敘, 松沙全處士孝行蹟敘, 龍岡樵庵小敘, 書朴顧庵(孝一)淸溪齋, 敘牟陽鄕約案, 敘養士齋稧案, 講會契重修敘, 記, 高敞縣校明倫堂重修小記, 十代祖考承訓郞府君墓碑陰記, 龍岡精舍記(附十層圖), 牟陽縣學記, 高敞縣鄕射堂重修廳壁記, 奇學士(陽衍)栢石軒記, 八曲亭記, 晩閒堂記, 東塢亭小記, 竹庵記, 跋, 觀善跋, 跋鄕籍, 遊龍門錄跋, 題九本說後 卷五 上梁文 : 牟陽縣文廟重修上梁文, 鷘南草堂上上梁文, 隱士齋上梁文, 醉石亭上梁文, 普龍山亭上梁文, 東岡亭上梁文, 望北亭上梁文, 龍岡書樓上梁文, 牟陽縣司馬齋上梁文, 祭文, 祭從弟基變文, 祭蘆沙奇先生文, 祭柳丈(基發)文, 祭朴友(升鉉)文, 祭柳友(志能)文, 祭柳友(恒植)文, 祭李侯(顯正)文, 祝文, 社稷壇祈雨文, 方丈山祈雨文, 鷘嶺山祈雨文, 九王峯祈雨文, 興德玉題祠祝文, 別慰祭祝文, 行狀, 八世祖隱士公行狀, 先考府若家狀, 先妣孺人善山金氏家狀, 通德郞柳公(志能)行狀 卷六 策 : 三政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聖人心法論 嗚呼。至光至明。至大至廣。至平至公。無一毫私欲之蔽。而與天地合其德。日月合其明。四時合其序。鬼神合其吉凶者。此聖人之心法也。道統也。夫堯舜禹。天下之大聖也。堯以天下授舜。唯曰允執厥中。而舜之授禹。則益之以危微精一之三言。噫。唐虞洎夏之治。萬古之至隆也。以天下相授。天下之至難也。而其授受之際。所相儆戒者。不過此數言。蓋天之生人。有智而易過者。有愚而不及者。智者每失之過。愚者每失之不及。是故。執中者治道之則也。敬者。執中之本也。苟於理欲危微之幾。察之未精。則萬幾之來。矇然不知中道之所在精矣。而守之不一。則是體驗未眞。操存不固。而理欲得失。交戰於胸中。不可得以至精一之工矣。是以聖人。必精察乎危微之幾。而守一乎大中之道。此乃主敬之實工。心法之秘傳也。嗚呼大哉。聖人之心法也。雖至於千萬世之後。使聖人者出。則其所守之心法。所授之道統。無不適於堯舜執中精一之工。而如載一轍焉。湯武建極。孔顔之克復。孟子之浩養。是也。而至於程朱。去聖遠而經殘已久。然存養心性。續千載不傳之緖。使吾夫子之道。粲然復明于世。而其所言。不過曰仁義中正而已矣。聖人全體。太極之一動一靜。而爲萬化之源。不假修爲而自然也。未至此而修之。君子之所以吉也。不知此而悖之。小人之所以凶也。修之悖之。亦在乎敬斟之間而已。程朱子之心。亦在乎主敬。而接夫堯舜精一之工。以此知聖人之心。光明正大。無纖芥之私。亘萬世而相傳者。無毫釐之相差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禹治水論 堯舜禹。天下之大聖也。以堯爲帝。以舜禹輔之。天下孰敢當之。當此之時。天下猶有所未盡平焉。洪水汎濫於天下。草木暢茂。禽獸繁殖。五穀不登。禽獸偪人。獸蹄鳥跡之道。交於中國。生靈不得生。萬物失其性。聖人憂之。擧禹治水。禹繼父之業而悔父之過。以天下爲憂。不以已欲爲私。勤力盡心。導水放海。八年於外。三過其門而不入。鑿龍門疏九河。決汝漢排淮泗。然後歸龍蛇于海。驅禽獸於山。於是萬物。各得其所。而天下平。五穀不違其時而中國。得以粒食。蕩蕩乎大哉。堯之德。巍巍乎高哉。舜禹之功也。堯以天下爲心。以未得舜爲憂。舜以天下爲心。以未得禹爲憂。及其得舜而擧禹。則其德與功。如彼其高且大。而溢乎天地之間。道之明德之輝。垂照於千萬世之後。五敎之化。至今惟明。使人類不入於禽獸之倫。然則堯舜之德。與天地久存。愈久而不沒也。大禹治水之功。亦如天地俱大。愈久而不沒也。大哉。聖人用心也。禹爲司空而治水也。舜誅其父而用其子。小無疑慮。禹盡心治水。而小無仇色。余於彼此之間。不敢論一辭。而亦可知其聖人正大光明之心也。若使舜。不以天下爲憂。而以一已爲私。則必不能用禹也。禹亦不以天下爲憂。而以一已爲私。則必不能盡心治水。而又不立於舜之朝矣。觀於此。則舜禹之心。天下之至公也。萬古之明鑑也。然非窺聖人心法。微妙之萬一者。於三聖人授受之傳。不敢妄論一辭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扶義堂次板上韻 荊益江山入夢靑。凜然如立漢皇庭。院松鬱鬱凌霜雪。廟柏蒼蒼耀日星。討魏英風驅虎將。尊周大義揭麟經。數杯醉後歌遺表。恨不今人肯自聽。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