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翠白堂記 有以叢翠名其亭者。取其岳色之環列也。有以醉白名其堂者。取其名節之可尙也。今此翠白之名。亦似合取於叢翠醉白者。然而翠非其翠白。非其自然。則其蒼然皦然隱映。可愛之色澤歷錄。然自何而來者何而來者乎。往在茂長。分爲二邑也。挾山曰茂松。濱海曰長沙。其沿革之義。想詳載於縣錄矣。不必更提矣。合頭二字曰茂長。則落尾二字爲縣空矣。君子惜其字義之淵。永榜于東軒之前。額曰翠白堂。翠固含松而來。自固帶沙而至。然後茂之爲茂。爲眞茂矣。長之爲長。爲眞長矣。其命名者。果以鄕之望。有望於鄕之後進。而竊寓勸勉之意歟。抑邑之守。有觀於邑之政體。而自寓其取比之義歟。此則未可知也。盖茂松之爲邑也。環山葱蒨。無非含翠之色。至今猶然矣。且何地無松。但觀其取義之自別也。已矣。至於長沙之爲邑也。有長佛湖者。即邑之相望處。十里明沙。其白而綱嫩。色取之則如塩。手磨之則如粉。隨風成堆。今日見則或上或下。明日見則或東或西。觀者愛其軟美取之握固。行十餘里。舒拳而見已無矣。問於居人則曰首邱矣。不如此則來玩者。皆掬取而去。無餘存矣。正合於湖名佛天輪迴之說。雖謂之虛無。而亦可恠也。合上下義。肇錫其嘉。使居是鄕者。敎誨諸郞。如范魯公之含晚翠焉。使居是堂者。遺其子孫。如楊伯起之淸白吏焉。則顧名思義。果不在此乎。且使歐陽子之叢翠。韓魏公之醉白。與在其中。逢之左右矣。夫然則古今文章。氣節咸萃於此矣。觀望攸長。依俙嵩陽。三十六峯。可以隱約於袵席之間矣。雖謂之左海第一名勝之地。亦不負於堂顔也。謹序次其言。以爲翠白堂記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弔奇宇蕃文 嗚呼。晉錫卒。得年三十一。重侍下人也。遺藐乳孤权季三人存焉。擧一家蒼黃。消魂雖不慈。子猶然矣。若其遠近親戚。朋舊街巷。黃童白叟。歔欷慷慨。莫不合辭。而悲之曰。以若人而椓之蒼蒼者。胡乃爾爾有晋錫。老友松沙鄭河源者。聞之泫然收淚而謝之曰。子之發於觀感者。平日之常理也。吾之明於逆睹者。一時之氣數也。氣之所局理。亦不得以伸焉。嗚乎。以三十一年病。得三十一壽。觀於强壯。無病而短折者。不亦不壽乎。但吾於晉錫之病。有平生一大恨焉。安將三尺劍剔。開晉錫病深處。雙手掬取宛轉。如塊物投之大江渚。前此幾年。雖使晉錫今日生明日死。死者固無憾矣。吾亦無從之淚。當與衆人同之。而可惜抹摋一病。終作平生之坎坷。遂使明粹之天姿。朽如枯木。瘦如削竹。氣不得養。才不得克。而發見子諒之本。地有感於接物處事之末。而猶不可掩者。乃如此乎。若使痊却膏盲膄然。罔生膚色溫然。充實則師門百載之下。將復見一條淸氷矣。嗚呼晉錫。嗚呼晉錫。方在齠齔學語之日。有詠梅詩曰。憐爾何處來。玉衣雪裳。其氣像之皎潔。精神之淡白。意思之超逸。眞可謂善形容自家本色。今反之曰。憐爾何處去。濡筆到此。不覺零淚滿紙。失聲長吁而起。嗚呼。當言而和氣洋溢。每見笑容。可匊臨事。而義氣舊發。或有怒難犯。衣不厭垢。冠不厭弊。襪以掩趾爲侈。巾以歛髮爲飾。此不過一措大窮陋。而風稜則梧坦竹埤。學士之淸流。標致則靑山白雲。醉死之眞人。嗚乎。歲戊辰冬。陪其大父老先生於鷲嶺之觀佛庵也。吾與晉錫。寢則同榻。食則同床。形贈影答。氣求而聲應。我去則有待。我詩我來則有別我辭。鏗然金石聲。可謂山水有淸音。將見譏諷感發之言。使鳴國家之盛。以補靑邱升歌之樂章矣。安知蒲山塵簏之中。手澤未沫。形音已古乎。嗚乎。庚午春。與余共留京師也。晉錫家中驚報。報其子之殤。滿座皆爲之失色。余以私自喻解之意。覘何顔色。則憮然無語矣。有頃談笑自若。余自語於心曰。斯人也。其太上忘情者乎。抑下愚無情者乎。何若是淡如也。經宿有日同出。至南別宮墻下。回首謂我曰。吾於七情中禀得哀意。最多悵然。悒悒之情。若初聞家信者。然余移足執其手。不覺舊疑氷釋。而且恐激動其哀情。乃徐曰。子之所指者。豈非四端中仁之端耶。卽拉歸于舘。呼酒相勸。此非素養於平日者。其發於中節者。乃如是耶。嗚呼。今平淸和之月。趍候先生於江之上時。亦墻賓之去者去來者來。晉錫要我入曲房。喟然良久曰。家親且老矣。群季亦不無縱學之資。而貧家事務。自然擔着於吾身。身病若此奈何。曰子之所愼齊戰疾幸。須調養善攝也。晉錫笑曰。調養善攝。亦非貧家之着題事也。如是纔數月大病轉㞃。竟至於斯。可憐寂寞數語。預伏知化之一懴耶。嗚乎。複嶺重隔。聲聞不能以時相通。八月初傳聞晉錫之病十分危急。旋聞稍得回蘇之甦。路馳往診視。則晉錫之形容極憔悴。而其精神若平昔。汪然含涕曰。何晩到也。余爲之惻然曰。自然至此也。嗚呼。晉錫之叔季三人。左扶右持之前護後擁。欲起則起之。欲卧則卧之。抑首而搔其癢。揮手而承其咳。燭跋替執而無滅夜。爐熨迭視而無冷時。曰苟利於病。不以無財而不求。曰苟滋於味。不以難得而不致。如此首尾四箇月。初無倦色。終無惰容。雖千百其身。必以起其兄爲期。嗚乎。此天下之好兄弟也。有弟如此。曷不承奉嗚乎。晉錫死亦何憾。歸葬于午洞先塋下。而余以多事未能臨竁永訣。茲以數行淚寫此弔文。非敢曰有得七分影子也。聊以慰同志之悲。晉錫者留侯藐孤之成立。以爲思成如見之一助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敬悅齋記 不侫曾王考溪堂公。有集未脫藁。昔年請校正于蘆沙奇先生。先生取次繙閱。至入詠詩手點。羅公諱某曰。此爲誰。對曰。松齋公裔孫云。盖入詠道內名勝之所唱和。可謂群玉淵海也。特表出而問。則其意之有在可知。而想像松齋翁之風韵。不死於公也。以其意更質於家庭。則公之氣宇軒昂。語默韞藉。非徒以詞壇之前茅。許之而已矣。齒行差後。雖未能拜休。而每遇北來之羅則必訪公之後承。初得五極焉。續見徽之甫焉。實公之孫若曾也。逢輒傾倒不置者。詩之所以感發人之情性者。指此等處耶。徽之嘗悵然。諗余曰。先子之留洛也。壯洞金判書諱某善。於書隷不徒鳴於我左海而已。至於華夏之大家。亭額屛帖之請。皆出於公之手。於是以筆家名於天下矣。嘗以敬悅齋三字號書給先子焉。盖敬是聖學之根基也。悅是子曰不亦悅之義也。則非敬不能入悅之門。非悅不能拓敬之地。敬悅二字。實爲學之終始也。語及于此。抑金公之學力。爲筆名之所奪歟。其特題權衡。想不爲妄自低仰也明矣。先子藏之巾衍未嘗自處是號而百載之下。亦可見香遠益淸矣。後死之責恐有渙散之慮。鏤板而榜于私室之楣上也。徽之爲斯言也。其容甚戚。其意甚眞。余改容而答曰。於鄕則蘆沙翁之默。許於京則判書公之顯題。卽顯微無問。哀榮巳足。抑可謂侈於華袞者非耶。嗚呼。公之不敢自居於敬悅。實不負敬悅之號者也。後承之恐其堙沒而刊榜於額者。乃所以敬悅之不負公決矣。於不休哉。徽之之屢屈講舊之餘。特叙其顚末。使百世之後。知公之無愧。爲敬悅齋翁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太極動靜論 欲識太極動靜妙。試看太極動靜圖。太極動靜云者。卽太極圖第二圈。陰陽機中含太極之妙者。是爾。雖謂之太極動靜圖。實不失周翁圖說之本意也。明乎此則。太極之所以有動靜。動靜之所以含太極之義。可知也。以之陽變陰合爲水火木金土。而水火木金土。又各占太極一圈。而五圈復合爲一極。則非但極有動有靜而已。亦爲之有變有合可也。非但有變有合而已。其曰成男成女者。非太極圈中之男女乎。其曰化生萬物者。非太極圈中之萬物乎。盖太極理也。動靜氣也。世人但知上一圈爲太極。而不知下一圈陰陽之有太極。亦不知五行各占一極。而但以上一圈爲理虛。下一圈爲氣機。而曰理在彼。氣在此。則太極何以有動靜乎云云良可。嗚乎。推此圖面。以觀書意則太極之有動靜。尤爲分明。其曰太極動而生陽。動極而靜。靜而生陰者。皆太極也。何者。理有動之理。理有靜之理。於陽有陽之理。於陰有陰之理。生陽生陰。有生之理。動極靜極有極之理。推以觀之。太極一篇。一篇之字字句句。莫非是理。則非但太極動而陽。靜而陰而。已亦謂之分陰分陽可也。非但分陰分陽而已。其曰中正仁義者。非人極之太極乎。其曰原是反終者。非造化之太極乎。學者但知這太極在上。或者以爲生陰生陽者。皆太極至竗之用。或者以爲這太極本無眹無意。安能使之動使之靜。此所以生出無限疑端者。而皆不知此氣纔動則先有理有勤之理。此氣纔靜則先有理有靜之理也。此理卽上所謂太極者。而非這太極之高坐而命之也。亦非下來而栽之也。且以這氣言之氣。非公然何處出者。則其動其靜。雖謂之自爾。於自爾處。亦有自爾之理則決矣。雖欲自爾。理不捨。汝何哉。嗚乎。月落萬川處處。皆圓旨哉言乎。縱言及此。不覺有犯於不韙之科。而此乃萬古公論之所寓爾。初非一家之私言也明矣。且學者講究。有嫌於此。則終無下手處。故妄自掇拾如此。伏未知先生以爲如何。幷乞辱敎之伏望。小蠧集卷之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寓懷二首 席上良珍壁上圖。君惟鮑叔我夷吾。凉風時動籬栽竹。霽月先看砌植梧。擲楯子康歸北海。結廬君復入西湖。後生難致曾賢孝。不見萃冠三足烏。朝耕暮讀廢誠難。古巷人稀晝掩關。波姸始覺珠藏水。木潤先知玉在山。世間誰可兼三樂。松下吾能做一閒。窮達由來天有命。好時不待自然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小蠧先生鄭公行狀 小蠧先生鄭公諱河源字希淸。慕一蠧先生孤舟大江之句以號焉。鄭氏晉陽大姓。麗季有諱璜。以大官直黜武靈。諡忠莊。是爲南下之祖。生諱咸道。始仕國朝。三子同朝。四印有亭。傳至諱繼童。官贊成。三傳諱億。錄中廟原從勳。世有官蔭。六松處士諱敏周。聖士齋諱可相。桂陽齋諱師謙。漁樵子諱達壽。溪堂諱悔燦。連世文行。皆有先儒撰述。可按而詳。曾高以上也。祖諱麟奎。考諱鍾夏號學窩。早及剛齋宋文簡公之門。亟彼獎詡。妣延安李氏。父先培無嗣。以同産鍾殷子後焉。卽公也。本生妣平山申氏。父宗八。公生純祖丁亥三月十六日。幼有殊表。才性亦出類。才學字。便屬文綴句。疑義質問。塾師或不能答。七歲丁所後考憂。哀動傍人。哭奠無闕。長老咸奇之。及長生養承重。前後六喪。情文兩摯。朔望哀省。十八年如一日。生致其樂。喪致其哀。可謂云爾矣。年十七爲吾奇舘賓。雁席見吾先子。心悅之。因有依歸之意。趨向旣早。見識已淹博。一心函席。如子弟之於父兄。五十年無替。以吾耳目。如先生者。不數數有也。每有獎詡。退而有懼色曰。恐無以副先生之期待。或承問何。退而有喜色曰。先生不棄余不肖矣。盖其見詡也。以立志堅確。見其進而未見其退也。其承何也。以素性亢直。不容人過。輒施面折也。苐其剛介性然。有擧一世譽不加勸。毁不加沮之勇。而師訓所及言下悅服曰。先生之訓。是中庸。若余徧性。知之未嘗復行。不能如顔氏。是余大病也。嘗從先子於觀菴蕭寺。盥櫛晨昏。經歲如一日。有富家子弟。自少及門。與公亦有舊。爲候問而至宿處。別房經宿。向㬂而不復候。衆中面質。一座肅然。退而曰。此子早孤富驕。不聞事親事師之道。不可無一警。是人不復親就於公。公曰聞過不改。何以其親就爲幸。其厲志有如此者。嘗一日夜。有巨虎攫沙門。吼哮山裂。衆懼失常。獨當戶侍立。應對如平常。乕去傍人曰。先生宜爾何獨無懼。曰先生無懼。故吾亦無懼。且猛獸得人而止。慮有所在。自己禍患。有不暇恤。衆皆歎服。有觀庵日錄。上自天人性命。下至古今事變。文字疑奧。隨問劄記。曰先生誨人不倦。學者從師受敎之方。庶窺其一班矣。平居卷不釋手。必以小冊子。擿其緊要語。曰素無記性。不如此。不爲我有。非如功令。人尋章摘。句而然少治功令。業旣精。觀光八都。有權貴子弟艶其文華。示以汲引之意而欲引至其室。遊處與共。公若不聞也者。傍人或勸之。公正色曰。國朝進身。只有科擧一路一月十日之工。程子亦嘗云爾。吾不得爲。而終南捷經。吾所深恥。況彼以勢利誘我。焉育君子而可以利誘者乎。庚午與余同參鄕解。陪從赴禮部。余偶獲選。而公則山外。妄意公有不豫色進慰之曰。少年不能讓頭。於長老不恭可答。公笑曰。吾年近半百。且嬰風樹雖得之。何足爲喜。君年少有前程且層。侍供悅其慰。不啻在己而。君以余爲以一庠生得失。爲欣戚者耶。於是而服先生學本爲已。不以外至者。動其中也。凡服食器用之出於洋倭者。一切不入室曰。邪說之移人。常自耳目之所娛。不可不謹其始也。及夫壬午軍變之後。國事日非。慨然草一章曰。苟利國家。韋布之士。亦不可不言。朱子亦嘗云爾。其目有六。滌世道以正朝廷。迎還國太公。以達孝思。罷外兵以淸宮禁。窮格致以達時務。修兵器以備應變。發仁政以安民情。語甚切直。知舊以妄攖時禍沮公。公曰苟一毫利國。嶺海斧鉞。豈足恤乎。毅然封進。竟爲時局所阻榶。不得上徹。自少凡讀書史。遇古人伏節死義處。悲憤慨慷。浪讀三復。盖其剛方之氣。設以身處其地。則必不讓與別人。而終老林下。攄用無地。小試於一章奏。而又不得施平日秉執。不少槩見惜哉。見人有志而貧不能學者。必曰食於我讀於我。多所成就。聞人有善。則心實愛慕。雖遠必躬往見之。敎訓二弟。皆有文名。俗尙別居。而爲其妨。工初不析。箸而躳自經。紀枕被至。老庚氏秋峯上庠有學行。疏伸尤翁。至竄配。一女卽其六世祖聖士齋配位。公建議設享于墓所爲定式寔出於慕賢也。與吾先考友善。知無不言。言無不受。先考嘗曰。出入師門者。孰非余友。而喜聞規過有希淸。先考喪。公持友麻。時復悼歎曰。自某公之逝。不復聞切偲之言。嘗從容謂宇萬曰。吾少苦性偏。賴先丈規正大小。大克變。苐觀同門受規。莫余若是。愛余之切。余尋常不能忘。於邑久之。此可見喜聞之實事。嘗自觀庵陪先子。步履逾嶺。至公家。而公未及知之。入其門。自庭除至房室。灑掃潔淨。淨以素整衣冠出迎。若先知尊客之至。而加意整理也。盖其平日謹恭。不以昭昭伸節。不以冥冥惰行。可槩而知也。嘗於枕潄亭。同侍先子。公召余就私室。說到性命之奧。偶有不合。就質於先子。先子曰。希淸年大識博。講此已晩矣。萬也太早。計晩乎之云。盖所以許之也。眞積力久。足以有得。槩可知矣。爲文未嘗踐跡而自成一家。馳騁弋獵。巧力幷到。而往往有大議論出人意表。詩律尤其雅好。不事陶剛而涵蓄深遠。不類俗尙之候虫時鳥。對黃抽白。皆可傳而不可不傳也。以今上壬寅十月九日卒。享年七十六。先未卒。以耆社覃恩。通政帖至。公方病甚。曰吾聞士庶耆老。八十方許陞資。吾年未八十。吾誰欺。欺君乎。因命勿以書祀板。盖其族人在京者。不及詳其年數之不足而納單承命者也。亦可謂得正而斃焉。以禮月葬屋後艮坐。子休明以地面不協。將改遷而安厝云。夫人吾族祖徹鎭女。育一男。娶順天朴萬東女。孫二璿燾弼燾。孫女二適梁志祥高濟奭。先生沒後六年。休明草言行之大槩。謂宇萬曰。先君子有伏節死義之勇。激濁揚淸之志。而不偶於世。事業無可以耀人耳目。而從師篤信之誠。樂善不倦之實。可謂不後於人。旣未得達兼天下。則獨善其身。亦不失舍藏之義。時則然耳。夫子所謂惟孝友于兄弟。是亦爲政善觀者。觀於一家之政。是可以槩之矣。所謂爲政於家者。休明略以見聞記之。其得於師門者。惟子爲詳。必有休明之所不及聞。知者狀德之筆。子不可以辭矣。宇萬謹受而架焉者一年。案焉者一年。庶有得乎。安且成一語。而老病多忘。今不得記其一二。始以休明之所記。參以余所略知者。以爲之狀。庶立言者。或有釆焉。歲己酉四月。生明先友子奇宇萬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소봉유고(小峰遺稿) 6卷 3冊 小峰遺稿 小峰遺稿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문집 표점영인 小峰遺稿 序(梁會甲 1958) 序(梁會甲 1958) 李鎰 石印本 3 12行24字 한자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1958년에 간행한 조선 말기의 학자 이일(李鎰, 1868~1927)의 문집. 『소봉유고(小峯遺稿)』 해제 1. 이일(李鎰)의 생애 『소봉유고(小峰遺稿)』는 이일(李鎰, 1868~1927)의 문집이다. 자는 익여(益汝)요, 호는 소봉(小峯)이며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아버지는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인 일봉(日峰) 이교문(李敎文, 1846~1914)이며 어머니는 연일 정씨 민(閔)의 딸인 정교해(鄭敎海)로 보성군(寶城郡) 문덕면(文德面) 가천리(可川里)에서 고종 5년(1868)에 출생했다. 배(配)는 연일 정씨 도원(道元)의 딸인 정운종(鄭雲宗)이다. 이직(李稷, 1362~1431)의 6대손 이성(李城)이 무 오사화로 보성으로 남하하였고, 후손 이국진(李國鎭, 1738~1781)은 학문과 교육에 전념하여 이조참의에 추증되어 성주 이씨 참의공파 종가를 열었다. 이국진의 아들 이유원(李有源, 1763~1835)이 망일봉(望日峰) 아래 가천(可川) 마을에 터를 잡아 종가를 이었다. 가은(可隱) 이기대(李箕大, 1792~1858)는 서책 1만 여권을 비치하여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가은당, 천상재(川上齋), 일감헌(一鑒軒) 등 세 학당을 설립하여 추사 김정희, 노사 기정진, 면암 최익현 등의 학자와 선비를 초청해 후진을 양성하였고 흉년에는 양곡을 내어 여러 사람을 구휼하고 향약을 조직해 환난을 대비하였다. 이기대의 장남 소송(小松) 이지용(李志容, 1825~1891)은 금부도사, 웅천(熊川), 흥덕(興德), 석성(石城) 현감 등을 지내며 청백한 목민관으로 알려졌다. 벼슬을 사양하는 보성의 진사로 가재를 털어 가난한 사람을 보살핀 사실이 임금에게 보고되어 조선왕조실록에 기재되었다. 노사 기정진이 그의 행적을 찬하였다. 이기대의 5녀가 서광언(徐光彦)과 혼인하여 친가에 와서 낳은 아이가 서재필(徐載弼, 1864~1951)이고 종가는 서재필이 나고 자란 생가가 된다. 이지용의 아들이자 이일의 아버지인 이교문(李敎文)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휘하 호남 의병장을 지냈다. 이기대와 자손 4대가 각각 학문의 발자취로 문집을 남겼다. 이일(李鎰)은 어려서부터 용모가 단정하고 총명하며 준수하여 할아버지의 총애를 많이 받았고 부모의 훈도를 받다가 16세에 송사 기우만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이일이 태어난 후 1년이 안되어 동생이 태어나자 할머니 고씨(高氏)가 걱정하고 거두어 길러주니 이일은 조모를 모친처럼 의지했다. 그는 부모와 조모상을 당하여 그 예를 정중하게 치렀고 밖으로는 나라의 혼란이 계속되어 그의 마음은 슬프고 우울했다. 양회갑(梁會甲)이 지은 행장에 의하면, 공은 몸이 크고 머리가 둥글며 얼굴이 길고 눈썹에 산택(山澤)의 기운이 있었다고 한다. 공은 약관이 되기 전에 집안 살림을 맡아 5세의 유업을 잃지 않았다. 송사 기우만의 문하를 출입하며 부사(父師)의 연원을 찾았고, 영남과 호남 5백 리를 왕래하며 현인들과 교류하였다. 그는 세상과 인연을 끊고 경학에 마음을 집중하였으며 친우들과 나라를 걱정하고 시문을 지었으며 제자와 자질의 교육에 열중하였다. 1884년 가은공(可隱公)의 외손인 서재필(徐載弼)이 해외로 망명하자 당시 3족을 멸하는 국법에 의하여 외가인 공의 가족에게도 참화가 미치게 되었다. 다행히 생명은 건졌으나 가산은 탕진되고 가족은 흩어지는 참변을 겪었다. 을미사변 이후 일제의 침략이 심해지자 1902년에는 망일봉(望日峰) 산기슭의 초막동(草幕洞) 선영 아래에 전 가족이 은거하였다. 그는 집안의 살림과 일가의 우애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향민의 구휼에도 열중했다. 그는 나라의 운명이 날로 기울어 1905년의 을사조약과 1907년의 고종퇴위에 충격을 받았는데 안중근 의사의 애국활동에 크게 기뻐했다. 그는 1910년 한일합방 후 초막을 지어 세상을 등지고 살다가 1927년 60세로 별세하였다. 1913년 5월, 공의 나이 45세에 두세 명의 일행과 함께 광산 시내를 출발하여 무등산을 유람하여 「유서석록(遊瑞石錄)」을 남겼는데, 서문에서 유람기를 짓고 총 29제 33수의 시를 남겼다. 그의 아들들이 그의 시문을 모아 1958년에 제주 양회갑의 서문을 받아 문집을 발간하였다. 2.『소봉유고(小峰遺稿)』 구성과 내용 『소봉유고(小峰遺稿)』는 6권 3책의 석인본으로 1958년 양회갑(梁會甲)의 서문을 받아 간행된 이일(李鎰, 1868~1927)의 문집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있다. 권1~권4는 「봉배차산(逢裵此山)」 등 한시 1128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권 5에는 「상송사기선생(上松沙奇先生)」, 「여이심재정회(與李心齋正會)」 등 15편의 서(書)가 있으며, 「송일매염군귀고성서(送逸梅廉君歸固城序)」 등 3편의 서문(序文), 「팔괘정중수기(八卦亭重修記)」 등 11편의 기문과, 「서민충정공혈죽도후(書閔忠正公血竹圖後)」 1편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 6은 잡저(雜著)와 제문(祭文)이 있으며 부록(附錄)으로 1958년 양회갑이 지은 행장(行狀)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에는 「왕정론(王政論)」, 「성인심법론(聖人心法論)」 등 22편이 실려 있으며, 제문에는 「제송사기선생문(祭松沙奇先生文)」 등 10편의 제문이 실려 있다. 권1에 수록된 시 중에 옥산(玉山) 이광수(李光秀)에게 준 시가 여러 편 실려 있다. 변해가는 사계절의 감상과 일상생활에서 회포를 서술한 시가 있으며, 날로 변해가는 세상을 탄식하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 사습(士習)이 크게 변함을 보고 분하여 쓴 시에는 국운이 다하자 온 나라의 백성과 선비가 한마음으로 함께 일어나 복을 입고 상을 치르며 같이 성토를 하면 당당한 예의의 나라가 더욱 천하에 소문이 날 것이요, 저들의 보고 듣는 데에 교화가 미쳐 혹시 광복에 만일이라도 도움이 될 것인데도 전일 선비라고 하는 사람들이 검은 모자를 쓰고 뻔뻔스럽게 마을을 돌아다니며 부끄러운 줄 모르고 있다고 분개하고 있다. 충기(忠妓) 산홍(山紅)이 나라 판 도적으로 을사오적(乙巳五賊)의 한사람인 이지용(李址鎔)의 죄를 나무라며 잠자리를 거절하고 자결했다는 말을 듣고 느껴 지은 시가 있다. 1913년 5월, 공의 나이 45세에 두세 명의 일행과 함께 광산 시내를 출발하여 무등산을 유람하여 「유서석록(遊瑞石錄)」을 남겼는데, 서문에서 유람 내력을 적고 총 29제 33수의 시를 남겼다. 공은 집으로 돌아온 후 어버이 병환이 더함이 없고 식구들이 탈이 없음을 다행으로 여기며, 유람하며 지난 곳의 기이한 장관을 시로 그려 보았으나 만의 하나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다고 하였다. 권5의 편지에는 기우만(奇宇萬)을 비롯하여 정상원(鄭尙源), 조태승(曺兌承), 염재업(廉在業), 이광수(李光秀), 이희봉(李喜鳳) 등과 주고받은 편지가 수록되어 있다. 권5의 기문에는 「팔괘정중수기(八卦亭重修記)」, 「불매재기(不魅齋記)」, 「독조대기(獨釣臺記)」, 「옥산기(玉山記)」, 「삼우기(三友記)」, 「만우기(晩愚記)」, 「송고기(松皐記)」, 「둔암기(遯菴記)」, 「용암기(龍巖記)」, 「양죽기(養竹記)」, 「양어기(養魚記)」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중 「팔괘정중수기(八卦亭重修記)」는 우암(尤菴) 선생이 도(道)를 논하고 의(義)를 강했던 황산(黃山) 꼭대기에 있는 팔괘정(八卦亭)의 중수에 관한 내용이다. 「독조대기(獨釣臺記)」는 제갈무후의 후손으로 노사 기정진의 제자인 제갈담녕(諸葛澹寧)이 세도가 무너지자 설산(雪山)의 남쪽 와룡대에 숨어살면서 담담하게 뜻을 밝히고 원대한 포부를 갖고 홀로 그 몸을 편안히 하고 그 절개를 숭상하여 지낸 독조대(獨釣臺)에 관한 내용이다. 권6의 잡저에는 「왕정론(王政論)」, 「성인심법론(聖人心法論)」, 「대우치수론(大禹治水論)」, 「논해소동파무왕론(論解蘇東坡武王論)」, 「한무제론(漢武帝論)」, 「한광무중흥론(漢光武中興論)」, 「낙의론(樂毅論)」, 「유후론(留侯論)」, 「범증론(范增論)」, 「도광론(禱光論)」, 「양웅론(揚雄論)」, 「조조론(曹操論)」, 「논척이단문(論斥異端文)」, 「금고당인론(禁錮黨人論)」 등으로, 변해가는 시대 상황에 저자의 사상을 담고 있는 글이 수록되어 있다. 「낙의론(樂毅論)」에서 소왕(昭王)은 그 대의를 잃고 오직 이익만을 찾았기 때문에 나라가 어지러워져 망하였고, 낙의는 충후(忠厚)하여 인신(人臣)의 의리에 밝았기 때문에 그 자손을 보전하였으니, 이는 만고에 바뀌지 않는 이치라고 논하고 있다. 제문은 기우만(奇宇萬), 임사문(任思文), 정시원(鄭時源), 송상원(松尙源) 등의 제문이 실려 있다. 부록(附錄)에는 1958년 양회갑이 지은 행장(行狀)이 수록되어 있다. 3. 세부목차 序(梁會甲 1958) 卷 1 詩 : 逢裵此山二首, 上山淸匪所, 月夜思親, 往山淸數日定省旋又離違有感而作, 登山淸換鵝亭, 別廉逸梅(永中), 歎世, 無題, 與梁月坡(瑀)同酬, 秋風裁衣送山淸匪所, 再從祖百愚堂回甲韻, 重堂回甲韻, 翫山, 陪趙月皐奇松沙李晩舟諸丈遊松廣寺, 暮春與任桂峰(彩鉉)登山, 登長田聞一亭, 贈李玉山(光秀), 贈玉山四言五首, 贈登科人, 屈原, 荊軻, 張子房, 諸葛武侯, 旱餘偶成, 山陰客館別舍第, 登南原廣寒樓, 悼亡第, 過雲峰黃山有感而作, 與梁月坡同酬, 在湖西夜話, 上山淸匪所五言古詩, 有所思, 可隱堂閒居, 思親, 夜話用前韻, 對月歌(三五七言), 述家業, 偶吟, 次放翁覽鏡韻, 山居幽興, 次放翁示兒子韻, 山樓戱題, 逢安靑松(基仙)三首, 歎時事, 戱作, 川上夜話二首, 歎世事日變, 與友人酬唱, 思親, 步下書樓, 居家自述, 漫詠, 野行與友人入書樓, 夏日作, 送人後作, 與友人相呼, 聞時擾更起思親, 寓懷二首, 逢乞糧僧, 憎蠅, 除夕二首, 有懷獨吟, 人日風雪大作因吟, 醉裡漫題, 立春二首, 聞京信感憤而作, 聞北軍渡海, 謹次再從祖歎衰韻, 立春後三日, 聞日軍入城不勝感憤而作, 石室早起, 上元夜, 望月, 逢任桂峰論懷 三首, 歎時事, 夜枕無眼, 用前韻與友復唱, 述懷, 早春, 逢安進士牛川吟, 逢安靑松, 次光州竹谷里全氏廣業齋韻, 宿八影山西佛菴, 暮過白雲洞, 入白雲洞林處士家, 與林處士問答二首, 過龍城拜關王廟, 古園春恨, 賞春, 江頭送客, 貝城送客, 有所歎, 山人幽居, 雨後, 庭前古木, 懷人, 山居樂志, 悲慨四言, 登樓感懷, 澹菴任公輓二首, 三月晦日會山樓二首, 寄玉山雅弟, 聞行倭法着倭服有感而作二首, 山樓會坐, 晩夏閑鷺二首, 自述, 次和平會韻二首, 寄玉山雅弟二首, 相思曲寄玉山四首, 復用前韻, 題呈聞一亭諸士友, 寄玉山雅弟, 首尾吟贈玉山, 讀書有感, 逢安上舍論懷, 吟情, 聞京信, 見新凉, 閒詠, 謹次尤菴先生和美村次重峰上栗谷韻, 勉弟輩, 與震弟吟, 自題, 卽景, 言志, 自述, 讀蘆沙集有感, 逢鄭斯文二首, 逢廉斯文, 小峯自稿, 酬安斯文(圭悳), 自警, 逢尹友, 暮春遊桐江, 山居自吟, 渡洛水, 過廣川, 歎世, 與梁玉皐同題, 曉起, 靑春曲五絶, 東風雨雪歎, 梧桐霽月, 楊柳光風, 曉坐聞秋山落木, 生朝吟二首, 雨中說懷, 丙申夏會詠可隱堂十五首, 偶吟六首, 會題, 夜逢玉皐相酬, 漫吟二首, 淸溪濯纓, 逢桂峰茴懷三首, 崔雲齋遠訪夜話, 聽泉, 題陝川源泉亭, 謹次孤隱先生望月亭寧越韻, 謹次安孝子戴, 思錄原韻 卷 2 詩 : 謹次大谷趙丈(秉翼)回甲韻, 艾山鄭丈(載圭)歷訪拈和三首, 丙申秋居曾王考可隱公遺堂漁樵耕牧之暇乃取感乎, 心發乎情者構詩題歎云, 自述, 中夜無寐起題可隱堂壁上, 慨世吟, 逢玉坪任友, 曉月, 恨此世無與歸, 夜拈, 山樓夜坐, 又題可隱堂, 冒雨過錦山義塚二絶, 憶重峰趙先生, 霽峯高先生, 登紫霞峰遊仙亭, 登珍山玉溪亭, 與崔友暮過龍城, 見我國人着洋服有歎, 早朝渡錦江, 過故都傷心(幷小序), 讀宋子大全有感, 景慕尤庵先生, 敬誦尤庵先生上淸陰金先生詩有感, 讀三學士傳賦長律, 南平政堂望鳳凰山與翠栢徐使君載雨以詩相酬, 謹次翠栢重陽韻, 南衙因兵擾向光州洽坪高戚從家, 逢林玉田論懷三首, 謹次翠栢戚叔在金陵遊鷺詩歎韻二十二首, 五言, 題呈梁玉皐, 題送李玉山戚第七首, 冬至夜夢拜蘆沙老先生, 題呈梁玉皐旅軒, 可隱堂與諸益唱酬三首, 與任桂峰論懷三首, 訪山人不遇, 敬次林白湖銅雀臺畵韻, 再與任桂峰論懷十四首, 苦雨, 可隱堂與諸第會吟三十一首, 山水樂志吟三首, 時景二首, 謹次蘆下朴丈韻二首, 月夜入光陽飛村黃監役家, 到晉陽吟, 登矗石樓次板上韻, 登鎭南樓望風景入山城拜忠烈祠, 義巖, 題論介廟壁, 入竹島(在固城南門外), 題贈徐君, 風雲堂瞻謁, 太祖大王御眞, 到鐵城歎, 夜月懷鄕, 入玉泉寺, 飮玉泉, 鐵城旅舍與崔小石唱和二首, 自鐵城下馬浦, 過鎭海思歸賦楊柳詞, 朝雨中過雨冒山店, 昌原旅舍與徐友將發吟, 回鄕吟, 迎蘆老爲師喜兒輩勤業, 老人歎, 書生歎, 敬次尤庵先生韻二首, 敬次尤庵先生耽羅舟中詩二首, 人笑何笑我笑何笑以山水吟自笑五首, 見二毛悔歎二首, 獨坐述懷三首, 伏羲氏始畵八卦作書契, 制嫁娶, 風姓, 造琴瑟, 神農氏初藝五穀嘗百草製醫藥, 再次蘆下朴丈詩歎韻八首, 可隱堂與諸益論懷二十一首, 自述, 自笑, 自歎, 謹次李心齋除夜韻, 春雪夜與三川族叔(敎川)唱和, 三川族叔以先祖參判公墓閣重建事自谷城歸訪我示, 所與朋友唱和詩四律絶韻各一首感而和之, 夜坐憶舍弟注山, 謹次廉蘆月龜山精舍原韻二首, 龜山八景, 謹次尤庵先生次諸賢韻二首(幷小引), 歎五十無聞, 敬次尤庵鷺松韻, 聞家婦生七世宗子識喜二首, 獨坐遣懷, 歎道學不明戒子弟輩犯染時華, 廉蘆月壽宴韻, 讀書, 國憂, 自慨, 到沙湖陪松泌先生感吟, 沙湖月夜與諸同志吟, 春日向詩川, 心齋席上與海史曺丈桐隱趙友論懷, 林郞錫周再邀時能賦詩喜甚次韻, 丁巳除夜憶二第二首, 戊午上元夜步月, 孝峙再從祖回甲韻, 任桂峰書答後夜坐, 謹次梁翁月坡回甲韻, 春山月夜聽杜鵑, 松梅亭主人安後松(鍾珉)輓, 謹次靑皐李戚丈壽宴韻二首, 心齋老兄六十壽席韻, 草堂風雨夜憶三弟(幷小序), 見季第書歎吟, 聞大行皇帝昇遐望哭二首(幷小序), 戊午除夜獨坐感懷三首, 除夜獨坐下眼憶三第二首, 與任桂峰論懷, 謹次心齋翁因山哀章五絶, 己未立春二首, 題呈海史心齋五首, 題呈三川四絶, 聞有人斥尤翁尊華大義憤歎有吟, 自述四首, 追憶海史心齋兩丈三絶(幷小序), 見士習大變憤發而題三絶(幷序), 又題三絶, 獨坐觀心二絶, 春雪, 季第搬移湖西率春發程吟成九絶以寓去留遠離之情, 己未元宵用尤翁丁卯元日韻志感二首, 逢安晩愚梁小山論懷四首, 老悔, 時憂, 自題, 屑第錫從率春登程强筆和淚而題, 謹次原韻題招賢堂(幷序), 謹次安隱峰五倫歌八首, 敬次夢漢閣板上韻(幷小序), 鄭晩松輓, 病中逢松坡高戚從賀得雙孫適此季第自湖西寓所冒, 雪入門淚眼相對各論所懷, 敬次尤庵先生八卦亭重修韻, 雪夜聞隣兒讀書, 歎與世相違二首, 入昇方洞樂川讀書房賦一韻, 李芝橋(秉洛)係宴韻, 與心齋老兄次陶隱遁村兩先生相酬韻六絶, 謹次心齋老兄十韻(幷序), 用康節先生首尾吟穿題呈海史文丈十一首, 己未除夕三首 卷 3 詩 : 大原僧舍次可亭李丈韻, 謹次心齋老兄除夜韻, 上元夜登前橋翫月感懷, 八日次心齋老兄人字韻, 湧珍精舍拜後石吳文丈次原韻二首, 章山齋修己席與梁友乃心及諸益同話, 贈章山齋讀書諸益, 暮春有感, 謹構排律詩二十韻題呈沈參奉(宗澤)壽軒, 次許南圭(炤)金剛山韻三首, 歎志士虛老, 雪中吟, 幽興, 庚申九月生朝三從弟正汝把菊花以晩節勉我故喜題, 一絶, 雪月夜招漁釣伴, 感懷用前韻一絶, 三五七言, 幽居二首, 偶吟, 自題三首, 山中自歎二首, 與友人說文, 富貴人, 人道, 交友歎, 空山雪夜, 山水吟, 自歎, 自題二首, 賀第二妹李氏婦晩得英兒二首(幷序), 庚申除夜二首, 君子人, 感老, 感物吟, 江柳早春, 春日戱題, 賞春, 遊山二首, 牛山書室與安晩愚安三湖同酬, 莘田書室與薇山族姪安三湖宋雪舟同酬, 鳳亭里遊趙氏宗會閣二首, 雨後春景, 暮春感懷, 餞春, 寄隱士二首, 靜夜無寐, 小峯自題, 題呈安三湖, 棠碧亭次金河西趙重峰兩先生韻二首, 次月谷梁氏三芝齋韻, 次柑洞金氏石磎齋韻, 逢梁月坡李石湖同酬三首, 隱居消憂二首, 閒居雜鷺二首, 見萬物生養歎天道至公, 與諸兒茴懷, 田家老翁歎, 種梅菊爲友, 雨夜懷古, 夏日與遯菴從唱酬二首, 勸堂中諸兒, 可隱堂閒鷺二首, 入書室, 感古, 苦雨, 題贈遯菴從, 贈孝茁鍾出兩從及禮姪二首, 閒中客到, 淸夜吟, 雜鷺, 炎熱中茴懷, 漁翁二首, 逢李石湖戱題, 與遯菴從閒話, 安晩愚輓, 次許友南圭峨峨洋洋五曲詩(幷序), 次許南圭我泉韻, 讀近思錄有吟, 書室會話, 聞譏我自責爲詩, 自慨, 晨窓獨坐, 學圃遺堂與肖孫東溪(會洛)同酬, 次鐵川徐氏甲年侍墓韻, 次梧山亭韻, 詩山夜話, 老懷, 晨窓起題, 山頂石泉, 自警吟, 別故友, 憶弟吟, 夜感, 泉聲, 天道, 自述, 草幕洞十二景, 幽居自娛十一首, 述懷, 自述, 與廉謹菴(在洙)同酬, 與三川同話, 和季弟耳汝慰余詩歎不遇之作二首, 文酒會喜小長咸集, 題壁上二首, 自題, 贈松巖鄭君(原伯), 幽興, 風月夜追憶濂溪康節二先生, 觀物有感, 閒中對友, 聞時騷感憤有吟, 逢鄭友堂同酬, 閒中自歎四首, 別蓮圃裵君歸故庄, 謹次題雲初金丈(永範)詩歎茴其慷慨不平之意四首, 歎世吟, 閒中吟, 首尾吟自歎, 高臥山房與友同酬四首, 題送川上齋諸益, 登後麓望舊居, 己業不進歎, 山居歎, 感時, 題呈雲初堂, 感懷二首, 敬題仲父月峯堂, 春夜對月待二故友, 梅菊歎, 題呈雲初金文丈, 心戒, 閒中遣懷, 謹次雲初丈韻, 別三川族叔二首, 題上晦山再從祖書床前, 題上月峰仲父文免前, 題呈雲初堂, 題呈月坡堂, 題上支石鄭翁丈壽軒(幷小序), 山齋遣懷, 山齋月夜, 與雲初文丈三川族叔論志氣慷慨五首, 與三川論懷三首, 閒中自勉, 誦武夷詩有感, 餞春, 敬次雲初文丈韻三首, 謹次麗澤契講會韻, 溪南齋, 聞時譁歎吾道不明二首, 雨夜與鄭君論詩憶老親及舍弟, 逢朴訥菴, 與三川族叔勸志論懷二首, 閒中寓懷, 次納凉軒韻, 與三川暢懷二首, 望明齋述懷三絶, 戒龍鳳兩兒, 草洞夜懷, 讀書, 與三川論志, 幽懷, 勉諸兒二首, 與三川同酬二首, 與張德潤共酬, 詠窮, 春懷三絶, 山水吟五絶, 時人歎三絶, 風雨撲窓開闔病臥感吟二絶, 朝陽吟, 山高吟, 與友登山歸路口呼二首, 山屋遣懷, 自勉, 山齋卽事, 元曉菴止宿, 次板上韻二首, 登瑞石, 蠶頭, 最上峰, 泉邊作, 廣石臺, 風穴臺, 圭峰菴, 訪石室僧, 地藏菴, 晩峙, 閒中讀書二首, 三川送後作, 自勉工夫, 遣愁, 山居六絶, 勉志, 自述, 終夜未眼晩睡至朝, 與三川吟, 山齋雨後吟, 隱居勉志, 碧山古意, 閒中偶吟三絶, 題呈桂峯山人首尾吟八首(幷小引), 望明齋自題, 歎世吟 卷 4 詩 : 避俗臺閒詠三首, 夜坐遣懷二首, 奉讀勉菴崔先生唱義檄文, 自慨, 早朝下可川舊居與諸益會吟, 山居述懷, 隱居自題, 題閔忠正公(泳煥)血竹圖, 和季弟歎世詩五首, 草洞隱居二首, 避俗臺原韻, 閒中述志二首, 勉菴崔先生輓二首, 別鄭友堂(時源), 別友堂獨坐, 題呈友堂, 時像, 聞日人毁各處城郭, 夢見徐友廷模, 山窓曉起歎與世相違, 勸學, 感時吟二首, 朝來見鏡裏髮白歎事業無成, 止止吟, 歎學問難成, 讀宋子大全, 續貂, 悼三從弟汝珍, 賦梅花, 述懷二首, 夜坐述懷二首, 聞忠妓山紅數賦臣忘君負國之罪不許身而死感成二, 首挽, 山居感懷, 有所歎, 閒中茴志二首, 川齋留連, 夜坐, 吾道不明歎, 湖上與諸益戱題三首, 雨中逢西湖故人, 偶吟, 江景浦夜題, 蘇山安公輓, 與宋梧岡(季述)唱酬四首, 復用前韻連題七首, 庚戌合邦後聞節士甚多感吟, 暮歸, 與客吟二首, 送梧岡歸家二首, 聞時像遺恨, 次華人贈兒輩韻, 贈華人, 逢湖西醫師裵雲農(東潤)贈二首, 又贈五言一絶, 寄堂中諸子勸學二首, 次姜龜巖原韻, 謹次鄭山人幽居韻, 謹次龍巖堂原韻, 海史堂, 謹次從叔松皐堂原韻, 謹次松皐從叔夢中作, 題呈晩愚堂, 小峯自題, 自憫, 幽居遣興, 對漁樵翁, 吟風, 詠新月, 感時, 偶吟, 漁家, 登樓, 與晩愚論懷二首, 山園自題, 夏日偶成, 歎時學異古, 對隱士, 題呈晩愚三首, 月夜從晩愚遊川上歸吟, 川上講會, 送晩愚續吟四首, 待, 別, 憶, 曉起遣懷, 懷古, 園竹, 有所歎, 憶晩愚, 謹次海史韻, 講誦後携酒暢吟二絶, 次諸子農雨韻, 獨坐, 夜坐, 自嘲, 親濟, 川上講會二首, 魚鳥吟, 短律十二首題呈晩愚高眼, 登泰仁朴氏隱巖亭次原韻, 俗累四首, 國家三首, 遊瑞石錄(幷序), 午過福川江見漁船戱題, 冒雨越耳嶺, 過穴巖里, 入鼎谷鄭公裕家, 登瑞石北麓入文處士家, 過瑞鳳寺遺墟, 入首陽洞二首, 登神仙臺, 登鵲峰, 月禮巖, 烏南啼峰, 香爐峰, 權薛菴(壬辰倭亂權薛兩人避亂處故名), 入元曉菴, 元曉菴止宿, 登瑞石, 蠶頭, 最上峰, 泉邊作, 廣石臺, 風穴臺, 圭峰菴, 訪石室僧, 地藏菴, 晩峙, 暮入澄心寺, 宿澄心寺次板上韻, 自瑞石還次晩愚思余韻四首, 次安上舍得男韻二首(幷小序), 月峰仲父回甲韻二首, 次呈海史韻七首, 自慰, 戱題, 見星月相戰歎時事可知, 慰不魅齋客懷, 懷古, 贈別不魅齋韻九首(幷序), 次悔亭韻二首(幷序), 謹次脂窩原韻, 次望美臺韻, 尹喜璇濤宴韻, 扶義堂風雪夜與諸葛澹寧(夏帛)唱酬, 次惺惺齋韻, 次書齋學童詩, 閒中遣懷, 謹次松石李翁六十壽席韻二首, 謹次松石堂韻十首(幷序), 武侯祠, 扶義堂次板上韻, 獨釣臺, 覽鏡歎, 可亭李翁回甲韻(幷序), 丙辰九月海史曺丈六十壽席謹次原韻, 松沙奇先生挽章二首, 題呈心齋堂解憂, 湖上別海史心齋兩丈, 夜起憶海心兩丈, 蔡三友抱歲寒之志植松竹梅爲庭實仍以三友自號謹, 次其原韻, 楊波亭, 徠笑亭, 淸夜吟, 蘭坡李翁(日會)壽宴韻, 與曺海史李心齋遊大谷趙氏山房, 海史丈見所謂, 李朝五百年史不勝憤氣賦詩高唱故, 涕淚而和之, 丙辰除夜(幷序), 次李明老永錫窩韻 卷 5 書 : 上松沙奇先生, 與李心齋(正會), 與李心齋, 與鄭晩松尙源, 與曺海史兌承, 答廉蘆月(在業), 與廉蘆月, 與安晩愚(寔煥), 答廉敬安(宅洙), 答李美中(光秀), 與奇仁伯(春度), 與許南圭(炤), 答李喜鳳, 寄徐廷夫, 與昇方洞讀書諸友 序 : 送逸梅廉君歸固城序, 贈別李美中玉山序, 見新凉入郊勸諸第讀書序 記 : 八卦亭重修記, 不魅齋記, 獨釣臺記, 玉山記, 三友記, 晩愚記, 松皐記, 遯菴記, 龍巖記, 養竹記, 養魚記 跋 : 書閔忠正公血竹圖後 卷 6 雜著 : 王政論, 聖人心法論, 大禹治水論, 論解蘇東坡武王論, 漢武帝論, 漢光武中興論, 樂毅論, 留侯論, 范增論, 禱光論, 揚雄論, 曹操論, 論斥異端文, 禁錮黨人論, 題扶義堂壁, 讀三學士傳, 三還敎子說, 安寔煥字士誠說, 答李美中夢覺說, 君子友德說, 愛菊說, 農說 祭文 : 祭松沙奇先生文, 祭澹菴任公(思文)文, 祭友堂鄭公(時源)文, 祭晩松鄭公(尙源)文, 祭外舅鄭先生文, 祭告曾王考持平公文, 再祭文, 祭告祖考騙文, 祭季父小梅府君文, 祭從叔松皐公文 附錄 : 行狀(梁會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時擾更起思親 崎嶇世道正難行。風雨漁陽尙未晴。夜夜夢迷湖北路。時時志在漢南城。高樓幾灑思親淚。遠地應多憶子情。借問鸎兒知我事。晩風嬌語轉還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書爰斯栢後 皇明之崇禎紀元後幾甲。某歲之春。鰲城西沙上柏歸海。夫柏物也。物固無知。謂柏之自歸則妄矣。盡歸柏也。所以歸之其人乎。千里渡海。不以柏之不死而必歸之。則死固栢矣。不死亦柏奈。何幸風濤不敢爲菑。非徒全其天而無恙而已。亦不似北渡而爲枳之爲。則其後凋之氣。益可徵信者也。此所謂蹈海入海之於歸海同一義諦也。自沙上嘗有書曰。坐者之勞心。不減行者之勞力。一舍許多雪海中送人尙然。矧此山海間數千里。其氣像之隱映神爽之發越。果柏耶人耶。旣以爰得其所許之繼。以萬螽竊寓頌禱之辭。於無不爾或承。則攢眉國愁不以老耄。而或已。天津橋杜鵑聲。復有感於地氣之南爲耶。漢山有安行五悅而學之且久矣。旣歸柏於無柏之南。則幸爲柏於有柏之北。更刮目而俟之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逢裴此山二首 綠崖緩步踏溪聲。韻致無窮眼界明。十年愧我徒能讀。半世逢君善假名。榻外風淸松子落。籬根雨歇竹孫生。水北水南農戶裏。短歌長唱和昇平。山居無事送春秋。蟬語淸凉燕語流。暑値敲炎還欲叫。詩逢强敵每成愁。幽軒靠麓雲生榻。遠客登筵月滿樓。笑殺詞人多渴夢。有誰送酒過墻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山淸匪所 湖雲嶺月共徘徊。影照山陰遠客杯。歲色無情秋已至。霜華有信雁同來。長沙一路眞如夢。嶺海孤忱獨倚臺。第待金鷄蒙赦日。祖孫團聚好開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夜思親 初春行旆漢京留。冉冉光陰已近秋。城西皓月多情夜。天外孤雲入望頭。湖山千里迷茫路。石室終年戀慕愁。消息杳然無處問。何時歇泊可川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往山淸數日定省。旋又離違。有感而作 山陰自古擅名州。三百里程信馬頭。春風梅閣詩人醉。夜月榕窓遠客愁。此地吾行何事住。仁天恩宥一心求。覲寧未久還歸去。橆限鳴波鏡水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立春二首 庭梅岸柳每年同。拂拂和風吹自東。春氣無私生萬物。溪山不願換三公。羽檄南馳飛戰馬。音書北寄送賓鴻。適矣湖天三夜雪。村翁相會賀年豊。斗柄東回月建寅。千門淑氣最良辰。驅出土牛寒送歲。飛來綵燕暖迎春。酒酌黃柑香滴潤。盤登靑菜味生新。一年洪福從玆始。國泰時豊祝萬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京信。感憤而作。 吾王神武配周宣。起誦南征詩一篇。五百年明堯日月。三千里大漢山川。黑衣斷髮眞駭俗。死義成仁卽謂賢。聞道朝端無諫直。那時披霧見靑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北軍。渡海。 羽檄聯翩南北馳。國憂日夜在邊陲。十分軍律多神出。萬里皇威渡太遲。變制衣冠良我愧。光輝竹帛爲君期。平生所學今無負。得志男兒此一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哭鄭參判誠一文 夫哭非爲死者也。瀉生者之懷也。人情有積於懷。則自發於聲。而其聲爲哭。今哭公也。瀉遺懷者。有三焉。一曰仙死。二曰人死。三曰公死也。凡人之生斯世也。百憂之感。萬事之勞。求一日之安樂不可得。況安樂平生者。非僊而何僊。安樂之別名也。安樂之外。復有所謂仙者乎。此謂之仙死也。凡人之生斯世也。生死而人之知者鮮矣。人未知則雖謂之不生可也。謂之不死亦可也。而今公之捐舘也。計聞於上。遠近嗟歎之。此謂之人死。凡人之生斯世也。深知爲最難焉。徒以知而言之。公之知人幾人焉。人之知公。且幾人焉。若不深知於公生。則誰能深悲於公死也。此謂之公死也。噫。僊死之哭。如公安樂者悲也。人死之哭。固衆人之悲也。公死之哭。不死之病殼。不敢辭其悲也。謹和淚濡墨。瀉遺懷而哭云。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