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동해집(東海集) 7권 7책 東海集 東海集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문집 표점영인 東海集 辛亥(?)冬咸平尼門本第開刊 辛亥(?)冬咸平尼門本第開刊 金勳 咸平 後期木活字本 7 有界 10行22字 한자 下向2葉花紋魚尾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1911년에 간행한 대한제국 시기에 활동했던 김훈(金勳, 1836~1910)의 시문집(詩文集). 『동해집(東海集)』 해제 1. 김훈(金勳)의 생애 『동해집』은 조선 말엽부터 대한제국 시기에 활동했던 문인 김훈(金勳, 1836~1910)의 시문집(詩文集)이다. 저자 김훈은 1836년 함평(咸平) 대동면 덕여촌(德餘村)에서 태어나서 1910년 향년 75세로 세상을 떠났다.『동해집』에는 서문과 발문, 가장, 행장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권6에 기록되어 있는 연보(年譜)를 통해 생애를 확인할 수 있다. 김훈은 1836년 함평(咸平) 대동면 덕여촌(德餘村)에서 태어나서 9세 봄에 학업을 시작하였다. 성동(成童)의 나이에 칠서(七書)를 모두 읽었으며 문장과 시에 재능을 나타내어 이미 25세에 지은 과문시(科文詩) 1000수가 되었다. 17세가 되던 해에 어머니와 아버지 상을 당하고 20세에 할아버지 상을 당하였다. 조선 말엽에 이르러 국운이 기우는 상황에서 과거에 응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여 25세 조비(祖妣)의 상을 마치고 폐과(廢科)하여 성현(聖賢)의 학문에 뜻을 두게 되었다. 26세에 금곡(錦谷) 송래희(宋來熙, 1791~1867)에게 성리학을 배웠다. 1862년 27세에 팔도에 민란이 일어나자 월출산(月出山) 대둔산(大芚寺) 승달산(僧達山)으로 피했다가 1863년 봄에 행동(行洞)으로 이거하였다. 1865년 가을 금곡 송래희의 편지를 들고 숙재(肅齋) 조병덕(趙秉悳, 1800~1870)을 찾아갔다. 1866년 겨울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을 찾아가 수학하였다. 1871년 공주(公州)의 명강(明剛)에 있던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 1811~1876)를 찾아가 가르침을 받았다. 1872년에 37세에『오서차록(五書箚錄)』을 교정하였으며『가례증해』 10책을 인쇄하였으며 변산(邊山)을 유람하였다. 1875년 5월 금강산을 유람하고 「동유록(東遊錄)」, 1876년 화양(華陽)의 여러 승경을 유람하고 「화양록(華陽錄)」에 상세히 기록하였다. 1883년 영광 관청에서『숙재집』을 교정하는데 참여하였으며, 1878년 7월 흑산도에 있는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을 방문하고서 「흑산록(黑山錄)」에 상세히 기록하였다. 1884년 지도(智島)에 유배가 있던 김평묵(金平默)을 만났다. 1885년에는『사문어록(四門語錄)』를 편차하였다. 1890년 영남을 유람하면서 「남유록(南遊錄)」을 남겼으며, 1891년 56세 늦봄에 서북으로 길을 떠나며 여정을 자세히 기록한 「북유록(北遊錄)」, 1902년 4월 옥천(沃川)을 유람하고 「옥천록(沃川錄)」, 1904년 호남으로 돌아오면서 지은 「방구록(訪舊錄)」 등을 남겼다. 1898년 63세에 어사(御史) 이승욱(李承旭)이 함녕전(咸寧殿)에서 함평 김훈의 행의와 경술은 모두 본받을 만하니 등용하라는 천거를 하기도 하였다. 1902년 67세에 「외필(猥筆)」을 산정(刪定)하는 일로 송사 기우만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이후 송사 기우만과 사이가 멀어지게 되었다. 1910년 73세에 병이 들자 장손인 탁(鐸)과 족질인 상휴(相休)를 부르고자 했으나 7월 12일 정침(正寢)에서 고종(考終)하였으며 9월 11일 입봉(笠峰)에 안장하였다. 김훈은 금곡(錦谷) 송래희(宋來熙), 숙재(肅齋) 조병덕(趙秉悳),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 등 당대를 대표하는 성리학자들에게서 수학(受學)하였다. 그는 주리론(主理論)을 대표하는 기정진과 주기론(主氣論)적 입장을 취하는 임헌회에게 모두 배웠기 때문에 그의 사상에서도 그와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즉, 이론적으로는 이(理)의 능동성을 부정하고 기(氣)의 능동성만을 인정하면서도 이(理)의 존엄성을 강하게 주장하면서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입장을 취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않고 은둔하면서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이론적으로 정밀하게 몰두하지 않았고 도학적 실천과 자연에 대한 음미를 중시하였다. 문집에 수록된 작품은 문사가 평이하고 진솔하여 비교적 도학자적인 흥취가 있으며, 조선조 말기의 전형적인 은둔적 성리학자의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다. 2. 『동해집(東海集)』 구성과 내용 『동해집』은 조선 말엽부터 대한제국 시기에 활동했던 문인 김훈(金勳, 1836~1910)의 시문집(詩文集)으로 7권 7책으로 되어 있다. 1911년 조카 상휴(相休)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서문과 발문, 가장, 행장은 수록되어 있지 않다. 권1은 시(詩), 소(疏)가 수록되어 있고, 권2는 서(書), 서증(書贈), 서(序), 제발(題跋), 기(記)가 들어있다. 권3은 지(識), 론(論), 설(說), 서(敍), 인(引), 변(辨), 해(解), 훈(訓), 계(戒), 잠(箴), 명(銘), 찬(贊), 송(頌), 가(歌), 조(操), 사(詞), 부(賦), 문(文), 잡저(雜著), 혼서(婚書), 분황문(焚黃文), 고유문(告由文), 제문(祭文) 등이 들어있다. 권4는 유사(遺事), 전(傳), 행장(行狀), 비(碑), 묘지(墓誌), 묘표(墓表), 묘갈(墓碣)이 들어있다. 권5는 팔유록(八遊錄)이 들어있고, 권6은 개차(開劄), 곡구문답(谷口問答), 이계기력(尼溪記歷), 성리류안(性理類按), 사우유묵(師友遺墨),연보(年譜)가 실려 있고, 권7에는 속편(續編)과 부록(附錄)이 들어있다. 권1에는 「폐과(廢科)」, 「상금곡(上錦谷)」 등의 시(詩) 382수와 「의소시상소(義所時上疏)」, 「의상옥황봉사(擬上玉皇封事)」 등 소(疏) 2편이 실려 있다. 권2에는 「상금곡선생(上錦谷先生)」, 「상숙재선생(上肅齋先生)」, 「상고산선생(上鼓山先生)」, 「상노사선생(上蘆沙先生)」 등의 서(書) 109편, 「서시방아(書示坊兒)」 등 서증(書贈) 23편, 「사정공문안서(寺正公門案序)」, 「외조유고서(外祖遺稿序)」 등의 서(序) 17편, 「성리요결발(性理要訣跋)」, 「용학기문발(庸學記聞跋)」 등의 제발(題跋) 40편, 「존도암기(尊道菴記)」, 「백산정기(栢山亭記)」 등의 기(記) 41편이 실려 있다. 몇 편을 제외한 각각의 편지에 연도가 기재되어 있어 시기별 교유 인물을 살펴볼 수 있다. 서(書) 가운데 스승인 송래희(宋來熙), 조병덕(趙秉悳), 임헌회(任憲晦), 기정진(奇正鎭) 등에게 올린 편지는 학문적인 의견과 시사에 관한 것이 많다. 편지글을 통해 그의 절충적인 이론적 입장과 현실에 대한 견해를 확인할 수 있다. 권3에는 「소학실수초소지(小學室受抄小識)」 등의 지(識) 9편, 「아동도통론(我東道統論)」, 「위정척사론(衛正斥邪論)」 등의 논(論) 3편, 「해동옹설(東海翁說)」, 「동국백일홍(東國百日紅)」 등의 설(說) 37편, 「주서필독서(朱書必讀敍)」 등의 서(敍) 6편, 「영초인(潁樵引)」 등의 인(引) 2편, 「해속변(駭俗辨)」, 「고운쌍계비변(孤雲雙溪碑辨)」 등의 변(辨) 3편, 「포은집삼루해(圃隱集三漏解)」 등의 해(解) 3편, 「거가팔훈(居家八訓)」 등의 훈(訓) 5편, 「거향십계(居鄕十戒)」 1편, 「수일잠(守一箴)」 1편, 「가장대명전명(家藏大明錢銘)」 등의 명(銘) 13편, 「김설이장찬(金雪二杖贊)」 1편, 「소동학송(掃東學頌)」 1편, 「천강란이가(天降亂離歌)」 등의 가(歌) 3편, 「사친조(思親操)」 1편, 「알강한사(謁江漢祠)」 1편, 「가계계사(家計係辭)」 1편, 「유거부(幽居賦)」 1편, 「자조문(自嘲文)」, 「동해정상량문(東海亭上樑文)」 등의 문(文) 7편, 「책동해(責東海)」, 「동해대(東海對)」, 「무한(無限)」, 「답객난(答客難)」, 「게벽상목(揭壁常目)」, 「초학법문(初學法門)」, 「신후사예시(身後事豫示)」, 「병신의소초(丙申義所抄)」 등의 잡저(雜著) 8편, 「장자방혼서(長子坊婚書)」 등의 혼서(婚書) 6편, 「증조동몽교관문(曾祖童蒙敎官文)」 등의 분황문(焚黃文) 3편, 「유덕비고유문(遺德碑告由文)」 등의 고유문(告由文) 3편, 「제금곡송선생문(祭錦谷宋先生文)」 등의 제문(祭文) 1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4에는 「지족당김공유사(知足堂金公遺事)」 등의 유사(遺事) 4편, 「초심당이공전(草心堂李公傳)」 등의 전(傳) 5편, 「교은김공행장(郊隱金公行狀)」 등의 행장(行狀) 36편, 「매곡서원비(梅谷書院碑)」 등의 비(碑) 5편, 「김인피재묘지명(金忍避齋墓誌銘)」 1편, 「나주정씨양세묘표(羅州鄭氏兩世墓表)」 등의 묘표(墓表) 14편, 「남주고사서공묘갈명(南州高士徐公墓碣銘)」 등의 묘갈명(墓碣銘) 15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5에는 「동유록(東遊錄)」, 「화양록(華陽錄)」, 「흑산록(黑山錄)」, 「천관록(天冠錄)」, 「남유록(南遊錄)」, 「북유록(北遊錄)」, 「옥천록(沃川錄)」, 「방구록(訪舊錄)」 등으로 구성된 「팔유록(八遊錄)」이 수록되어 있다. 「팔유록」 등은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은둔하면서 자연을 찬미하는 것을 더욱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긴 자신의 견문이 드러나 있다. 권6에는 「개차(開箚)」, 「곡구문답(谷口問答)」, 「이계기력(尼溪記歷)」, 「성리류안(性理類按)」, 「사우유묵(師友遺墨)」, 「연보(年譜)」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개차」는 처음에 「소한쇄필(消閒瑣筆)」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임오년과 계미년에 시작하여『주자대전』을 차례로 읽으며 마음에 느껴지는 대로 기록한 것이다. 「곡구문답」은 눈에 거슬리는 부분은 모두 제거하고 몇 개의 조목만을 기술하였는데, 당시 개화 문제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문답식으로 적은 글이다. 「성리유안」은 태극(太極), 천도(天道), 천리인욕(天理人欲)으로부터 성경(誠敬)에 이르기까지 19개 조항의 성리학적인 조목을 유형별로 기술하였다. 권7은 속편으로 본편에서 누락된 시 3수, 서(書) 10편, 서(序) 3편, 기(記) 2편, 「윤씨전(尹氏傳)」, 「초당김공행장(草堂金公行狀)」 등이 실려 있다. 부록으로 세보(世譜)와 김상휴(金相休)가 지은 「입설계안서(立雪契案序)」, 「조약(條約)」, 「좌목(座目)」, 「강회연복화선생운(講會筵伏和先生韻)」에는 7언 절구의 시로 31인이 화운한 시이며, 「치제록(致祭錄)」에는 30명의 명단 등이 실려 있다. 권말에 김상휴와 김재복(金在福) 등 간행에 기여한 14인의 명단을 기록한 「간행유사록(刊行有司錄)」이 실려 있으며 끝으로 신해동함평니문본제개간(辛亥冬咸平尼門本第開刊)이라는 내용의 간기가 실려 있다. 이 문집에 수록된 작품은 다양한 제목으로 문사가 평이하고 진솔하며 수식이 없어 비교적 도학자적인 흥취가 있다. 조선조 말기의 전형적인 은둔적 성리학자의 삶과 자연에 대한 동경을 엿볼 수 있다. 3. 세부목차 卷1 詩 : 廢科, 上錦谷, 函丈贈角扇, 破屋雨中, 之桐谷, 遊玉溪, 校理遺墟, 恨賦, 牧隱墓, 論介碑, 扶餘, 三溪, 偶得, 屹然臺, 霽峰碑, 錦谷墓, 挽錦谷, 稚子讀孝經, 校錦谷, 和肅齋 附韻, 大明錢, 次肅齋, 先生示, 錦谷大祥, 古阜宅, 庸學正文, 麻谷寺, 挽肅濟, 笑而軒, 錦谷初忌, 崇禎錢獻鼓山 附韻, 上鼓山, 淸心樓, 紅流亭, 八萬經閣, 彩石, 印增解, 復皇廟, 和鼓山 附韻, 上函筵, 遺安堂, 驪江雨, 大老祠, 上鼓山, 送緇撮, 赴上蘆, 設講, 和師韻, 金剛 三十二首, 東海, 百鼎峯, 叢石亭, 三日浦, 海金剛, 淸澗亭, 普陀窟, 鏡浦臺, 夢龍室, 竹西樓, 太古樓, 望洋亭, 越松亭, 東京, 碧松亭, 鄕飮禮 二, 赴星田, 華陽 十四首, 懷德, 蒼壁, 辭師門 二首, 百花亭, 挽鼓山 二首, 秋講設位 二首, 赴星田, 省師墓, 秋陽禊, 筆巖院, 願堂, 竟夕亭, 鄕飮禮, 黑山 九首, 明春見訪, 河南村, 法聖浦, 鷹巖, 挽蘆沙, 白羊寺, 鄕飮禮, 四梅堂, 雲谷, 靈光倅書送, 俯溪堂, 貰蝸屋, 程冠, 校師稿, 毅皇諱辰 二首, 挽尹正言 二首, 上重菴 四首附韻, 登鉢峯, 衣帶變易, 衣帶復舊, 朝鮮通寶, 和倭, 李候親屈, 登高成山, 挽鄭承旨, 羅山新寓, 生朝, 挽李進士, 勿梁亭, 赤壁, 松廣寺, 仙巖寺, 華菴寺, 鷰谷寺, 方丈山, 矗石樓, 尺山洞, 馬山浦, 金海邑, 倭館, 鄭宋壇, 溫井, 梵魚寺, 梁山, 車嵒, 通度寺, 表忠寺, 嶺南樓, 佔畢墓, 呈艾山, 黃溪瀑, 孔子巖, 呈脫惺, 換鵝亭, 新安社, 仙遊洞, 枕肱堂, 隴雲齋, 龍巖, 山天齋, 碧玉潭, 面傷村, 大源庵, 寺夜, 浮雲亭, 統營南海行, 玉泉寺, 洗兵舘, 忠烈祠, 龍華寺, 床足, 大坊津, 三川浦, 三花洞, 錦山 二首, 紫泉臺, 龍谷, 東谷, 中臺, 肅齋墓, 白雲寺, 詩會, 永保亭, 淸湖沈兄, 芒浦, 松都, 華藏寺, 朴淵瀑, 回瀾石, 詠歸亭, 聖淸廟, 石潭, 聽溪堂, 九月山, 三聖祠, 月波樓, 練光亭, 浮碧樓, 百詳樓, 藥山東臺, 四絶亭, 妙香山 四首, 無盡臺, 澹澹亭, 降仙樓, 陽德安邊, 元山浦, 飄然亭, 駕鶴樓, 釋王寺, 路入通川, 望金剛, 入金剛 十七首, 雪岳 五首, 五色藥水, 太平樓, 五臺山, 寧越 九首, 南窟圵壁, 義林池, 呈省齋 三首, 黃江, 寒碧樓, 橇花綾江, 玉笋峯, 島潭, 上李莞爾 附韻, 三仙巖, 舍人巖, 紹修院, 浮石樓, 覺華寺, 淸凉, 溫惠, 上溪, 退溪墓, 陶山院, 烏川里, 暎湖樓, 搜勝臺, 某里,○洞, 君子亭, 居然亭, 月城草堂, 一蠹遺跡, 藍溪院, 智異, 路中, 傳春齋 二首, 鄕飮羅山, 錢月皐, 聞香亭, 次野隱, 次南坡, 贈李鶴燠, 東學 二十七首, 歲朝, 自慰, 讀明史 二首, 痛哭, 謝曺寶煌, 詩折人語, 黑氣確樂語, 恨吟, 贈相休, 贈正鎬, 謝金篁史, 贈二林君, 歲朝 二首, 義所罷, 晬日, 望美人, 舞袖 二首, 勉二金生, 新年恨, 永慕齋, 道岬寺, 鳴玉暴, 欲務入啓, 從容堂, 水心堂, 呈淵齋 二首附韻, 呈心石 附韻, 鯨谷 二首, 述東海, 天下好歎, 考巖行, 逋人, 黃金氊, 宋相宴 二首, 龍門, 赤登江, 次心石, 呈淵石 附韻, 遺德碑 二首, 無官爲高, 侍中洞, 讀易, 淚題, 閱七書, 猥筆事 三首, 憂師道, 讀朱書, 晦栗理氣, 退官帖, 月榻, 除夕聞鷄, 晬辰, 賀勉庵壽, 淵齋壽, 呈心石 三首附韻, 塡兒獻酒, 鐸孫得鼉, 偶得 六首, 京報, 鼓風板, 送鄭濟萬, 歲朝, 耳齒依前, 兒輩酒肉, 憶曾 三首, 淚賦, 世習 二首, 二恨 三首, 圃隱集, 讀圃隱, 淵齋殉國, 痛涕 二首, 圵報 二首, 篲草, 削髮二首, 贈金玉三, 時戎, 記欎, 一恃二恨, 三哀, 貽門徒, 贈韓武兼, 勗族孫, 大書圃栗, 干支有感, 警家眷, 誦太極西銘, 着儒巾, 率口, 夜起, 次詠四亭, 贈宋炳武, 靑陽講義示諸生 䟽 : 義所時, 擬上玉皇 卷2 書 : 錦谷先生 癸亥, 肅齋先生 庚午, 鼓山先生 辛未, 鼓山先生 癸酉, 鼓山先生 甲戌, 鼓山先生 乙亥, 蘆沙先生 辛未, 石陵金丈 炳駿甲戌, 仁山蘇丈 輝晃丁亥, 莞爾李丈 庚龜壬戌, 重菴金丈 平默甲申, 重菴金丈, 重菴金丈, 重菴金丈 丁亥, 立齋宋丈 近洙壬寅, 龍潭宋丈 益老戌辰, 參奉趙丈 明熙辛未, 招討使閔公 鍾烈丁酉, 巡相李公 道宰乙未, 上知縣金侯 樂均戌辰, 上知縣趙侯 璋熙乙亥, 上知縣李侯 周弼戊子, 上知縣尹侯 寓善庚子, 徐監役 政淳壬申, 金監役, 柳持平 重敎甲申, 柳持平 壬戌, 崔贊政 益鉉戊寅, 崔贊政 己卯, 崔贊政 辛巳, 崔贊政 丙申, 崔贊政, 崔贊政 戊戌, 崔贊政 庚子, 崔贊政, 崔贊政 甲申, 崔贊政, 沈監役 允宜乙未, 沈監役 丙申, 沈監役 戊戌, 沈監役 己亥, 沈監役 庚子, 宋祭酒 秉璿己卯, 宋祭酒 丁亥, 宋祭酒 己亥, 宋祭酒 庚子, 宋祭酒 壬寅, 宋祭酒 甲辰, 宋祭酒, 宋都事 秉珣己亥, 宋都事 壬寅, 宋都事 癸酉, 宋都事 乙巳, 宋都事, 田掌令 愚丁丑, 奇參奉 宇萬癸卯, 奇參奉, 申贊政 箕善甲辰, 趙靈光 忠熙癸未, 李御史 永旭丁酉, 李御史 戊戌, 洪思伯 在龜丁亥, 柳聖存 基一壬辰, 宋英仲 炳華戊戌, 宋原明 善憲己亥, 宋原孝 曾憲癸卯, 鄭國彦 在弼甲戌, 安季明 時德乙亥, 金致容 漢變甲申, 李洗之 癸未, 鄭景華 在榮甲申, 朴應瑞 在麟丁酉, 吳重涵 繼洙, 吳德行 駿善, 族姪相純, 任南道 成鎬, 尹穉玉 相琦, 魯君和 一相, 徐仁行 鳳寬, 族姪秉濂, 族姪相休 二, 李聖謨 整憲, 奇穉學 敎衍, 徐允七 衍復, 黃景堯 五秀, 尹正夫 泰重, 任孟河 泰, 金學卿 志學, 羅聖敎 有英, 朴見中 淇龍, 朴用云 寅赫, 朴華實 奉赫, 朴允之 永相, 族孫箕赫, 族孫在福, 羅士彦 容煥, 金玉三 容璿, 黃平汝 東源, 安穉德 鍾宣, 安弘明 鍾炫, 宗人振聲 鏞洙, 尹權明 銖旭, 金英斗 大杓, 尹烈卿 英炳, 朴允行 用和, 尹子明 星炳, 張穉明 善, 鄭仁國 遇祥 書贈 : 坊兒, 埴兒, 鐸孫, 相休, 奇敎衍, 金學卿, 裵文五, 徐汝一, 鄭致行, 金致和, 安允文, 宗人洛三, 盧瑩一, 三君, 金致圭, 尹錫賢, 任三子, 任卿仲, 朴薰卿, 朴穉文, 兩裵生, 趙景受, 安汝郁 序 : 寺正公門案, 校理公門案, 校理公派譜, 司醞丞派譜, 魯氏譜, 承氏譜, 陳氏譜, 外祖遺稿, 采奇, 務安外邑鄕飮禮, 月山村鄕飮禮, 靑陽講義, 南岳山人, 送朴孺玉, 送趙性汶, 送徐景魯, 送丁貫中, 題跋, 隆慶咸平案, 最近錄, 性理要訣, 庸學正文, 庸學記聞, 增解記疑, 鼓山崇禎錢詩, 媚輝谷, 丁丑曆, 選智錄, 省齋所贐, 過庭隨錄, 咸平擧義錄, 四家聚要, 孟子選誦, 晦栗理氣書, 節學遺徽, 尊攘攷, 醺誦間架, 忌祭笏, 德餘鄕飮禮, 食知鄕飮禮, 甑山事蹟, 最樂堂, 辛氏兩孝, 朴氏三孝一烈, 魯孝薦狀, 姜孝薦狀, 老圃狀, 成齋序, 李炳夏家承, 竹圃記, 革齋大字, 斗洞孝薦狀, 朴華實書卷, 雙石堂, 朴狂夫, 慎窩實記, 鄭愛橘薦狀, 尹秋, 塘詩文券 記 : 尊道菴, 希晦堂, 德巖精舍, 永慕齋, 三遷齋, 慕遠齋, 景晦亭, 慕岩齋, 瞻守軒, 松菴, 難窩, 介軒, 竹軒, 永翠亭, 栢山亭, 慎菴, 悟齋, 紫荊亭, 林隱堂, 居然堂, 拙軒, 喜庵, 雲山, 江山, 觀瀾齋, 棘山齋, 克庵, 復窩, 德隱, 中山, 本窩, 勞翁, 天冠講道, 迪順金公三綱, 鄭氏三孝㫌, 思誠徐公㫌, 戶議金公㫌, 李氏㫌, 祖氏㫌, 檢川金孝, 棄齋鄭公, 尹泰重亂後事, 任孟河八夢 卷3 識 : 世守珎, 小學室受抄, 私稿, 日記故事, 鐵硯, 東亂軸, 武候實記, 讀明史, 德谷事親 論 : 我東道統, 前朝四賢, 衛正斥邪 說 : 東海翁, 玉下, 笠人, 六變質, 日六省, 容思帶, 冠母免, 懼以終始, 福毁, 鷴鷺, 寃不寃, 可憐可憂, 闢異, 心喪, 食芹, 行祭定時, 二速改, 敎兒曺, 凉冷丸, 耐夏, 三才皆變, 立言當居太上, 盡孔道, 同庚, 好好, 律此世此人, 絶草, 三世孝家, 溪翁, 遲松, 父子號竹, 在中字, 三 昆季字, 麥, 紫微花, 東國百日紅, 尼湖鳳仙花 敘 : 訓蒙箚五, 朱書必讀, 漢南片史, 金剛板石彙, 徐司僕孝狀, 韓汝鳴字 引 : 草稿第三校, 類樵 辨 : 駭俗, 君命, 孤雲雙溪碑 解 : 夢種栐金剛, 恨酒, 圃隱集三漏 訓 : 居家八, 貧讀, 文, 天下無難事, 南草 戒 : 居鄕十 箴 : 守一 銘 : 兒坊晬盤, 家藏大明錢, 隱逸枕, 錦谷扇, 金剛石, 黑山筒, 石友, 三人, 澹叟, 斗峯, 屛巢, 本窩, 後雪 贊 : 金雪二杖 頌 : 掃東學 歌 : 天降亂離, 啞而聾, 寢驚起 操 : 思親 詞 : 謁江漢祠 辭 : 家訃係辭 賦 : 幽居 文 : 自嘲, 儔屈, 錢齒, 警人, 警喩境內各面, 東海亭上梁, 孔子時隱 雜著 : 責東海, 東海對, 無恨, 答客難, 揭壁常目, 初學法門, 身後事豫示, 丙申義所抄 婚書 : 吳氏女, 子坊, 子壕, 子塘, 子埴, 孫鐸 焚黃文 : 曾祖童敎, 祖監察, 考童敎 告由文 : 十六世章榮公墓, 遺德碑, 肅齋大祥前 祭文 : 亡室 二, 殉節回甲, 錦谷, 肅齋, 鼓山, 蘆沙, 重庵, 省齋, 衍齋, 勉庵, 朴司諫, 安道洲 卷4 遺事 : 九世祖參判公, 金氏三孝, 知足堂金公, 愛日堂金公 傳 : 靑邱逋人, 錦里金公, 草心堂孝公, 吳氏, 朴孝婦 行狀 : 金孝子, 金德齋, 金參判, 金六松, 鄭黃谷, 金參奉, 金判官, 金福鎭高祖, 金郊隱, 金聽籟, 金老隱, 鄭慕廬, 牟倡義, 牟陽德, 牟彦陽, 金同福, 尹松庵, 吳水使, 李學生, 徐敎官, 金松竹, 朴雲庵, 尹紫庵, 金監察, 梁府使, 朴鳩庵, 金孝子, 鄭農隱, 鄭三畏, 趙寺正, 徐甲亭, 朴拙軒, 魯海隱, 徐智菴, 徐護軍, 金聾叟 碑 : 梅谷書院, 朴氏世蹟, 朴氏世葬, 權氏孝烈, 大明處士 墓誌銘 : 金忍避齋 墓表 : 吳卽, 金綾城, 金松谷, 金獨闇, 金遯巖, 鄭氏兩世, 金玄圃, 朴喜善, 金振武, 陳道隱, 文巖隱, 李參判, 鄭月隱, 金愚齋 墓碣銘 : 金訓導, 金通政, 金泉亭, 金樂軒, 徐高士, 朴參判, 鄭進士, 安鷗汀, 朴學生, 裵永慕, 金小隱, 趙野隱, 盧栢堂, 柳書隱, 陳驪安 卷5 八遊錄 : 東遊, 華陽, 黑山, 天冠, 南遊, 圵遊, 沃川, 訪舊 卷6 開箚, 答曰問答, 尼溪記歷, 性理類按, 師友遺墨, 年譜 卷7 續編 : 題羅聖敎書室, 題白蓮社, 次陳勞翁, 答李聖謨, 答徐公三, 答安理卿, 答金德彬, 答安洛範, 答盧致半, 陳氏忠賢錄序, 默齋詩帖序, 送安孝子舜煥序, 具問堂記, 文孝子旌閭記, 魯士行字說, 金致圭三孝識, 祭李菊圃文, 尹氏傳, 金草堂行狀 附錄 : 世譜, 立雪契序, 條約, 座目, 講會筵伏, 和先生韻, 致祭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普陀窟【在襄陽洛山寺】 怪底巖底窟。鐺鎝起笙竽。蘇氏石鍾記。也應先獲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鏡浦臺板上謹賡肅廟御製【江陵】 稽山別浦更吾東。雲影天光鏡面中。若使賀君今又有。臺池榮耀守無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夢龍室次板韻 維斗殿坤軸。銅摧應洛鍾。逶迤千里脈。環揖四山容。海左儀文闢。嶺東氣數濃。後生尤有感。古室夢神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柳君湜 地隔葦抗惟切跂余。而聲訊相閡。亦足以日月計也。近日起居增衛。尋數精切。得有已所獨知人不及知底妙耶。前托魯岡記。非直不嫺於此文字。實無以發揮稱停。搆思經年。近纔脫藁。然辭意淺促。專無沖淡味。竊不欲持納。而盛敎亦不可永孤。玆用呈似覽。卽覆甁爲。故人藏拙。如何如何。弟近以風眩合眼塊坐。非入定禪。則決然是枯木一般狀耳。有何所得。可說與於親愛之地者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宋侯【綺老。甲申九月】 投在窮野。樵牧之社。與世相違。謂外閤下降屈威尊。辱賜先問。先問自有其人。固不當着題於置散底物。悚惶居先。不知何以爲說民。夙抱貞疾。凡於工夫。不克自力。近又被外誘動費。旬朔行邁。內疚外鑠。無非病也。憐憐。竊嘗聞。閤下持志旣堅。立脚甚高。雖在朱墨中。固是經學上做了。每欲趨走下風。以請灑掃。而不敢鄙悰而塵之。下車之初。誤有以賤名聞之。特垂委訊。曷不翼如以承鐫誨。賤疾闖肆。當俟少可耳。令胤擩染已熟。學問精博。欽艶雅矣。玆以數字寄下布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道元【濟東。號鶴臯】 以二十三日出。始還於今。允咸幷見。在喜其來。先問兄近節有甚事。於邑滯留數日。始以再昨還稅。始驚終喜。不知何以爲說。近來事杜門晦跡。爲保身名最初機關。苟或與世相關。無事中有事。終至受困。鄕觀則必無沮毁。而此本都不親切自己分上。而妄受外督。豈不誠可歎耶。弟憊困此甚良苦。竊想兄似或有西湖行。而抑坐此事未暇耶。苟如是則又生出一事。悶悶昨入芝老里訪明老。則此友亦爲近里人嗃矢所陰中。方有事於邑。事本公正。終必妥帖。而此豈士君子所可堪之耶。竊欲進展。頹頓未遂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德巖羅先生行狀 先生姓羅。諱燾圭。字致文。羅州人。以高麗監門衛上將軍諱富爲鼻祖。有諱璡勝國工曹典書。入我朝除戶曹判書。守罔僕之義。隱遯不仕。六傳而諱逸孫。己卯名賢。贈左承旨。生諱昶。選湖堂翰林。生諱士愔主簿。生諱德謙贈參議。生諱海崙。參奉號松島。甲丙之變。從人望擧義旅。生諱儆進士。丙子陪參奉公爲子弟軍官。與文谷金相公講硏道義。文公以詩獎詡。生諱天柱。通德郞。生諱以杞。生諱致絅。生諱在沃。生諱弼殷。號守約齋。卽先生之曾祖考也。祖諱錫曾。考諱禧集。妣全州李氏鉉臨女。孝寧大君諱補后。以純祖丙戌十一月初四日。生先生于桂村面內洞里第。先生自幼氣度不凡。見者異之。才毁齔。文藝英發。科業理學幷行不悖。至於禮學之精邃。義理之蘊奧。無不精通。而至于諸般屬文。應口抽毫。初不停滯。文詞如流。請者初嫌其無難。而終服其辭意。兼備至謂其雖爛誦之文。其速莫及也云爾。曾有綾城一士友。來遊於羅州一招提。適當寺觀重修之日。緇徒爲謁六偉之文。其人走隸請文於先生。先生暫立來隸于門外。頃刻裁還無一字點竄。其敏速皆此類矣。蘆沙奇先生之葬也。自長城儒林通諭于湖南各郡。諭其襄奉時赴護之節。而以其狀文請于本家護喪所。時嶺湖兩道碩德宿儒齊會喪次。而以其文推轂先生。先生口呼如流。性且嚴厲。若有過差。雖親子侄。分厚儕友。少不假貸。繩趨尺步。進止有常。每出入路。站于酒肆。則必回避而過。嘗試禮臯。下第後謁見一知舊宰相。宰相曰科前若相見。胡至此康了。歎惜不已。先生正色曰科前相訪。士體有損。相訪得選。吾所不爲也。宰相歎賞不容口。時院弊滋多。自湖中有一院儒。來坐于羅州等地。爲請本面數三殘民。而以先生之在該面。不得已抵書于先生。先生以禁斷之意答書而去。彼院儒更無異辭而退。先生終不言及被招諸人。其雅量可想矣。雖甚窮約。操履堅確。曾不以利害俯仰於世。屢登鄕道剡薦。其詞曰固躬律己。博文約禮。十六丁外憂。喪制一遵朱文公家禮。丁內艱亦如之。禮坊截嚴。雖功緦之制。絶不入於歌酒之筵。曾有一親誼人來爲綾城使君。强請先生。先生爲之進。使君卽招妓樂。時先生朞服在躬。先生卽退曰。朞服在躬。不得參於歌舞之筵。使君卽揮而却之。先生凡三解鄕額。而竟屈於會圍。遂絶意於名利。爲賦遂初。而乃贄謁蘆沙奇先生。論太極陰陽之理。先生大加稱詡。乃著自警辭而戒之。其辭曰繄求其名。反爲名累。一被形役。人必汝棄。爾爲人棄。忝爾之生。從爾所好。習坎心亨。琴書之樂。煙霞其趣。求之則得。天爲汝具。省察克治。聖人爲師。提醒天君。揭此警辭。自是誓不赴擧。日誦大學章句曰。古人肉菜。良有以也。雖在行路。沈吟不絶。其講學論道。要不出考亭法門曰。未發時喚醒。已熟則到了。已發必無硬礙見撓處。又曰涵養於靜者旣熟。故致用於動者。便從熟處去。必須敬直義方。動靜相須。表裏交正然後。可庶幾也。又曰諸般做去。只在吾心操存。操存之際。必須審善惡之幾。不是冷水必是熱湯。又曰爲學以涵養本源爲先。講論經旨。特輔此而已。苟若以多聞博觀爲知道。則世之知道者。爲不少矣。又曰讀書所以窮理。窮至其極。衆物之表裏精粗無不至。而吾心之全體大用無不明。凡此可以窺其爲學之本末。而與及門者論說警策。每以是叩竭其兩端。手寫太極圖及心性圖。揭之座右。玩頤陰陽造化之原。深究邪正分析之機。後居石亭家在鳳凰山德巖下。自號曰德巖。庭畔鑿一小池。名之曰鳳咮潭。日必冠帶。謁于家廟。力於爲己之學。不以外物累其心。邪淫之聲。未嘗經於耳。不正之色。未嘗接於目。晩年移寓於古內廂道山村。以當宁乙酉三月二十七日圽于家。享年六十。以九月葬于伏龍山枕艮原。以越六年庚寅閏二月。改葬于石亭舊居家後負乙原。夫人朴氏籍順天。父瑛鉉生于純祖癸未七月三十日。性溫惠歸先生家。事上莅下。甚得婦道誨子弟。嚴立法度。以甲子八月十一日卒。享年四十二。與先生墓合窆。擧二男一女。男長禎瑾齊長澤高氏父崙鎭。男次兌瑾娶長澤高氏時明女。早夭無嗣。禎瑾男鍾斗鍾宇鍾基。鍾宇出爲兌瑾後。女適咸安尹承儉。有六男喜斗喜敬喜貞喜翼喜周喜奎。嗚呼。先生以肫篤之質。精明之學。有好善藏惡之心。而未嘗露其圭角。有輕世傷俗之意而未嘗言及時事。晦跡草野。窮不自存。而不形之德。得人心服。其生也鄕黨慕之。其死也公議惜之。光善自句讀之日。趨陪門屛。爲三十餘年之久。故謹錄其平昔行誼之一二。求誌于斯文作者。以圖不朽。己酉三陽月上休。門下小子長興高光善謹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强題小札後 緬昔汝大人時。方汝之妙年。從我蒲山窮廬。讀書之暇。請肄小札。余以不可老草之意。及之尋思日用之務。亦不可專闕。每日一易紙。以爲受用之資矣。及乃爺出身通朝籍之後。或得見其書字。則宛覺舊時體裁面貌。一時之用力。亦不可誣矣。轉眄間流年倐。忽汝復跟。隨城南齋。召坐摩挲。秀氣可愛。人事轉蓬。又棲泊于舊山下龍溪上。汝來見我。袖一小冊子長跪而進曰。請備錄寒暄往復書例。以爲旁照。日月之需。回念遥事。舊誼新情。嗚乎。兩世矣。其敢無情乎。顧余繩尺。不能使人觀感。而若是規規於淺技小節。更踏舊轍。自不覺忸縮也已。況神氣澌蕭。魂魄離散。招收無術。於魯陽之返日。遣語不能貫意。劈畫不能合規。鹵莽無力。不足以掛人之具眼。然而見屬之意。有不可終孤。强起題此。非曰不負汝。汝之先祖考氏。盖知我深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述懷 口何輕也語何長。自笑主人性太强。雲不染塵常淡淡。煙惟近俗舊蒼蒼。世無賢毋三遷敎。家有古書萬卷藏。消息南州多險惡。聞來志士淚沾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東海翁說後 東海翁卽不侫之同門友。金公勳子元甫之自號也。江湖相忘者。餘數十年矣。僧夏自玉川山門。歷訪余於溪上。自袖中出東海翁說。示之眼霧成花。心路塞榛。歎未細繹矣。有從傍而難之者曰。使天下之人問我國所在。則必曰東海上。然則老於東海者。均是東海翁也。何必翁一人而已矣。彼翁卽此翁也。眞所謂對影責影。以水濟水翁之有說。果未知翁是何翁也歟。余不覺呀然而笑曰。客但知以文論文。不知以人論文可乎。文所謂翁亦東海。東海亦翁者。乃吾翁卽爾翁之意也。顧今群醜克斥。天地飜覆。冠履倒着藏其身。恐其各之未藏。藏其名。恐其心之未藏。以掛瓢掛冠之意。逃隱市隱。朝之踪者。卽混於東海翁之名。而詩曰俱曰予聖者。非此之謂耶。客更容而對曰。誠如所謂。則獨以東海表榜者。抑何意歟。曰呂望之以一戎衣。剪商之亂。即東海上人也。魯連之以天下士。恥秦之帝。有蹈東海之意也。居今之世。未作東海上事業。則蹈東海之高義。抑非自許心者乎。謹書其說於說之尾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翫山 携藜入洞路如絲。怪鳥驚人飛上枝。樵歌關聽聲聲近。野色貪看步步遲。千章老樹村容古。數抹靑煙日暮時。隨處景光吟莫狀。請君不負後遊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陪趙月皐。奇松沙。李晩洲諸丈。遊松廣寺。 追遊蕭寺白雲秋。四座文瀾轉轉流。塵世洞圍山四面。佛形溪立石千頭。幾年說法禪空塔。半夜思歸客倚樓。南土山川求達觀。先生不是子長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暮春與任桂峯登山【彩鉉】 貪景登山故故遲。良辰適値暮春時。沂水詠歸曾點志。武夷奇絶晦翁詩。草露沾襟微雨過。花香拂面惠風吹。韶光莫道無情去把酒慇懃餞一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長田聞一亭 聞一亭高脫世塵。疏松孤竹獨爲隣。主翁自得淸閒福。客子初登慷慨身。瑞石山光當戶翠。秋城月色入簾新。眼前風物多奇絶。長使騷人覺爽神。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