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紫荊亭記 紫荊後田眞絶。未聞今特榜此亭。奚相純。相麟序族叔。余友兄弟。流出孝餘。薦語屢擧。折箸親命。縱折箸纔隔籬。不異不分居。凡有用無爾。我不異不分財。右諸屋百武覓不食。堆一置數椽。日聚首其中。起居必偕寢。㗖必偕兒輩。唱喏訖必課講習業。客至接待必盡力。兩廚薄俗。擧多閱墻。嗟。純麟誰儔。余拈紫荊。蓋許田非惟許寓。無限徵毖意。竊願純麟指樹爲誓。去益茂盛。母或致斫與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居然堂記 堂君明所築。居然勉庵所筆。蓋取朱子詩。語在紫陽雲谷一牛鳴。武夷川抱左天柱峯。腋右滄洲蔚乎。俯眼底殿。其後曰露積豈朱子所謂石廩歟。此地何。朱子地多一山水一木石。以至飮啄焉。嘯詠焉與。又想像寓慕。安身立命。擧罔非朱子。君明平昔。學朱子。今而後飽朱子。朱子則琴書四十。而君明不須客山中。乃一日於五旬五六捲。許多形勝都湊。我泉石酷不異。朱子地異哉。竊觀域中講。朱子幾處一隅僻靜。獨葆得朱子。若不食剝上碩果。君明行將有辭來世矣。君明勖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孤雲雙溪寺碑辨 孤雲在我東爲其文章也。仙學也。華人初祖達摩之稱。實不是虛語。而至若雙溪寺碑曰。學者或謂身毒與闕里之設敎也。分流異體。圓鑿方枘。互相矛盾。守滯一隅廬峯。慧遠著論。謂如來之與周公發致。雖殊所歸一揆。體極不兼應者。物不能兼受。故沈約有言云。孔發其端。釋窮其致。眞所謂識其大者。始可與言至道矣。尼父謂。予欲無言。天何言哉。迦葉不勞鼓舌。能叶印心。言天不言。捨此何適。蓋其所言。每每與孔相反。終乃使佛爲莫上。此何見也。特表出以辨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殉節回岬祭參奉公文【代茂長中山莊人作】 慘哉丁酉。痛哉丁酉。丁酉慘痛。倍他歲有。云胡其然。子孫之恨。之恨伊何。先烈不遠。漆齒再突。往丁酉昔。我參奉祖。成仁彼賊。彼賊又猘。今丁酉年。綿血宿寃。若灰復燃。豈無他歲。此歲刻骨。舊慕新感。次第觸發。湖省節錄。長城義蹟。箇箇信史。披露裏赤。淚瞻南門。氣秋與爭。畢竟熊魚。快決安城。安城遙遙。莫酹毅毅。魂毅魂陟。板井之原。板井鬱鬱。寔公妥靈。一杯洩哀。于千百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遺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汝環【載輱壬寅】 俯示以夷狄禽獸賢者。此憂。何與余相符也。生此時保了若干剛腸者。能免夷狄禽獸之歸無幾。賢者此憂甚。亦亭當此時。不此憂。何憂更憂。然急把孟朱書。讀而又讀。味而又味。此憂自然得免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安洛範【錫龜丙申】 盛課見在小學一部。我東諸賢發軔權輿。無不由此書做去。竊願十分猛省。一味誠向。刻意苦心。讀之又讀。以副老夫之厚冀焉。妾謂夫曰君。謂夫之妻曰女君。謂嫡母曰君母。來說得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盧致半【化秀壬寅】 盛課任要訣云。要訣卽海東論語也。爲人之事。畢備於此書。望須句尋其解。字究其義。眞知實踐。進進向上。讀之又讀。瞔之又瞔。不翅若泥醬爛熟則幾矣。勉之勉之。當人一已十。人百已千。母孤老夫之厚意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陳氏忠賢錄序 陳氏始刊忠賢錄於晉州時。忠賢二十有九。今務安又刊十有七。鳴呼。陳氏何多忠賢也。蓋人非空桑來。種下種生。玉之産崑崙者。其陳氏謂歟。木之植橙林者。其陳氏謂歟。陳氏本三派。舊只錄梅湖。而御史禮賓。倂合于今。今校舊尤備矣。竊願陳氏諸君子。無以刊祖爲能事。矢以紹祖爲竣事。胥告胥勸。惟忠賢是事。則畢竟踵是錄。可但止二十九十七而已哉。某某請勳文徵前人之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訓蒙箚五敍 夫童蒙氣血未定。資性易流。萬善百惡。緣此隨感。若不導之以善養之以正。及長沿襲猝難禁遏。然世之爲父兄者。只以姑息爲恩爲師者。亦只以日課爲急。而不此之爲務。聖世人才之疏放。良有以也。玆敢略朱夫子童蒙。須知立其基本。添大明人童子禮及童子習間架之八。近齋童戒補其間架之。間架末。又引石潭小兒須知論其罰。蓋以擊蒙非刑難治。故也。因合以名之曰。訓蒙箚五。雖知僭猥於訓蒙急務。不能無一助也。若夫成童後進修次第。自有聖賢典訓。昭然可考。朱子原序已悉。余亦不贅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朱書必讀小敍 世間書何書。不宜讀所必讀者。朱書自六籍四子而降。第未有若是書之悉備。蓋其爲書。先天地後天地。在人在物。許多底道理。無微有不析。無妙有不剖。大哉書也。不學則已。如欲爲學。此書不可以不讀。不讀此書。可謂墻面立矣。可謂屍肉走矣。一言可出乎。一步可移乎。玆選大全中最急務受用處。繕寫置丌。朝披夕閱。庶警省。臘月三十日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漢南片史小敍 此漢師以南一片野史也。開化後時事國事。蓋略備其中。痛哉時事。寃哉國事。天乎人乎。胡遽至此淚識以見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第四子埴婚書 天緣素定。適錦北名鄕地閥夙欽。況河東望族吉士曩日忝親此時尊家小娘子。閨節甚宜。壺範極善。而僕之第四男埴。象舞已過。鯉對常趨猥承。同氣之相求。遂許儷皮之遺制。昌門戶攸始友瑟琴。自玆欣荷何涯。敷宣罔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長孫鐸婚書 氏族先問蓋古佐命公家婚媾屢聯。又今甑山里閥素來咫尺之地。自有配匹之天。恭承令愛。婉嫟幼儀。豫著於學姆。而鄙長孫鐸顓。蒙麤習漸化於成童。故擇德而忝親萬世攸始。遂獻幣而合姓。六禮在初迨其吉兮。永以好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焚黃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皆曾王考贈童蒙敎官朝奉大夫府君文 恭惟府君。生有異姿。孝友壽福。追古無愧。獨於爵吝。竊怪造翁。後六旬三。降此恩榮。豈曰無天。食報在玆。敬錄以焚。靈庶歆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陳勞翁【基燦甲辰】 曩行恨未踵尊門。書雁頻回奈世紛。鼎峙勉淵山斗語。莫敎千古穢斯文。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