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無盡臺【价川】 天地無盡客。一登無盡臺。無盡無盡債。都付無盡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澹澹亭【殷山】 亭乎非不侈。澹澹抑胡爲。也愧世爭勝。恬然甘受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富者無非被酷刑掠沒貧反見免。所謂墨瘦匏肥也。 素封皆有淚。赤立反無憂。像末此何世。恨生南贍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書賀勉菴壽 朱壽已過孔壽參。更齊誰壽可無慚。耽羅曩踵尤翁謫。願祝其年八十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書賀淵齋壽 我國淵齋子。今年壽七旬。傡世有雌甲。誰知東海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略述目擊【七月望後】 村隣忽如沸。火砲四面急。男子失魂走。婦女搥胸泣。截去機上織。搜盡甁裡粟。晝宵未得眠。作業奚暇及。靑山緣水中。往往哭聲出。傾産齎盜粮。被創失婚匹。又重天旱酷。況絶王師恤。到底蒼黃樣。一一盡難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陷城洽四箇朔無一日展眉 南民何厄値斯年。四朔展眉無一日。食或投匙寢擲衾。這間生死未期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賊甚【土雍處堆處灰㭾之至如半裁衣半浣服處女新婦之棍福褻着無不搜去】 今古豈無賊。已甚莫過此。此賊尤何忍。纔聞欲洗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六十九除夕聞鷄【乙巳】 鷄響送余七十來。追思過境摠堪哀。費年山水與師友。事業有何誇夜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十晬辰 七十常如萬里遙。忽當今歲又今朝。生前難望劬勞報。只願全歸侍晝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憂師道 爲師還買背師名。南國風驅東海聲。在已聲名無足惜。所憂師道或難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重菴金丈【平默甲申】 祭文事。果如子明所註否。自有此事以來。方寸勃勃。如有物在咽乃者。伏聞道駕再屈長沙。私心嚮逞。未嘗不切矣。安知盛度包荒。不以爲誅反。以跋語寵之耶。旣感且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重庵金丈 頃者三數日。獲承薰炙可但勝古人十年讀哉。況又聽其言論。觀其風采。丙子後携貳之議。必不待百年而定矣。一何有累於尊公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重庵金丈 亡室誌文。已蒙撰送。促此以後。金勳夫婦賴大君子筆端永不朽於覆載間。其爲伏幸如何。可斗六韻之和。及金剛華陽二錄之題。政古人投苽報瓊者。擎服無數。何感如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靑陽講義名帖序 吾儕講義。往往選幽靜地。今秋靑陽。卽古百源羅浮也。蓋孔子之道。不可一日不講。雖一日違孔子。夷狄耳禽獸耳。況在今日乎。所讀孔子之書。所習孔子之禮。所希異日一治之運者。擧無非孔子之爲。此會豈易哉。僉君子圖不朽其迹。書姓名表德及年齒。若干刻揭楣間。以余忝同講俾序其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重庵金丈【丁亥】 老物未死。子元未老。期必一敍。此先生臨別時。語趁此未溘。可一渡錦水。此先生還宅後。書右二段。此漢靡日不諷誦咨嗟者。然地距涯角。此意豈可易圖瞻望北雲。柢不禁目穿而淚瀉歲居。然三度獻發。玆屆伏詢。履道坦坦。利有攸往。琴瑟偕和芝蘭滿香。吉祥善事。擧集目前否。屈而後伸否。而後泰理也。天地無理外之事。故以是恭竢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徐仁行【鳳寬癸卯】 猥筆請刪。本非背師。一自厥後。釰戟四起。知與不知。風聲鶴唳。擧皆曰蘆。豈有差栗。誠不韙沒姓。呼勳無異。呼逆賊至有切齒焉。至有揚臂焉。或目之柳稷。或目之大小尹。蘆集斷當割勳諸禊券與。凡題詠倂亦割勳。使此漢不得容覆載。某地言如此。某人言如此。嗚呼。吾夫子削迹云者此歟。然知我者栗書。罪我者栗書。所恃者惟栗書。事必歸正天理也。地下侍瑟之日。吾師蘆翁當有悔前作。吾與汝之歎。實不能無待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姪秉濂【乙未】 道源乎道源乎。道源其聞此時事乎。此時事千哭未足。萬哭未足。以至一日十二時。一月三十日。一年三百六十日。曁百年三萬六千日。哭那容可已。此髮也受於我父母也。食而長於我五百國朝也。整而冠於我周。孔。程朱及四師門也。一朝甘受其削。是可忍歟。言之長也。不如不言死生。可謂在卽矣。生前或有可面耶。忍咽姑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姪相休【丙申】 日暮道遠。人間何世痛哭流涕。猶屬歇后變服。而狹袖狹袖而加黑加黑而削髮。此我東有人後初事。山川血矣天地淚矣。是可忍歟。賤狀眼盲臂疼。何以病爲課也。自念平生無一罪過。周遊名山大川。唐突淸風明月。或者天以此偏憎。曁白紛境。結縳囚蝸屋內而懲之歟。盛課承在庸學。又有問目。夫天人性命。實是難言。而賢者及此。此所罕聞。竊願賢者。盡性知命。悟到天人一理。俾當洪水猛獸之衝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