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晦栗兩夫子理氣【陸指衆山柳指稷。】 理氣先於太極開。兩翁親見伏羲來。世間何代無公議。陸柳諸人可惜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處處砲響晝宵不絶 砲響動天地。無人安厥生。擧稀力農業。尤絶讀書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歎不日婚娶【七月】 畏日酷炎擇吉期。不惟不賀不堪悲。那時快掃道人亂好。見棰夭氷泮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諸邑靡不見陷。獨羅州堅守。【門公種烈牧使。李公源佑營將。】 錦於南服鎭爲雄。況得時官如二公。五十三州靡蕩裏。守城殺賊獨酬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朱書明年便七十語。感涕以記。【先生年時。適六十九甲辰】 明年便七十。齒雖符朱子。學不如朱子。位不如朱子。願速死更生。作後世朱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還退莊陵參奉帖紙【人謂旣有官敎如何不受云云】 靑雲本天物。孰使移彼山。翁志未籠得。逐風飛自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榻【編筍彼爲榻者名】 天月時或缺吾月。日恒圓天。月夜但出。吾月晝猶懸。休謂桂難折。吾今坐能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肅齋先生【己巳】 每念面命。擎誦手澤。固知箇丁寧反復。無間喚做。而就其中讀小學及四書三經之訓。伏讀己未私自滋惑者。蓋學不?博。要之在?要。然則以小學爲家計。庸學做事業。其餘領挈裘順。不期然而然。伏未知其如何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鼓山先生【辛未】 自奉手澤歸。常擎誦不暫釋。而魯質難猝變甚懼。嘗摘韓文最好者。千讀矣。曩時過蒙盛賜獲覩。紫陽所考異。及先生所嘗跋。始覺昔之讀。未必有收效。退復讀韓文萬遍。然文道間兩無由進步。未知何以則爲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石陵金丈【炳駿甲戌】 頃拜夫借。十數日霖雨。使得久薰。且淸心神勒之遊。受賜多矣。而齋序及訓語。亦又何忘。感篆感篆。近看農巖集。尤老後義理。捨此何歸然。生受䵝昧。敢此籤上得無以煩絮而斥之耶。令弟令胤未各修。候雷照伏希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仁山蘇丈【輝晃丁亥】 勳宿昔拜錦谷先生。先生謂曰。子見蘇某否。後拜肅齋。鼓山二先生亦如之。勳自此大擬一拜。矢母負三先生。深托束裝。實不止一再。至今彌留者。第緣運厄之叢也。貧窮之縳也。三達德勇爲結尾。豈其養得此箇工夫者耶。愧悚愧悚。矧今異敎遍宇。禽獸橫行。吾東一線微陽。朝夕崦嵫。到此尤切。未遂圖於未死前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尹稚玉【相琦丙申】 昨春義擧所謂有任名。督之以晨夕者。擧未免蠏退鱉縮。畏首畏尾。惟高明始末。於余不頃暫離。始信高明。可與共學。可與共大事也。大率觀人不於平時。於如此時觀之。高明平日主易。此一事足可驗善用易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族姪相純【乙酉】 頃唔時說及學問云云。何等喜聞大率。此事非爲人也。實爲已事。奚有讓乎人乎。今日覺悟。當從今日。爲始今日前是枉了。豈不可惜今時覺悟。當從令時。爲始今時。前是枉了。豈不可惜。以此做進。則分陰寸陰無非可惜。而吾之事當日就矣。竊望賢者。愼毋遲回汲汲下手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任南道【成鎬丁酉】 今世未聞古所謂處士。古所謂處士。其見澹叟任兄乎。靑山緣水中。結數椽屋。責躬以耕。課妻以績。敎子以古聖賢法門。於勢途紛華。利窟臭氈。以至麯孼博奕。妙技奇玩。凡係世嗜慾等物。一是無所好。豈其本治心養性而然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魯君和【一相丙申】 記介前此未免皮外報去。疇曩三數朔。聯衿披蘊。腔子裡難形之介。實未有發揮。出尤愧乏。眼中靈孱耳。德義也君子。行修也君子。此世見若人歟。此漢素來緣薄。未得與君子。若人數數。於晨夕間。隣比爲恨。何旣常庸耿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示趙生景受【澈禧】 景受胸中。間架已富。奚就余劣匠柱樑欂櫨。余果無術矣。第有聞於大匠。略有規矩。主敬以立其本。窮理以致其知。反躬以踐其實。此其大者。巧實不能與人鄒聖已云。余復何言子其知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銘勉安生汝郁【在凱】 汝郁此時負笈。此時何時。桓魋此時。邢恕此時。汝郁脫乎此時。獨能察衆惡。逐臭吾道。嗜炙吾書。幾欲盡搜之盡抄之。自灑掃應對。以至晨夕興寢與。夫飮㗖也溲屎也。凡係吾一動靜。隨遇各蕫其役酷。無異孝子侍父側。嗚呼。此時見此人歟。可愛可愛。立定脚跟。果皆若此世間事甚。事有不做事然事貴有終竊願汝郁銘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江山記 江山卽吾少友吳南仲號。凡充塞字宙。擧無非江山。第未知南仲挹何江山耶。羅州有曲江。寔南仲屢代所葬丘隴。咸平有甑山。又南仲大人所定菟裘。然則南仲江山。江自曲江來。山自甑山來。蓋使曲江甑山。終其身。大勿忘其心也。嗚呼。永言孝思。一至此哉。江山乎江山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校理公派門案序 校理公派門案。案校理公遺孫各派。校理在勳十一世。由十一漸繁衍。至十六世。宗支遍滿湖右。可謂無邑不家。猗其盛哉。春派譜始此門案。卽又次第事念昔壬申歲。勳陪門父兄聽命。席末光陰石火遽已電。卄有七其間。案中名生存殆十。未保一案。烏可已乎。然世級尤下。倫綱益弛。昭穆位齒升降之際。或不能無古今異處。以此罪勳固知難貰。而非勳也時世也。後來者。其諒之十一世孫勳。謹書于松沙楸室時。大統戊戌陽復日也。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