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瞻守軒記 不瞻不守。不守不瞻。瞻而不守爲不瞻。守而不瞻爲不守。以守而瞻故能瞻。以瞻而守故能守瞻。何德巖守。何德巖德。巖一山擧無非我。九世來世葬族葬。葬而宅其下者。孰不祖其祖盡誠其祖。瞻常德嵒。守常德巖。畢命德巖。莫先致邦。致邦其能盡子孫職矣。余故顔其軒瞻守。願致邦瞻護守成。引益勿替。俾竹柏翳陰。岡華林蔽。神扉永受。於萬斯追養。則如吾距德嵒遠者。庶不興一歔欷之歎。致邦其勉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宋原孝【曾憲癸卯】 後字之扁其永定歟。晦翁之後。尤翁之後與。又好居人後箇箇所執。嗚呼。心石家又生心石也。虎父無犬子。豈徒歸俚語乎。鄙常謂我國德。殷之宋。孔子家朱子家也。竊願原孝。善繼善述。母負孔朱家中。後尤翁家聲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贈安允文【章煥】 允文乎。子非道洲翁胤子歟。余於翁不止母族。況又同師。其爲契分。尤爲如何。子今視余。亦似余視翁。遂遂不暫捨。余所以在余者。惡能不盡語子。子其勉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奬宗人洛三 洛三可謂在於文者。如許多敎之世。獨求余孔氏道。逐逐不暫捨。嗚呼至矣。畢竟文道間。殆其庶幾歟。書以奬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勉盧瑩一【澈秀】 簡重寡默。夫子稱衆于。爲能余常欲學。苦不得欲見其人且苦不得今瑩一。不期强勉動靜云。爲自爾合四字。夫子亦不云乎。不重則不威。學則不固。瑩一實可與共學。其默足以容。瑩一尤能容。今世可愛可愛。書以加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贈李樑範李㫼範姜大鴻三君 二三子不避饕風虐雪。垂三冬逐逐從余。其誠意爲如何哉。然孟子謂人之患在好爲人師。余無師道處於人。而人猶以師道望於余。尤愧尤愧。於其歸謹拈閩翁。風頭立脚。及程門立雪二段。申覆曉喩。庶替古人贈言之義。不徒寄感。於風雪不避實希。二三子脚而立如是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新製程冠 脫抛緇撮按程冠。新製軒昻意甚寬。村少不知翁好古。喚儔喧聒怪相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筽館校師稿【是歲肅齋季夙忠煕適宰靈光。】 鉛山誰料卽靈城。一會都緣六十兄。文不天喪垂後死。稿因公議感先生。靑襟如夢函筵見。白首疑眞客館迎。爭奈他時分手路。棰潭千尺送深情。【參奉趙明煕。同門趙鎭鶴。沈宜豊。金汶宰同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毅皇諱辰【三月十九日】賦恨洩鬱【甲申】 壽亭二百載。其奈此辰何。竺敎時將遍。國言日益訛。西歸無復地。東蹈有如波。獨抱衣前詔。淚終繼以歌。每當奉諱恨如新。況此年名適甲申。雪涕抆心非售僞。滿腔激出秉彝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龍谷【藍浦】和趙監役【鎭鶴】 筽館解携昔幾年。白頭今日又奇緣。同門同甲先師語。子或無忘我亦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谷和沈兄【宜豊】 那料十年此會成。通宵娓娓講先生。先生墜緖尋無處。賴有尊兄煥復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中臺 白首來今日。靑山異昔時。三環丈席坐。不忍西林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謁肅齋先師墓 痛哭棰花山。夕陽不忍還。九原無作理。何日更承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薑洞 猿山明秀鶴潭淸。中有薑村最毓靈。某是胎墟某家廟。口碑藉藉鄭先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君子亭謹次晦翁韻 亭曾晦翁額。地是蠹翁風。此地作亭孰。全氏又一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居然亭 花林好水石。薇老聞孫亭。自揭鼓山板。地名尤擅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菴記 翁扁菴以松奚。蓋羅氏錦城望族。松林亦錦城福地。錦羅之先。承旨殷制。少尹郁。校尉世寶。大尹世纘。諸公墓擧在松林。松乎翁所扁。豈徒然哉。出入焉松字。坐臥焉松字。以至一動靜一食息。松字不暫離。心目如翁。眞可謂不負松者矣。終身慕父母。古難其人。況祖先代遠。終身慕世今有幾翁龍成其名。以前敎官陞耆社通政超嘉善階。嗚呼。此菴素深峽。白雲滿地。洛橋靑雲。誰梯而送來。抑松林諸祖靈陰佑歟。胤君仁煥。俾東海老人金勳。置辭楣上。略闡先美仁煥。又慶基殿參奉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竹軒記【鄭洙賢】 國一顔其軒曰竹。未知國一竹何竹爲竹耶。樂天養竹。非其竹也。范公叢竹。非其竹也。與可畫竹。非其竹也。及至如易之蒼筤竹。詩之淇隩竹。皆非其竹也。國一以善事父母。自上特旌生時閭。雙闕烏頭。聳人聽睹。然則國一所竹。不須看竹。問晉有孟宗。致雪筍之竹。國一其竹。無乃是竹耶。謹允要余文發揮。父竹擬汗竹。當世與來世。嗚呼。謹允可謂世其竹者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父子號竹說 竹軒。文君致玉號。其子洪奉。從我遊有年。愛其能不受變於時擾也。又號以竹窩。嗚呼。父子二竹。世誰與儔。古不云乎。看竹何須問主人。君其勖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鄭始一三昆季字說 一爲數祖。百千萬過萬億過億兆。以至彌六合內外及恒河沙諸界。靡不推一。而廣天地一指萬物。馬莊生實非見少也。康節天向一中分造化。橫渠一故神。神也造化也。亦皆二。則不是一之時義大矣哉。鄭甥海錫擧三男。余嘗名其長曰濟萬。以始一字之。其次起一以濟千。自一以濟百。噫吾之以一。許汝汝曹其知之乎。見甲午賊呪絶不到汝曹耳。根汝曺守一足驗一端。豈退之所謂古之學處其一者爲汝曹設歟。可積可積。愛汝曹篤信。吾一而不二書數行加勉。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