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元 白髮山翁伴燭眠。上元佳節俗相傳。踏橋人影三更月。爆竹晨聲萬屋烟。栢葉罇香餘臘釀。柳絲金色餙春姸。旣逢旣望凝新望。料理平生坐黙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和順【基陽甲子十二月二十七日】 陰窮陽生。天序向泰撫時凝慕。不容少弛。伏問玆來字體動止康毖。恒切拱祝。民老人氣力。日益靡寧。恒切焦煎。而身家觸寒唫病。甚不得安頓意味。苦人苦人。自顧甚湔劣無狀。而幸遂古人一識之願。屢經品題。愧無以仰塞厚冀也。詞章之工夫。不是吾儒。親切底事業。而沈淪流俗。未能勇革於聖人之學。無直前擔當底氣。悚仄悚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雲齋【基生甲子十二月二十七日】 一奉芝宇。餘芬尙存。殆不能暫忘於夢寐之間。仰惟窮沍侍候。動止崇穆。玉裕冊子上尋數。看得何書。鑽硏溫繹。大有新得之妙耶。讀書時窮理最好。則潛心玩味。想必至格致上地位也。又於占畢之暇。必當倚亭觀魚。見到活潑地。包得中庸費隱底體用也。仰賀仰賀。弟親候欠和。是庸焦悶。所謂課業專沒巴鼻。恐不免自此淪下不得上去也。【雲齋住于觀魚亭。故書中及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道安【源喆進士。辛巳七月】 二十一日暮還捿。允君已去。只有一紙手命。留在敝丌。奉讀屢回。使病暑殘喘灑然。若沃以玉井淸氷。卽欲如敎翼如觸暑。餘怕不敢向日擡頭。靠負盛諭。自訟諐尤。若不能自逭。令允又此委顧。是重吾罪。悚仄。惟幸兄體萬若陽亢。咎徵大慮。前頭契活。叵耐冷淡。所敎文字。搆呈斤正焉。弟暑證甚苦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植物 山屋遙臨小磵潯。蒔培活法得春深。數叢移菊看花計。一樹栽桃食實心。砌不荒凉凝異馥。庭當奢侈庇繁陰。始知萬理同歸轍。策勵新新更整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仙巖市偶吟 乘興藜笻近水隈。晩風斜日久徘徊。隔林禽語還成管。近市人聲便聽雷。萬事當春芳草活。一天近午淡雲來。有誰識得吾心樂。回首乾坤地步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金侯【丙寅四月初九日】 近仍邑裭聞有不安節傾慮實深。而竊伏念養省已素則這個无妄不必深爲之患也。伏問近日氣力快復。天和政體。一直寧謐。伏切哀祝無任下情。民孤哀子冥頑不死。而近以風痰宿證。伏苫叫唫。不事衰絰。亦已有日。自顧甚悚。而未知天翁憎此怠慢無禮以之示戒耶。竊圖進問而非直病慵浸尋。不可以衰麻罪人敢側於軒閣之下也。玆以替伸。或賜照諒否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聖祠 低作洞天聳作峯億。靑萬碧幾重重朝。家崇報輝今古。三聖祠前降勅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波樓【黃州】 洞仙嶺外有危樓。月色波光涵共浮。太守不曾虛夜夜。笙歌畫舫檀風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學兵陷本邑四月旣望也【甲午○自此至乙未。上謂東亂軸。】 講和開港幾多年。此亂非今其漸先。陸續砲聲轟動地。參差旗影亘翻天。掠皆城府村閭裏。逃盡巖巒草樹邊。頑命苟全將不暇。首回京闕淚漣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連夜不接眉。又重蛙囂向曉。則鶯聲盈耳。 蛙鼓眞堪樂。鸎歌自太平。天機彼群動。反勝漆嫠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風風雨雨彌月不已意者。干戈蔽天。天亦改常歟。 日日而風日日雨。暴霾毒霧半其間。其間人事尤何說。綱記倫常去去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感庭畔孤松【人情日趨新學。獨爾依舊。○大月望後。】 無地尋全節。有山摠枉人。遍寰如許界。惟爾獨天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淚題 揮淚憶過境。吾亦太古人。利竇連萬國。世情絶五倫。妖怪溢區宇。名分混民神。百役無曠日。再稅納窮春。賊盜橫白晝。冤鬱激蒼旻。樂歲胡不死。頑齒到七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春迄臘了閱七書 七書費役一周年。拭翳爬梳眼欲穿。義理無窮餘日幾。有時悔淚灑殘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猥筆事南中沸騰【以刪猥筆之意。書與松沙松沙。不聽反以反卒諸之。】 栗受閩傳魯我東。我東理學摠其風。近來尤服尤爺句。上爲閩翁下栗翁。自然本自本然根。動靜常乘這裡存。太極妙機微莫測。橫看言又直看言。天理至公孰得私。父師有或未從時。公休改孟梅山辨。快破千秋俗學疑。【司馬公休改其父疑孟事詳載梅山雜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水心臺謁重峯先生廟 嘗聞後栗老。節學冠吾東。上下百千載。恐無公與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二絶呈淵齋門屛 明亡氣化何其衰。天降巴翁世一治。宇內卽今獸食日。淵齋繼受孫謨貽。幸我共邦庚與同。儘將契好好相通。相通卄許年來義。竟晷終宵洽素裏。附淵齋韻 愧余不學便年衰。養病林泉醫莫治。深抱麟經空有淚。一生兢惕祖謨貽。南州高士喜庚同。短策穿雲遠路通。白髮初筵如舊面。數宵山雨好傾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記盲 天憫世無見。福吾先以盲。有聞尙亦患。日待聾於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柬心石呈五絶【二首】 心石與東海。一牙而一鍾。莫云兵阻路。天送雁回封。平生盡懽語。和淚以詩呈。未幾黃泉席。持玆證舊情。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