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雲谷新築有得【辛巳】 偶得一區境足堪。洞雲無日不凝嵐。數篇尊閣丌明史。百世芳隣接晦庵。弄子抱孫慶自洽。麤衣糲飯分攸甘。客來問有何經濟。默對空山月滿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靈光倅金羽均書送雲谷精舍及朱詩卄四字 未必尋蘆峯。海東得此谷。作霖何敢言。最好管雲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俯溪堂【在長興天冠山下。】 鄕飮禮訖拈韻【壬午修秋陽會事時。】 魏氏規何壯。所聞合所爲。又今鄕飮會。自昔存齋時。家乃守成見。士皆趨向知。禮終仍設講。山靜日遲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季子貞瑾婚書【後改兌瑾。癸酉十二月】 契深情雅宿講世交之親。辭腆幣誠。恭修先人之禮。叨承嘉命。良慰鄙懷。伏惟令孫愛。賢淑齊莊之容。師姆已正。俯念僕季子某。魯濁之質。蒙養未端。然猶仍高門相攸之風。而幸得鄙家承嗣之慶。六禮旣足。載感厚別之儀。百祿是膺。用獻無疆之頌。恭惟狀宣。統希鑑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淸心樓見徐四佳板喜甚【以其十一代。校理祖柤妻父也。】 登樓閱盡古今名。及到文忠眼忽明。圃牧尤淵非不衆。獨先詠歎在先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衣帶變易痛哭遂賦【自昨春洶洶。今六月晦間。令勅切嚴。】 歎息此生堪自憐。人間何世淚涓涓。置身之計誠無地。刻骨其冤秪徹天。漢士掛冠苦不早。殷仁抱器寡當先。寧爲彼着無如裸。祼壤茫茫覓那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添線後數日。聞衣帶復舊喜甚賦之。 闊袖長纓復舊裁。驗看否極泰還回。白頭愚漢先聞令。雀躍窮山痛擧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聖注入白雲寺 俗眸拭向此中開。水各仙潭石各臺。繞洞異形都浩劫。滿山秘跡摠如來。氓偸靈境多編茆。鬼護雄碑不敢苔。恐有前行奇絶漏。靑靴更踏白雲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伽倻紅流亭。見孤雲刻四字。遂次其韻。 第七紅流甲衆巒。誰摹四字勒其間。天嫌絶勝還無主。爲遣孤雲管此山。【四字狂奔故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見八萬經閣有感吾道 百二十間庋二閣。大蕆八萬一何多。願使儒書如是築。奬吾後學各成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遊彩石【在邊山】見滿壁疊石。斑斑秩秩。如千巷萬軸 層崖千萬秩。曠古爲誰儲。願得成眞箇。終身讀此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尹正言【滋華】 簪花謾惹壯元名。暫出紅塵却退耕。大纛高牙非本志。隱居行義是平生。雅契幾論傾蓋日。赤心尤見買隣時。從今流水爲誰奏。每過林泉不禁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寒食日與李敦相金載轍李漢範。李世範諸君。登鉢峯行相揖禮。 五十年來再此遊。禮筵適設落花樓。繩程周折遵規步。退栗眞源涉厥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貽金致北【容夏】 彼曆頒致圭。於我東所編千歲曆。特抄送當年曆。嗚呼異哉。子豈知鄭桐溪先生丁丑曆。只看花葉等詩句。亦我意也歟。記以貽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勉尹童錫賢 三世孝家。余曾爲汝兄書之。汝非汝兄之弟乎。汝須奉偏慈。凡千事一以汝兄爲準期。做三世四孝於汝家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任【泰求黎】三子歸方丈山 後十年。泰山下有孫明復先生。古人已云。今君輩所工士友傳說。不啻膾炙。自此吾黨有人矣。吾黨之篤學力行。吾獨許君輩。豈待後十年乎。方丈豈讓泰山下乎。君輩之爲先生。亦豈讓孫明復乎。吾之入斯域。垂四十齡。君輩始見於君黨。其爲喜幾乎。不寐也此漢朝暮將盡君輩長進。豈能久見。惟願益向上去。則泰山頂上已不屬泰山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飭任生卿仲【相鎬】 論語曰。吾嘗終日不食。終夜不寢。以思無益不如學。人生斯世。非學問無以爲人。栗谷書諸要訣首。孔子大聖也。於天下古今事。無不窮思。其言如此。栗谷我東孔子也。其言又如此。人生世爲人之事。捨學問復有可爲事。則其言豈其如此。任生卿仲。似有躕躇此事。故特表出右二語。鞭督之。卿仲乎功已此事。如針箚膚主一勿貳。只甲不乙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紫薇花說 凡花卉之榮悴。或昨而今。或朝而暮。雖最久不過十日內外。惟此紫薇之百日紅。實花中絶品。瓊姿玉色。合在瑤臺。烏宜置世間陋地。群芬皆爭。獨若枯槁。無一事。群芬擧歇。乃徐徐放紅蘂。三朔及旬。許寄語世間評花人。勿誇早。早者片時已。何嫌晩。晩故有此長久享。吾於是得度世術以緩爲體。以有若無。實若虛爲用。吸無限春造化。藏在腔子裏。吐百年紅於晩境餘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柏山亭記 處士柳君在植聖均。甫柏山其號也。先八世歲寒亭。戶參公遭値昏朝。獨抱柏後凋之志節。棄官南下。遯跡于筽東柏山。山由是稱名。柳君襲其遺訓。介立而不流。僑寓箕瀕東虎洞。隱居行義。軒顔用柏山。寔出乎慕先。懷舊之孝思也。蓋觀其生平。氣節自期。與大冬柏相埒。而凡他奇花妖。草不可得爲伍者。其所素蓄矣。人苟有是志。則所居處皆柏山。柏山之號。固得其實。余亦知已幾載艶。稱其實志。而未嘗無柏悅之心。故略敍爲之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愼庵記【英淑金永澤字】 豈不愼乎。語出易係辭。我孔子手筆。我孔子不從更誰從。況此世擧世。皆陳蔡所受。渠父母體髮。畢竟保完人者無幾。此世尤豈不愼乎。近聞英叔大懲勵此世。擇係辭右愼字。特榜其庵。昕夕觀省。矢未死前握愼字。只甲不乙。嗚呼善哉。英叔畢能踐孔子手筆於此世也歟。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