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希晦堂記 雲谷堂成計賤齒。四旬有六孟秋。其時後按大全年譜。雲谷卜晦庵築。適合賤齒月。又不異何其酷相符。千載一時會事實亦非偶。希晦此扁。恐自信久未能敢冀。畢生微效。如夫子受屛山翁一言敎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丙午耐憂說 翁平生無所長。所長惟耐何歲無憂。何憂非憂。謂今憂難耐者。何也。以今憂適望八襄境。襄境今憂。果是難耐。旱或古有毒熱古應稀。況朝夕純麥。莫奈下喉。和水調醬。恰似吸益母草搗汁。難耐者此也。酒又素嗜。又能療飢。世絶白衣使者。無日起馬鄕病。難耐者此也。多小瘦血晝宵僅支。被蚤蚋輩齧去。難耐者此也。撓扇披襟。爭相納凉。獨執書卷。揮汗不掇。難耐者此也。然謂難耐者。人言固爾。在翁本分。反甘其難耐。難耐之耐。看作年例。坦蕩蕩如坐夫子座。後先顔曾。嗚呼耐也。耐與難耐。天理人欲其界矣。敢忽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才皆變說 嗚呼噫嘻。天地人三才。皆變矣。世猶爲世耶。自丙子通商。丙子非變之始耶。迄乙巳脅約。乙巳非變之終耶。暴雨毒霜。靡歲或撤。頑雲慝霾。厥罰常陰。統計一年。快日無日。天之變。此槪也。國稅之土。土出純減。海陸饌品。種産垂絶。水溢岸陷。陵谷易處。鐵路電繩。山川失魂。地之變。此槪也。至於人之變。則京中國中。姑母論以遐堧。所耳目槪之形。雖似人皮裡。非人。犬彘蛇蝎。腸肚相連。山野樵穀。村隣器什。掩目皆主。未辨誰物。寸銅尺粒。獨難齎行。彌寰遍域。鬼魅鳥獸。痛哉。極哉。浹識以觀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家計係辭辭 余家計特以係辭。以係辭出吾夫子手。易全體都備耳。回思已經歷七旬。吉凶悔吝。非渠召誰召。可恨也已。誓自今餘日。自家身心諸百一。屬諸係辭。字字焉家計。句句焉家計。嗚呼。係辭乎。師保父母其常儼臨歟。因係以辭曰。把余家計。都付係辭。已往已矣。來者可追。可不愼乎。懼以終始。惟愼與懼。急務在是。其餘言言。靡一非箴。居象動變。父師儼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立言當居太上說 三不朽。立言當居太上。何者。自開闢來。有道德事切者。未必皆傳。惟有言者。得傳。蓋當世而已。則道德事切重。若其垂諸後無窮。則非言語。不能若是乎。言語之重。莫重也。歐陽子所謂。可以有。可以無。豈知言哉。余故移立言弁立德立切上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謁江漢祠詞 驪之江其漾緣兮。龍之山亦拱靑。傍淸心之高樓兮。大老何爲妥靈。寧陵鬱其相對兮。卽天顔之咫尺。緬當年之魚水兮。雲九疑其掃迹。廟食何處不宜兮。于此獨其有以。特江漢之扁額兮。感朝宗之至意。最難諶者彼蒼兮。更有誰乎尊周。空徊徨而感涕兮。奈我思之悠悠。起再拜而奉審兮。悅如在乎洋洋。廓覆載之無限。兮付江上之夕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私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鄭承旨【鍾岳○丙戍】 外稱良吏內承宣。常事於公不足賢。最是有辭來世者。萬東一疏竟回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羅山新寓有得【己丑】 瓶鉢蕭蕭江上村。白頭此寓意何存。淚看先妣曾生長。觸感依俙摠是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蘆上有得謹上函筵【田艮齋謂此二聯逼眞鼓山。履歷宜識爲異日可考。】 蘆上先生卜築幽。聽天賦與世無求。樵空朝食留謀夕。布乏春裁補過秋。兩月四綸終不起。萬東一箚竟湔羞。鯫生喜得龍門托。默究潛通意微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遺安堂【在驪州石陵宅】滯雨思家【槽書家禮增解也】 今年不蓋屋。於我雨偏多。新貿禮書在。其如湫溢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驪江久雨詠客子欲歸春水生之句。拈生字 驪江之水喚愁生。日日添波漲繞城。客子欲歸歸不得。臨流長賦望鄕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謁大老祠向寧陵。仍又歸驪江有感 孝宗陵上多春草。尤老祠前又夕陽。可惜當年北伐計。捲歸一帶驪江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仁國【遇祥戊戌】 頃所呶呶。今則快覺否走也。置一身於睢盱齽齘之域。已六十有三歲矣。自侮人侮鄒賢不云乎。只自內訟而已。然豈有所謂金勳而行事果爾如此耶。直不疑未嘗有兄而讒者謂其盜嫂。第五倫三娶孤女。而世人讒其撻婦翁。斯足以殷鑑是非。何處定高枕笑平生。此少陵詩話。況近來事轉日益。非一笑字外。更無術可辨破者乎。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