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浮雲亭 去時過浮雲。來時過浮雲。多小過亭客。來去摠浮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淸和望行鄕飮禮。會者千餘。 古謂二難難主賓。今吾鄕飮備其人。百年道義皆知己。四月淸和適好辰。樽俎實庭恢有地。規繩闢路廓無塵。儘將忠孝資交勖。不作喧嘩俗輩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越明春暮公蒙宥與胤子永作十六日迂路見訪【己卯】 隙地恩綸感極天。爲吾迂路穎陽川。今來尤服涪翁學。舍達容髭勝昔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卄二至河南村。【在光州】設講拈韻會者三十餘 神襟飄灑軟風輕。庶續前秋未盡情。千五百年文一脈。河南今日幾諸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무신) 二日 戊申 -저옹군탄(著雍涒灘)-. 흐리고 비. 【著雍涒灘】。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기유) 三日 己酉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德夫海祿林琦瑞諸友。遊月波臺。拈濂洛韻。用博一粲。 長江之上數層峯。人坐危臺鏡面空。聞有春醪餘一斗。如何移席更舟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정미) 初一日 丁未 흐리고 비. 밤에 꿈을 꾸는데 뜰에 한 괴이한 물건이 있었는데, 사람도 아니고 거북이도 아니며, 바위도 아니고 돌도 아니며, 새도 아니고 짐승도 아니었다. 귀ㆍ눈ㆍ입ㆍ코가 없는데도 말소리를 내서 나에게 말하길, "그대는 박상(瓟商)이다."라고 하였다. 박상의 글자 획수로 점을 치니 혁괘(革卦)이다. 자연히 동효(動爻)18)를 살펴보니 오효(五爻)19)이다. 구오의 '대인이 범이 변하듯 함이니 점치지 않아도 믿음이 있다.[九五, 大人虎變, 未占有孚]'20)의 상전(像傳)에 이르길 '대인이 호변함은 그 문채가 빛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陰雨。夜夢庭有一恠物。 非人非龜非巖非石非禽非獸。無耳目口鼻。 而能語聲謂余曰 "君爲瓟商"。 以瓟商字畫數占之乃革卦也。觀自然動爻則五爻也。 '九五。 大人虎變。 未占有孚'。 象曰 '大人虎變。 其文炳也'。 동효(動爻) 효(爻)가 변동하는 것이다. 곧 양효(陽爻)는 음효(陰爻)가 되고 음효는 양효가 되어서, 이에 따라 괘(卦)도 변한다. 오효(五爻) 역(易)의 1괘(卦)는 6효(爻)로 이루어져 있다. 모두 아래에서부터 세는데 다섯째의 효를 말한다. 양위(陽位)로서 신분의 위치로는 임금의 자리이다. 구오……있다 《주역》 혁괘(革卦) 구오(九五)의 효사에 나오는 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雪夜偶吟 蓋洛深懷憶大喪。雪牕騷客古風流。待佗明日黃綿襖。盡破人間白屋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馬 愛爾桃花色最香。寒風小櫪若尋常。會逢伯樂登千里。然後昂昂寶價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暮春登小山【二首】 小山風亦舞雩風。坐我氤氳萬化中。點瑟洙壇遺韻邈。暮春巾服有誰同。强扶藜杖坐東風。白水蒼山大野中。極目靑紅春世界。兩間元氣四和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拜蘆沙奇先生於月松。仍歷入仙湖。與朴友道允。仍作閒齋夜話。口占短律。二首。 雨餘爽氣覺身輕。談笑從容此夜情。洗却胸中多少累。光風霽月樂吾生。碧桐簷角夜陰輕。黙對靑山不世情。雨中休道三更黑。會見雲消月復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私稿後識 芝峯類說有見。李白蜀道難初稿。多所點汚。首句吁咄哉改以噫吁戱。杜子美背郭堂成詩稿。以濃墨點改處甚多。谿谷漫筆。白樂天流便暢達。若無事於煅煉。而見其草本。點竄甚多。歐陽公往往一篇。至數十。過有累日。去就不能決者。以若四公之大手。宜若不思而得。而未免如此。可知古人於詩文。亦不容易。而不容有草草矣。書以自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記故事小識 蓋人不能通古今政。昌黎所謂。馬牛而襟裾。烏可以形人而呼人乎。瑱兒鐸孫。就於讀書之暇。見有異見。聞有異聞。不均今古。輒皆筆之把。此爲課日之程。文雖未熟。辭雖未達。顧其端緖。則幾矣。豈不善哉。遂拈小學中語。名之曰。日記故事。識其說于卷首。奬勸之策勉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兒坊晬盤銘 載美之書。文益就將。載美之管。字貴堅彊。又美維何。蓬矢旣張。志業之大。于彼四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家藏大明錢銘 大統云亡。二百餘禩。天護其錢。自虜送此。見輒起拜。悲以繼喜。手不忍捨。貨不忍市。況我父祖。家世義理。得則選之。凡幾文矣。自洪武下。逮崇禎止。留爲珍藏。勿墜先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隱逸枕銘【菊花枕】 晉作已改。花樣猶存。露可寫史。味宜泛樽。不史不樽。枕特曷故。臥倚宿覺。一念典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錦谷扇銘【錦谷所授角扇】 篋一角扇。卅許年中。不忍置手。擬傳無窮。世世遺韻。先生之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羅州鄭氏兩世墓表 孝子竹逸鄭公澤觀。與其妻烈父完山李氏。與其子孝子仁聖仁聖。妻金海金氏。傡葬智島郡押海九男峯庚阡。嗚呼盛哉。滄珠之珠歟。崑玉之玉歟。孝子之有烈女妻。孝子烈女之有孝子子。古或罕有矣。公於孝性天。廟字火。救火致死。李氏見夫死。擬卽下從時。仁聖在腹。强忍待解娩。纔過初七廬塚傍終制。及仁聖成人。處置家事。遂絶粒幾欲。仁聖斫指灌血。延數日命。男三相奎元奎學奎。鄭羅州望族。雪齋文靖公可臣。寔遠祖。五世祖僉正鴒壬辰殉節。祖運恒進士。今謁勳文者。公曾孫曦會也。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