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을사) 二十七日 乙巳 -전몽대황락(旃蒙大荒落)-. 흐리고 비 옴. 【旃蒙大荒落】。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신묘) 十四日 辛卯 -중광단알(重光單閼)-. 맑음. 【重光單閼】。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임진) 十五日 壬辰 -현익집서(玄黓執徐)-. 맑음. 미암선생의 제삿날이라 초대받아 가서 배불리 먹고 취하여 집으로 돌아왔다. 《맹자》 호연장(浩然章)의 훈고(訓誥, 자구를 풀이하는 것)를 보았는데, "정자(程子)가 말하길, '하늘과 사람은 똑같아서 다시 분별할 것이 없으니, 호연지기는 바로 나의 기이다. 이를 길러서 해침이 없게 하면 천지에 가득 차게 된다.'라고 하였다."라고 한 말이 있어서, 특별히 기록하여 종인(從人)에게 보여주었다. 【玄黓執徐】。陽。眉巖先生忌辰也。 赴招醉飽歸巢。看《孟子》浩然章訓誥。 "程子曰。 '天人一也。 更不分別。 浩然乃吾氣也。養而無害。 則塞于天地。'" 特記之。 以示從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계사) 十六日 癸巳 -소양대황락(昭陽大荒落)-. 맑음. 【昭陽大荒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羅聖敎【有英丙申】 時事取決。頃已略及矣我。東豈削髮域歟。削髮有我東後所未聞。其果能削歟。削而其果能立我東歟。余則近所構儔屈文已定矣。痛迫痛迫。未溘前或有面耶。忍咽姑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朴見中【淇龍丙申】 賢輩旣已依歸余如師。余何能不以已所知告之。大抵斯事初入。第非果於駭俗未免舊圈。宿套中人須要立志大段高。飭躬大段超。漸至事事物物。靡不大段。異使流輩頗相指目之庶望有終矣。母或以老生常談而揮斥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用云【寅赫丁未】 向托疑條。卽考書送甚荷。此雖小事。足可驗座下。主信之一端也。亦可視座下。好學之一端也。鄙人平生有疑。輒問不能暫蓄。似是病痛。然疑若恥問。學末由進。舜之好問。禮之思問以是故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華實【菶赫丁酉】 弟子職云云。可見座下下功。切至而末喩。以禽獸語。今天下入禽獸域久矣。一步微蹉禽獸也。一念小錯禽獸也。座下之發此言。遠大長進。可指日而待。欽仰欽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媚輝谷三大字後 歲庚午。勳謁鼓山先生于明剛之老柏堂。講劘屢日。先生手書媚輝谷三大字以與之。筆力豪健奇崛。寔吾家之珍藏也。原其旨本於朱夫子。珠藏澤自媚。玉蘊山含輝之詩。而我有明毅皇帝御筆刻于石藏。于華陽洞閣者也。今先生拈其二。又加一谷字。筆之於勳。勳顧一膚淺耳。素無藏不可以當媚。且無蘊不可以當輝。縱先生珠汝王汝。奈毫不當媚輝。何敢述之。爲矢死勉勵之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丁丑曆 粤稽我崇禎戊辰紀元。迄今丁丑。甲五周歲二百五十。卽當宁十有四歲也。勳早襲庭訓。每對曆不忍披時憲字去丙子益恨城下前寃奉師命入華陽伏覩一帝遺休又獲玩。崇禎十年丁丑曆歸來庶幾自慰矣。今年適符其干支。尤何忍尤何忍。爲誦匪風下泉。及桐溪此年曆詩列書子卷首。聊以見意桐溪詩。則所謂崇禎年號止於斯。那忍明朝異曆披從此。山翁省一事。只看花葉驗時移者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選智錄後 昔南軒聚論語中言仁處。爲洙泗求仁錄。今余此錄。蓋本於此然不曰仁。而曰智何也。勳嘗猥受二先師筆。我讀書之室。以智藏二字故也。勳愚駭素昧。智字上用工。而二師特以此榜之。蓋其意有在也。勳自佩此戒。常切齋心。須臾顚沛。不能無得於彼以遺於此。故另選此爲一卷置諸座側。目擊而心存。心存而感發。以冀千慮之一得云。其例自六籍及註或問性理。朱子諸書中。摘來言智者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小學室抄受小識 右內外二編。余小子所嘗受先生。而抄彙於小學之室者也。內篇專錄往哲論小學及語孟庸學者。外篇雜錄往哲格言至論者。二箯合凡一百三十有四章。寔皆爲學者所必知之要訣也。余少日齋居。適嫌無事。繙閱弊簏右文字輩。散亂於紙片。幾乎毛不可讀。余乃移而淨寫之。編爲內外。有時讀之。悅若小子侍先生於函丈。而新受其賜暮年警發之資。不其幸矣乎。遂示與後生。且略爲識。先生肅齋趙文敬公。小學先生室名。余蓋金勳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喜稚子讀孝經【戊辰】 吾家先美在名行。常恐孱孫墜厥聲。八歲稚兒堪入學。孝經一部講分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校錦谷曆書日記【自十七至卒年丁卯】 啓書如復侍吾師。日用彝倫盡在斯。字字撮爲年譜八。壽傳廣世永垂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山外舍伏和肅齋先生韻【己巳】 薰沐溪邊過。琢磋石上留。風雩隨處樂。數句偶成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先生韻 歲月無情去。詎能爲我留。及時當勉勵。老大空悲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法聖浦 未必中原杭有眉。小西湖果此間移。笙歌遊冶繁華界。舟楫魚鹽錯雜湄。韓侍郞居名早顯。宋先生過勝尤知。樓臺述作前人備。如我龍鍾敢曰爲。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