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南侯【己卯五月二十日】 皁蓋北上。已改弦朔。未聞候音。遠外伏悵。恒切憧憧。伏問行次利稅。令體氣力萬安。令允台患節快復。覃節均休。伏慕區區。無任下誠。民近以兩穉孫鱉瘧。又生出苦海中。一種愁緖間。仍隣雅以鉛槧上組纂爲消遣。而此亦枉費無實得還。不覺悚恧。還衙在何間。光民思慕到底一般。而若偏於民也。餘適仍復村高友行。略此替伸。惟祝行次式遄。用副輿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南参判【廷龍己卯五月二十日】 春間拜候。知有瘇患。謂當不遠復矣。於邑裭得聞。猶彌留在攝愼中。遠外傾慮。殆不能已。伏詢榴夏台體。復常萬綏。竊想曠離之餘。彩服懽侍。怡惋溢中。定應外患退聽。仰賀萬萬。【圭】近狀無述。而又以二穉孫鱉證添得愁緖。眞家累也奈何。尋數未得專攻。不失硬把則失之悠泛。此固病痛。何進之有。幸賜鐫誨。按伏得這個病根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尹聖行【癸酉三月八日】 省禮間閡聲信。恒切悵穎。伏詢暮春者。兄調候萬若。諸節均穩。嬌阿外內善侍耶。區區仰溸。弟朞服人。哭弟之淚未乾。荐遭幼孫之凶短。未知何厄會叢于一身耶。悲憤情事有難排遣。鄙鄰匠手今始得暇期於勸送。而彼不可以一人當此之役云。揆以事勢。亦似然矣。然而有道理。令族雲五兄方役土木。而明再間似可了役。木手爲四人。此皆純熟於工匠之役。兄若一來見雲五而力托。則可以招置此四人。得此四人。又幷李匠則事可不日告成。諒之如何。事甚急急。不可失此梯。故玆命送家兒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尹聖行【甲申流月二十四日】 寂閡已三序閱矣。病暑唫濕。尙有一念。留在高隱。叢桂已矣。謂外令族瑛俊甫歷訪。此固郊居後初事。慰喜難旣。而繼又叩兄邊近節體韻康濟。是固得於存養熟處可賀。令咸亦安侍。尤是喜幸。允哥做硏想不悠泛。而況今年卽大比。必當觀國之光。抑有前定宿算否。此不可役志騖外。而亦不可專却。晦翁亦嘗言。高見博識之士。爲文應擧之語。則於此足商量者存。幸須諒之哉。弟長夏不健。便是無病中有病。憐憐。未知那當拜穩否。似難易期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宋祭酒【己亥】 卄數年。只以書替面。頃者。一束裝庶罄。宿昔勳於域內拜高門。不爲不多。一見如舊披示素蘊。許與氣義。討盡平生。靡書不講。靡疑不質。惟以吾道相期待。實勳初見。何以得此。促今後無復有餘憾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玉三【容璿】問目【丙午】 忌祭讀祝。或以鷄鳴前後說。余嘗問肅齋曰。當其夜天氣淸明之時行之可也。又問鼓山曰。公祭皆以子夜半行之。私家則鷄鳴後讀祝可也。兩先師語如此。雖不敢妄議。余則以鼓山語永爲家法焉。重庵祭鼓山文。淸脩高節。黃花緣竹兩處。艮齋以帝魏事用佛語誚之一款。余問重庵答云。虛心平氣看之。則可知矣余快覺前疑。卽往從矣。有心哉子之問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醺誦間架後 醺誦二字本出朱夫子當南渡時。每飮酒微醺。則誦屈原楚騷。孔明出師表。淵明歸去來辭。倂詩及子美數詩之文。蓋其忠憤激切。與樓下詠古柏行。同一意寓也。淵齋嘗以此授勳曰。此我舅李丹臺翁所纂。而余又採補者。每酒後商聲讀過。胸鬱乃降。此世惟子與語此故視之。勳受抄以還敢復入愚見。間間架架。隨縫隨塡。未知夫子。家奴自塚中謂何也。嗚呼。丹淵兩賢。已皆下世。世絶無講。此處會向閻羅修文府。共兩賢鼎坐。乘醺而誦也。興言至此。不止涕泗交頤而已。李國姓。世淵其諱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黃平汝【東源丁酉】 第惟生人世者。欲修爲人道理。無有過於學問者。座下已見之昭陵矣。更有何塵哉。今聞聖敎則座下工程造詣之篤。已爲鄕隣所推服者。尤庸欽仰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安稚德【鍾宣丁酉】 座下文筆素富。近因家務。未免抛閣。是眞不好消息。此身於世間。不再來者。何能以不再來之身虛度。好歲月也。望須起畬於舊田地。田地本不薄确更起。則良田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安弘明【鍾炫丁酉】 景晦亭請文事。謂以爲先世勸學。爲後生慕先壯哉志乎。誠不愧爲晦軒之裔也。又承以僻爲言志。苟如是僻。又何憂學兩晦學。業兩晦業。斗洞安知非異日之七閩耶。勉之勉之。母負爲晦庵晦軒之事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孟子選誦卷 就孟子最佳處。蘇老泉已有批選。尤翁就蘇選。又有略選。勳少從師友。志在悟道。以文讀韓文萬遍。更把蘇尤二選。或增或刪。會擬讀韓文之數。所謂選誦卷。是已日月幾何。赤心未遂而鬢雪遽白矣。書顚末俾後年富者。母浪抛歲華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題晦栗兩先生理氣書合編後 右晦栗兩先生理氣書合編。自宋朝本朝來。先輩之論理氣者實不止兩先生矣今選理氣。必獨編兩先生書。兩先生於理氣。以其洞見大原。無微妙不剖蔑。復有加也。嗚呼。晦翁是孔子。栗翁是朱子。開闢前姑置後乎。開闢捨兩先生去。又何去所謂而今而後乃知。浩浩大化之中。一家自有一箇。安宅者。余亦兩今而後。得安宅於兩先生家。更向何家尊丌擎案。逐日燖溫。逐日究悟。矢晩暮家計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월 二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경자) 二十二日 庚子 -상장곤돈(上章困敦)-. 흐림. 크게 비가 오고 또 뇌성벽력이 있었는데 종일 그랬다. 【上章困敦】。陰。大雨且雷電終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신축) 二十三日 辛丑 -중광적분약(重光赤奮若)-. 맑음. 집에 돌아왔다. 【重光赤奮若】。陽。還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정해) 十日 丁亥 -강어대연헌(疆圉大淵獻)-. 맑음. 【疆圉大淵獻】。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무자) 十一日 戊子 -저옹곤돈(著雍困敦)-. 맑음. 【著雍困敦】。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기유) 初一日 己酉 -저옹작악(屠維作噩)-. 맑음. 【屠維作噩】。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기해) 二十一日 己亥 -도유대연헌(屠維大淵獻)-. 맑음. 사창리(社倉里)에 가서 이헌선(李憲善) -자는 덕삼(德三), 호는 잠재(潛齋)라고 함- 을 방문하였다. 무릇 횡역(橫逆)을 만나면 항상 노사 선생 시의상고 세상에 살려고 해도 원래 땅이 없으니,(欲居上世元無地)스스로 흉중에 별유천이 있음을 돌이켜보네.(自反胸中別有天)한 구절을 생각하면 마음이 조금 너그러워진다. 점심을 먹은 뒤에 이승목(李承穆) -자는 경순(慶純)- 이 와서 맞이하기에 그 집 사랑에 들어가니 서적이 서가에 빽빽하였다. 또 《송자대전》이 있어서 봉심하였다. 갑자기 비가 내려서 유숙하였다. 【屠維大淵獻】。陽。作社倉里行。 訪李憲善字德三號潛齋云。凡遇橫逆。 常思蘆沙先生詩。 '欲居上世元無地。 自反胸中別有天'。 一句則稍寬矣。午飯後。 李承穆字慶純來迎。 入其家舍廊。書籍滿架。 又有宋子大全。 故奉審。忽然天雨。 留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기축) 十二日 己丑 -도유적분약(屠維赤奮若)-. 맑음. 【屠維赤奮若】。陽。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