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錦谷先生 斯文傳統的。維嶽降精眞。襟照濂溪月。氣和陋巷春。疏章扶大義。敎誨廣明倫。最惜經綸老。登爲玉帝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月九日【鼓門春講元定也】以秋陽禊事會海佛庵 臨分摻袂復遲遲。可奈離群獨學時。後約不遐鄕飮日。淸和四月緣陰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授壕兒庸學正文且題其後 嗚呼。壕汝知此冊乎。他冊皆載註說。而此冊獨不載。汝知此義乎。此冊卽我肅齋先師所授余者。初間幷本文註說。讀讀已久。融貫浹洽。只讀本文。而註說業已了了於心頭。使我註之。足可以當若此。雖不讀註說無妨。此我師所嘗語余而授余之意。益如此然則此冊也。豈不重歟。年間壕請溫習此冊。故爲書其顚末授而勉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庸學記聞後 右往在己巳歲秋冬。勳讀大學中庸于三溪小學室。所嘗記其聞肅齋先師說。與勳庸學疑段者也。勳少日偶閱弊篋。此紙片忽出而見。語雖未成。義雖未備。嗚呼。此紙片何處得來。對此紙片悅若侍吾先師。當日函席。復聞其義也。輒驚輒喜。輒又淚下。嗚呼己巳。迄今歲洽六六。其間亂離風雨飢荒流寓。不啻若劫塵苦海。此紙片復入吾手。謂之偶則不可。其亦天地感應之理耶。爲數語標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增解疑後 右一?家禮增解記疑。余所嘗節節抄置。而鼓山師門所考出間。亦付子明箚錄。愚見則輒爲圈點而標之。大抵增解十冊。大文字句。初學者。多有未容易處執此看得未必全然無補。然沙溪先生受近思錄於龜峯。千思百慮。終未透然後。請問今此錄。未免不思可恨也已。聊托兒曹自珍篋笥者。不徒止精力積費。重師門手澤之在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檢川金孝子記實 咸平邑誌有曰。檢川金善日。以孝復戶。善日余按知爲吾金。其實迹未有聞。後過高山檢川間。村老往往說金孝子基。蓋其細瑣。姑置大槪。如割股斷指廬墓。而虎護蛇避等語。不啻如目擊。始信孝子孝行大槪。大槪如此。其細瑣不問可詳。我國朝樹風。可謂靡綱不擧。而孝子之垂。今澌泯豈不可恨。然載邑誌不可謂全爲澌泯矣。況至於復戶。國朝樹風。不其在玆乎。左尹其贈職。嘗宅高山檢川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記尹生泰重觀重兄弟亂後事 噫此世咸平有若人歟。大者覆宗祀。其次倂收孥。最下戮一身子兄弟。閱許多風雨來。滿室無恙何慶可。若此時事。圖活猶不暇。屛巖谷置突。兄弟讀大學。暗暗恐人聽是。何等卓絶。域內皆曰。咸平沒入免者。無幾觀於子兄弟。非止光子門。吾謂咸平與有辭於湖南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記任君孟河人夢 志切誠到。或有感而痍夢之理。觀孟河入夢可驗。自孔子夢周公以後。未蚊復有夢。周公如孔子者。子之夢一。何其多於周公二。於晦庵尤齋同春。各一於賤。子三賤。子三當日事。晨夕相須夢之無怪。周孔晦尤春。實是夢外之夢。何以夢爲。或者謂入夢無已。太擾擾沒安泊乎。是則不然。非志誠所感而然乎。與世之夢榮利。夢貨色者。相懸不翅霄壤矣。孟河勉之。一以五聖賢爲師。寤媒間同遊。做成遠大。則前日之夢。今日之眞也。孟河其勉之。東海集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天下無難事戒 處世最難事死耳。死外豈復有難事。果能辦得一死。天下大都無難事。孔曰成仁。孟曰取義死。蓋謂如此死不如此死。死雖萬死。人不以死許。觀近日域中。生可謂死。死可謂在。卽然則度此生。惡乎爲可當於平閒無事時。豫把死一字。習熟講討。冪置我胸肚間。庶無錯蒼黃急遽之頃。書以自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仍登願堂拜河西先生墓 一願堂山萬古靑。是惟文正先生宅。雲仍繼繼襲家行。五世奚徒斬厥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竟夕亭次板韻【亭在麥洞南卵山崖。崖上有石壇下有碑。】 痛哭往痕卵有壇。重營一閣隔林端。冤將徹地靑山咽。聲欲干霄白日寒。過客傷心停去路。遺孫感涕會新欄。當時竟夕年年七。千古宜徵二字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碧玉潭 天嫌不我脚。玉汝誇其流。臨流欲洗滌。爭奈無些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面傷村 不顧是賓禮。胡爲至面傷。野言難取信。往蹟已滄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源庵龍湫瀑布 雨餘溪瀑鬪流廻。激吼舂撞萬壑雷。六月休言無妙翫。微吾痼癖孰能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寺夜淨寂拈韻相酬 百歲幾今日。無傷炎夏尋。雨過知水性。月出見天心。禪榻塵尤遠。旅燈夜轉深。恐敎遊事朽。聚首朗成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羽化橋上莞爾李丈【寅龜】 幾年欽仰久。千里遠尋來。鰈域俗氣遍。羽橋仙界開。淵源眞路脈。光霽好襟懷。小子本狂簡。伏希知所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菀爾韻。 荒凉樵牧社。堪愧遠朋來。秋晩黃花發。天晴朗月開。簡編窮邃業。山水放高懷。燕鷺東西後。尺書未易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仙巖 下而中上上還中。中曲煙霞最不窮。盡日叫奇忘去路。恨無長作主人公。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