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霽月 玉輪如洗雨餘山。淡泊浮光助夜閒。只欠虛庭眞景少。梧桐恨不種谿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朴芚臯【鼎休氏初以晦溪】 厥初賦與不爲貧。天地中間有此身。靜處方全其性善。動時易爽本心眞。操存纔復冬雷戶。放過還隨險海津。提喚如何開好意。三年薰德幸芳隣。謾送光陰到立年。恐令此志不能全。篤勤有定靑春計。懶散無端白日眠。接物精神須理會。看書意思必鉤硏。肯從流俗謀功利。事業平生靜裏天。高筵今日不遐音。瀉我丹腔獻至忱。稟性根天無外物。爲仁在我誡中心。光陰駟隙留難得。情欲膠盆便易沈。願警愚蒙擔板漢。終歸實地做工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芚臯朴丈以道爲題。先吟示余。依其韻奉和。 道爲虛位或同殊。於路於歧可辨而。潛發私心還入彼。明修正路必由玆。正邪須自行時見。眞僞先從動處知。盡是吾人身上在。志寧言接復何疑。道本吾心理不殊。隨諸日用可行而。百千世過惟如彼。幾萬人皆共由玆。愚入邪歧終誕惑。賢開正路是明知。平生若服程朱訓。遇事坦然少厥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계미) 四日 癸未 -소양협흡(昭陽協洽)-. 맑음. 【昭陽協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갑신) 五日 甲申 -알봉군탄(閼逢涒灘)-. 맑음. 【閼逢涒灘】。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을유) 六日 乙酉 -전몽작악(旃蒙作噩)-. 맑음. 【旃蒙作噩】。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임자) 二十四日 壬子 -현익곤돈(玄黓困敦)-. 흐림. 비가 오려다가 오지 않으니, 생령들이 말라서 죽으려고 한다. 【玄黓困敦】。陰。欲雨未雨。 生靈乾欲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신해) 二十三日 辛亥 -중광대연헌(重光大淵獻)-. 흐림. 【重光大淵獻】。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계축) 二十五日 癸丑 -소양적분약(昭陽赤奮若)-. 흐림. 잠깐 갰다가 잠깐 비가 왔다. 【昭陽赤奮若】。陰。 乍晴乍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정미) 二十一日 丁未 -강어협흡(彊圉協洽)-. 흐리고 비. 【彊圉協洽】。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무신) 二十二日 戊申 -저옹군탄(著雍涒灘)-. 맑음. 【著雍涒灘】。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기유) 二十三日 己酉 -도유작악(屠維作噩)-. 맑음. 【屠維作噩】。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德夫【海祿】林琦瑞【錫奎】諸友遊月波臺。拈濂洛韻。用博一粲。 詩會從容適此時。長江滾滾碧山圍。數株上下懸崖樹。叢石參差激水磯。攀壁依俙憑檻坐。御風恍惚挾仙飛。靜裏無窮仁智樂。逍遙永日却忘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黃龍江上有月波臺。以勝地得名。余未及見。仍成一夢。遂爲之題。用博一粲。 夢去波臺十里間。水仙向我說淸閒。幸遇東坡名赤壁。若無永叔滁山。百年風物俱收蓄。幾個遊人自往還。願得文章詩一句。流傳天下可班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鄰燭 煒煌燭影屋西陲。不妨東天月上遲。高掛三更逃黑夜。餘光一線漏疎籬。借明江女來何夕。穿壁文人已昔時。安得芳鄰如彼好。照余心曲破昏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詠 茂林洞口夜蒼蒼。維夏繁陰匝里坊。月穿輕雲來野郭。風噓空谷入山堂。聽琴客自塵心小。無酒詩難醉興長。守拙平生吾自足。回思世路更茫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榴 甘榴一樹近荊門。石上盤根築小盆。葉與桑連爭沃若。香仍梅動含黃昏。數枝五月春光好。千顆三秋實理存。不可尋常凡木比。移來西國入山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養士齋雅會。奉和金侯韻。 函筵焉敢衆人咻。會事黌堂破寂幽。入學如承韓子誨。環門無媿漢民儔。一生白面緣詩瘦。半日淸遊賴酒優。覺得吾儒歸宿處。從今誓不混波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地主金侯以六律示余索和。力疾搆掇。用供一粲。【七言絶句二首。五言律詩一首。見上。】 薇牕無事坐書灰。消世良謀睡與媒。夜侈籬珠凝白露。泉垂石髮散蒼苔。案携黃卷心還悅。座對紅罇眼忽開。始識秋凉收夏暑。夕陽寒樹有聲來。到今意思試思前。三十流光屬去年。伊後須尋工實地。厥初均得性根天。澗松飽雪惟貞操。園李媚春是俗緣。倘使靑苹鳴寶價。月樓夜夜夢魂牽。南州勝槩菅湖山。繁務公門也不關。座客成詩峯筆健。官僮無事閣玲閒。明光嶺月登樓上。爽氣郊凉入樹間。何幸文章司命在。短篇媿不玉如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吳斯文可煥以八隱名其亭。要和於余。謹步其韻。 書隱窮理平生好讀書。明牕斐几是閒居。眞工已得三餘足。世味何關一切疎。學海淙淙鳴石磵。奎華爛爛擁茅廬。隱中包得中庸費。致用工夫古有如。農隱習隱年來伴老農。見君野服是眞容。炊烟如雨籠花塢。鋤月含珠上石峯。愛此生涯同癯鶴。媿佗聲利喜登龍。描苗恐爾時人病。憂世彷徨倚短笻。樵隱老却林泉也自樵。南州遺逸聖明朝。披裘五月金心遠。爛斧千年世念消。碧磵閒聽無俗語。白雲高蹈有時謠。自家眞樂於斯足。笑爾聲華不見搖。釣隱錦江之北閒垂釣。雨笠輕遮春日照。秋鱖生肥水氣凉。沙鷗同夢塵心小。短磯明月自爲期。滿艇斜風誰解妙。不是尋常求取魚。個中雅趣坐長嘯。琴隱看書餘暇又聽琴。耳目聰明早解音。桐月流光留美景。竹樓遺韻入閒唫。短簷上下鳴巢鷰。小磵徘徊聽水禽。我匣無端藏已久。願將一曲許知心。梅隱小砌花盆一樹梅。春風消息個中回。巧衝白雪腮粧玉。暗動黃昏影纈盃。高士如將林子見。名區不讓漢濱開。主人早解仙書讀。斜逕前園破綠苔。菊隱主老精神淡似菊。一叢微馥蒼山屋。巧凌霜白天姿直。嬾是金黃秋氣肅。飮水吾知甘谷又。把罇誰謂淵明獨。滿庭栽植雜靑紅。新譜君家題數目。酒隱浩歌一曲細傾酒。笑把紅罇濡白首。强遣塵憂入飮仙。爲緣詩瘦半酣叟。掇糟餘思希賢範。作醴遺謨擬國手。養得乾坤氣浩然。太和意味三盃後。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