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갑자) 十六日 甲子 -알봉곤돈(閼逢困敦)-. 맑음. 장성(長城)으로 가는 중에 양지리(陽地里)3)를 지나는데 거문고를 타고 시를 읊는 소리가 났다. 기뻐서 그 집으로 들어가 보니 범달삼(范達三)이 제자 수십 인을 거느리고 강학하고 있었다. 고산사(高山祠)를 봉심(奉審)하였다.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선생(先生), 노백헌(老栢軒) 정재규(鄭載圭) 선생,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선생, 동오(東梧) 조의곤(曺毅坤) 선생, 석전(石田) 이최선(李最善) 선생,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선생, 신호(莘湖) 김록휴(金祿休) 선생4)을 배향하였다.자리에는 공학원(孔學源), 황철원(黃澈源)5), 양회갑(梁會甲)6), 양성묵(梁成默)7), 기춘도(奇春度), 기노선(奇老善),8) 기숙도(奇淑度), 기순서(奇順敍)9)가 앉아 있었다. 【閼逢困敦】。陽。作長城之行。 過陽地里。 有絃誦之聲。喜入其堂。 范達三率弟子數十人。 講學也。奉審高山祠。蘆沙奇先生正鎭。 老栢軒鄭先生載圭。 月皐趙先生性家。 曺東梧先生毅坤。 石田李先生最善。 松沙奇先生宇萬。 莘湖金先生祿休。座上孔學源。 黃澈源。 梁會甲。 梁成默。 奇春度。 奇老善。 奇淑度。 奇順敍。 양지리(陽地里)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 양지리이다. 신호 김록휴 선생(莘湖金祿休先生, 1827~1899) 자는 치경(穉敬), 호는 신호(莘湖)이며 본관은 울산(蔚山)이다. 전라남도 장성(長城) 월평리(月坪里)에서 태어났으며,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후손이다. 기정진(奇正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문집으로 《신호집(莘湖集)》이 있다. 황철원(黃澈源, 1878~1932) 자는 경함(景涵)이고 호는 중헌(重軒)‧은구재(隱求齋)이다.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 능주(綾州) 운곡(雲谷)에서 태어났다. 기정진(奇正鎭)의 제자인 정의림(鄭義林)과 정재규(鄭載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저서로는 《중헌집(重軒集)》이 있다. 양회갑(梁會甲, 1884~1961) 자는 원숙(元淑)이고, 호는 정재(定齋)이다.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 이양면(梨陽面) 초방리(草坊里) 출신이다.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후손으로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기우만의 《송사집(松沙集)》과 선조 양팽손의 《학포집》간행하는 일을 주관하였으며, 저서로는 《정재집(定齋集)》과 《풍천록(風泉錄)》ㆍ《성학원류(聖學源流)》 등이 있다. 양성묵(梁成默, 1869~?)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에 거주하였다. 기노선(奇老善, 1895~1937) 자는 공길(公吉), 호는 도남(道南)으로, 기정진(奇正鎭)의 현손이며, 기우만(奇宇萬)의 종손(從孫)이다. 그의 아버지 기춘도(奇春度, 1876~1931)가 1931년에 사망하자, 노사와 송사 및 고산서원과 관련된 일을 주관하여 해나갔는데, 그도 일찍 사망함으로써 고산서원과 노사 후손가는 침체를 면치 못한 것으로 보인다. 기순서(奇順敍) 기노선의 큰아들 기순서(奇舜舒, 1912~1950)를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을축) 十七日 乙丑 집으로 돌아왔다. 還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신해) 五日 辛亥 -중광대연헌(重光大淵獻)-. 흐림. 잠깐 맑다 잠깐 비가 왔다. 【重光大淵獻】。陰。乍晴乍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임자) 六日 壬子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병신) 十九日 丙申 -유조군탄(柔兆涒灘)-. 맑다가 비. 【柔兆涒灘】。陽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정유) 二十日 丁酉 -강어작악(疆圉作噩)-. 흐림. 【疆圉作噩】。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觀瑞石而歸。用搆四韻一疊。 暇日從容苐出遊。鮮新爽氣正高秋。衆山短短皆平垤。大海茫茫卽小洲。陰晦氛埃浮麓足。嵯峨巖石護峯頭。達觀在我中心得。笑爾詞人筆舌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敬次雲溪韻 瀟灑茅廬枕小泉。蒼山深處竹爲椽。一生淸靜多閒日。百歲康寧似盛年。愛此眞源流水地。任佗甚事過雲天。個中見得烟霞想。爲說斯翁性本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科後有病。因又見屈。寓懷自警。 謾將得失枉煩人。回首乾坤更一嚬。疾病支離催白髮。光陰荏苒謝靑春。名關着肚終爲累。實地存心便覺眞。冷㬉三年須莫說。自家愧不置閒身。居然白髮已衰年。踐履浮荒愧昔賢。架上殘書違實地。世間甚事付明天。進就工夫遲日月。戰兢深意戒氷淵。笑說男兒須老壯。爲賦新詩更一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卽事 緣何事業髮如絲。無怪時人不我知。槐葉迎風疑驟雨。桃花帶露濕臙脂。遣愁涔寂仍呼酒。乘興逍遙强覓詩。笑說秋山春桂答。也應獨秀有前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경술) 四日 庚戌 흐리고 비. 천둥이 크게 소리쳤다.〈'종유습구(從遊習句)' 시에 차운하다〉(次從遊習句韻)요인(要人)도 대개는 문 나서면 같아지고,(要人爲蓋出門同)세상은 되돌리기 어려우니 고풍으로 향하리.(世謂難回往古風)물러나 찾아온 벗과 함께 역사를 살펴보니,(退與來朋看歷史)성현(聖賢)이 전수한 법에 의리가 무궁하네.(聖賢垂法義無窮) 陰雨。雷大發聲。〈次從遊習句韻〉要人爲蓋出門同。世謂難回往古風.退與來朋看歷史。聖賢垂法義無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白紙【此當在五言律詩篇】 削楮仍爲紙。山砧搗水邊。形容苔尙滑。色態白雲新。自是親文客。不曾喜武人。愛爾無玷瑕。潔身豈染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江行 勝日尋芳江上立。花開魚躍此中新。醉歌謾舞行相過。幾個遊人自得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暮春詠懷 久我書樓不下欄。高臺今日始登看。山梅欲謝柳花落。謾送風光三月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日與朴正伯朴昌叟會山齋。歎壺乾。 逢場惜未一盃分。徒彼南天讓需雲。永日春風詩喉喝。江州何處更王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무오) 十日 戊午 -저옹돈장(著雍敦牂)-. 맑음. 【著雍敦牂】。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기미) 十一日 己未 -도유협흡(屠維協洽)-. 맑음. 【屠維協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계유) 二十四日 癸酉 -소양작악(昭陽作噩)-. 맑음. 【昭陽作噩】。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갑술) 二十五日 甲戌 -알봉엄무(閼逢閹茂)-. 맑음. 【閼逢閹茂】。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을해) 二十六日 乙亥 -전몽대연헌(旃蒙大淵獻)-. 맑음. 【旃蒙大淵獻】。 陽。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