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신사) 二十三日 辛巳 -중광대황락(重光大荒落)-. 맑음. 【重光大荒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신사) 二十四日 辛巳 -중광대황락(重光大荒落)-. 맑음. 동오재(東吾齋)로 돌아왔다. 【重光大荒落】。陽。還東吾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임오) 二十五日 壬午 -현익돈장(玄黓敦牂)-. 맑음. 【玄黓敦牂】。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갑오) 八日 甲午 -알봉돈장(閼逢敦牂)-. 맑음. 【閼逢敦牂】。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임진) 六日 壬辰 -현익집서(玄黓執徐)-. 맑음. 【玄黓執徐】。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을미) 九日 乙未 -전몽협흡(旃蒙協洽)-. 맑음. 【旃蒙協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신해) 二日 辛亥 -중광대연헌(重光大淵獻)-. 맑음. 【重光大淵獻】。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임자) 初三日 壬子 –현익곤돈(玄黓困敦)-. 흐림. 끝내 밤에 비가 내렸다. 【玄黓困敦】。陰。終夜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신축) 四日 癸丑 -소양적분약(昭陽赤奮若)-. 흐림.〈청고(靑皐) 이승학(李承鶴)183)의 만사 〉(輓李承鶴靑皐)석전(石田, 이최선)의 후인으로 청고가 유일한데,(石田之後一靑皐)효도는 증자와 같고184), 처세는 도연명과 같았네.(爲孝若曾處似陶)당세에 전귀(全歸)185)한 일을 차마 들으랴.(忍聞當世全歸事)〈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짓다〉(代人作)선생이 세상을 떠나 이미 호고(呼皐)186)하였으니,(先生云沒已呼皐)태산 북두와 같은 높은 희망 끊어졌네.(望絶泰山北斗高)사문(斯文)을 부식할 사람 몇이나 남았나,(扶植斯文餘有幾)서글피 상여 끈 잡으니 눈물이 옷을 적시네.(愴然執紼淚盈袍) 【昭陽赤奮若】。陰。〈輓李承鶴靑皐〉石田之後一靑皐。爲孝若曾處似陶.忍聞當世全歸事.寄淚□□□□高〈代人作〉先生云沒已呼皐。望絶泰山北斗高.扶植斯文餘有幾。愴然執紼淚盈袍. 이승학(李承鶴, 1857~1928) 자는 자화(子和), 호는 청고(靑皐), 본관은 전주이다. 이최선(李最善)의 아들이며,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이다. 효도는 증자와 같고 증자는 아버지 증석(曾晳)을 섬길 때 반드시 술과 고기를 갖추고 상을 물릴 때 누구에게 줄 것인지 묻고, 남은 것이 있는지 물으면 반드시 있다고 답하여 그 뜻을 받드는[養志] 효를 다했는데, 맹자가 이를 두고 "어버이 섬기기를 증자같이 함이 옳다.[事親, 若曾子者, 可也]"라고 하였다.(《맹자》 〈이루상(離婁上)〉) 전귀(全歸) 몸을 잘 보존하여 훌륭한 명성을 남기고 생을 마치는 효성을 말한다. 증자(曾子)의 제자인 악정자춘(樂正子春)이 "부모가 자식을 온전히 낳아주셨으니 자식이 몸을 온전히 하여 돌아가야 효도라고 이를 수 있으니, 몸을 훼손하지 않으며 몸을 욕되게 하지 않으면 온전히 한다고 이를 수 있다.[父母全而生之, 子全而歸之, 可謂孝矣. 不虧其體, 不辱其身, 可謂全矣.]"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예기》 〈제의(祭義)〉) 호고(呼皐) 고복(皐復)을 외치는 것을 말함. 고복은 사람이 죽은 뒤 지붕 위에 올라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부르는 일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갑자) 十四日 甲子 -알봉곤돈(閼逢困敦)-. 맑음. 【閼逢困敦】。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을축) 十二日 乙丑 -전몽적분약(旃蒙赤奮若)-. 맑음. 천둥소리가 났다. 월산(月山)40)에 다니러 갔다. 【旃蒙赤奮若】。陽。雷聲。作月山之行。 월산(月山)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병인) 十三日 丙寅 -유조섭제(柔兆攝提)-. 맑음. 장성(長城) 수성(水城)에 다니러 가서 영광(靈光) 불갑(佛甲)에 사는 강영철(姜永喆) -자는 군필(君弼)- 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천둥소리가 났다. 【柔兆攝提】。陽。作長城水城之行。 與靈光佛甲姜永喆字君弼談論。有雷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임술) 十日 壬戌 -현익엄무(玄黓閹茂)-. 맑음. 【玄黓閹茂】。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계해) 十一日 癸亥 -소양대연헌(昭陽大淵獻)-. 맑음. 【昭陽大淵獻】。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신유) 九日 辛酉 -중광작악(重光作噩)-. 맑음. 【重光作噩】。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갑자) 十二日 甲子 -알봉곤돈(閼逢困敦)-. 맑음. 【閼逢困敦】。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계해) 十三日 癸亥 -소양대연헌-. 갬. 덕진내(德振內)에 있는 생부의 묘에 성묘를 갔다가 문암리(門巖里)에 들어가 생부의 조카 집에서 점심을 먹고, 조(趙) 상제(喪制) 댁 사랑에서 머물러 잤다. 이어서 추석을 지냈다. 【昭陽大淵獻】。晴。作德振內生庭親先考墓省楸之行。 入門巖里。 生庭親侄家點心。 留宿趙喪制宅舍廊。仍過秋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갑인) 五日 甲寅 -알봉섭제(閼逢攝提)-. 흐림. 【閼逢攝提】。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계미) 二十九日 癸未 -소양협흡(昭陽協洽)-. 맑음. 【昭陽協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월 正月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