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63년 나상옥(羅相玉) 매도증서(賣渡證書) 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李敎璿 羅相玉 敎璿(원형) 나주 나주나씨 나덕준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3년에 이교선(李敎璿)이 나상옥(羅相玉)에게 토지를 팔면서 작성한 매도증서(賣渡證書) 매도대금: 40,800원 매도토지: 羅州郡 細枝面 五峰里 697番地-3 沓 400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34년 답(畓)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韓忠信 淸州韓氏追慕兩齋宗中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4년 7월 25일에 발행한 매도증서(賣渡證書) 매도인(賣渡人) 한충신(韓忠信), 한홍봉(韓泓鳳), 한례조(韓禮祚), 한성염(韓性炎)이 청주한씨 추모양재 종중(淸州韓氏追慕兩齋宗中)으로 답(畓)을 매도(賣渡)하는 내용 매도대금(賣渡代金): 372원 부동산(不動産) 소재지(所在地):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靈光郡 法聖面 新庄里) 775번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賦 中天地而大觀究爲學之至要非記誦之徒尙寧富貴之是徼抱遺經而幽探日專專於講習聿反觀而自修期下學而上達然後得其固有豈鑠我而附益元人性之最靈荷天命之均畀曰仁曰義曰禮曰智虛靈洞澈方寸萬理惟聖浩浩盡性而已衆人蚩蚩物蔽氣拘形存理非禽獸與徒故先民之是懼務爲學而開發自養蒙之初學與修治之大業咸效爲於先覺要切已而篤實五典之有所未明思因學而明之義理之有所未精思因學而精之質之薄者可敦而厚也心之放者可收而守也隨所偏而施求用變化其氣質紛博約之偕進抑敬義之並立恒切磋而琢磨恐不及而有失始自强而不息竟純熟而和平大而聖兮小而賢孰不學而有成仰華勛之性之亦有事於精一歷禹湯而文武咸敬修而罔逸我孔聖之自言曰不厭而忘食顔回勿而竭材曾三省而一惟玆聖賢之所就超萬古而卓爾何軻死之千載夐此學之寥寥紛喧㒮兮異說悶正路之蓬蒿幸濂洛之繼起績徽音於久絶旣自得於當年又啓人於來日斥利功於浮華指坦途於聖功幸明訓之罔墜吾捨玆焉曷從繫曰君子之學在求仁兮講習討論期反身兮位育參贊從玆擴兮苟異於斯學非學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6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7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6년에 해남군(海南郡)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342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8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13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8년에 창리(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457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9년 이홍구(李洪九) 외 7명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海南面 李洪九 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9년에 1월 21일에 삼산면 창리(三山面 昌里)에 거주하는 이홍구(李洪九) 외 7명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446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2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李時同 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2년에 8월 12일에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26,400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63년 정철(丁哲)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哲宗 丁哲 施命之寶(10.0×10.0) 여수 오충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3년 6월에 정철을 가선대부병조참판 겸동지의금부사로 추증한 추증교지 1863년(철종 14) 6월에 철종이 정철(丁哲, ?~1595)을 가선대부·병조판서 겸 동지의금부사로 추증하면서 내려 준 문서이다. 정철의 본관은 창원. 자는 사명(士明), 호는 청은(靑隱)이다. 1585년(선조18) 무과에 급제하고 수문장으로 재임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철은 여러 사람들과 함께 만금(萬金)의 재산을 내놓아 의병을 모집하였고, 이순신의 휘하에서 전공(全功)을 세웠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광주향좌목(光州鄕座目)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광주 광주향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光州鄕座目. 광주 지역 인물의 명단을 수록함 改名한 경우에는 성명 하단에 改名한 이름을 기재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을해년 동면(東面) 고마청보고전절목(雇馬廳補雇錢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興陽縣監 東面 官<押> [興陽縣監之印] 19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해년 4월에 흥양현에서 동면에 발급한 고마청보고전절목 을해년 4월에 흥양현(興陽縣)에서 동면(東面)에 발급한 고마청보고전절목(雇馬廳補雇錢節目)이다. 고마청은 조선 후기에 지방관의 교체와 영송에 따른 제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재정 기구이고, 보고전은 고마청에서 사용하는 금전을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정사년 흥양현(興陽縣) 대강면(大江面) 사징전균포구폐절목(査徵錢均布救弊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暗行御史 興陽縣 暗行御史[押] 二馬牌 6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사년 10월에 흥양현에서 대강면에 발급한 사징전균포구폐절목 정사년 10월에 흥양현(興陽縣)에서 대강면(大江面)에 발급한 사징전균포구폐절목(査徵錢均布救弊節目)이다. 사징전은 관리들이 횡령한 물품이나 금전을 환수한 금액을 가리킨다. 흥양현의 무망군정(無亡軍丁)에 대해 족징(族徵)한 번포(番布)를 혁파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8년 원동면(元東面) 표창명부(表彰名簿)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8년 3월에 작성된 元東面 表彰名簿. 효행한 이들의 주소, 성명, 표창 시기와 사항 등을 수록한 내용 *印札空冊紙에 작성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90년 동강면계(東江面契) 집강(執綱) 대상자명부(對象者名簿)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90년에 작성된 東江面의 執綱 對象者 名簿. 凡例와 契員의 생년, 본관, 사는 지역 등을 수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表 後學完山李秉坤敬撰先生諱希文字景范月溪因其所居村後之山而號之也咸安之趙以高麗大將軍諱鼎爲鼻祖十世而至諱承肅曰德谷先生麗末以扶餘監務棄歸咸陽世以杜門諸賢幷稱先生其來孫也高祖諱從禮直提學號栗亭曾祖諱琰參奉祖諱繼祖有學行値昏朝不仕考諱琳司成號愼齋妣同福吾氏參奉元童之女以嘉靖丁亥某月某日生先生于南原府西竹谷第蓋自栗亭公未第時已卜居于此云先生承家庭詩禮之敎童子時文藝夙成河西先生金文正聞其名來見與語曰吾得五言聯一句而未得其偶云嶺險愁羸馬先生應聲曰風寒㥘病人文正大奇之敎以性理之學仍以女妻之明廟癸丑登第【見親耕別試榜目又見鳴巖詩序文】辛酉爲慶尙都事【有立石表刻于德谷墓之事】丁卯爲長興府使【有薦劉好仁狀】嘗點馬濟州而考試公忠道焉【有七律詩】先生之在甥館也有毁文正者門人將爭之先生以不足較止之文正聞而多之嘗與梁鼓巖侍文正夜飮梁曰老先生於一草一木無不吟咏無近翫物邪先生曰非爾所知也卽口占一聯而文正續之常曰云云想其函席相與之歡不可但以淸潤擬也先生官止校理戊寅某月某日卒墓在淳昌虎溪面雄德里子坐之原淑夫人蔚山金氏墓祔其下有一男曰份將仕郞將仕繼子曰惟善軍資監正正生二子曰宇曰實一女適薛應貞武郡守餘不能盡記先生著述甚富而盡逸於兵燹事蹟宜多而未始有狀誌此若可恨者然若于文字之收拾爲一卷者豈非後昆之誠力也乎其亦幸矣噫先生之於文正猶朱門之有勉齋也非勉齋則無以狀冑子之行非先生則無以序文正之集欲知先生學問之純踐履之篤造詣之精深而高明者只求之河西集序文一篇足矣且君子之所貴者論其德也以若先生道學文章釋褐十六年之久而屈於遐外則其道亨於儉德避難之時而命嗇於善榴彙征之日可知立言君子必有取於斯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