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김재식(金宰植)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辰元月八日 弟 金宰植 戊辰元月八日 金宰植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8년 1월 8일에 김재식(金宰植)이 남국의 중산씨를 아는지의 여부와 본생친이 견비통을 앓고 있다는 소식, 며느리의 귀녕과 종해군이 부탁한 일 등을 내용으로 보낸 간찰(簡札) 한 도사가 남방의 중산씨에 대해 말해서 형도 아는지 물어보고 찾아가서 중매를 하려고 한다 하였다. 본생친께서 견비통을 한 해가 넘도록 앓고 계셔서 애가 타고, 며느리의 귀녕은 차질이 생겨 이달 21일 쯤으로 하는 것이 어떠냐 하고 물었다. 종해군이 긴히 부탁한 일은 논의하여 정하게 하여 부중(府中)에서 여기로 직접 통지해 주면 지연되는 근심을 막을 수 있으니 좋겠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윤재준(尹在準)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丙子十一月二十一日 尹在準 李敎成 氏 丙子十一月二十一日 尹在準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6년 11월 21일 윤재준(尹在準)이 이교성(李敎成)에게 집안의 혼사 문제를 조언하는 내용의 간찰(簡札) 1936년 11월 21일 윤재준(尹在準)이 가천에 사는 자형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내는 답서로 집안의 혼사 문제는 서로 합의하여 연내에 치르는 것이 좋을 듯하다고 조언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6년 정유택(鄭逌澤)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丙之臘望 弟 鄭逌澤 丙之臘望 鄭逌澤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6년 12월 15일에 정유택(鄭逌澤)이 아드님의 친영이 가까워 남은 경사가 있을 것이고, 자신은 게을르고 불초함을 가련하게 여기지만 식구들이 무탈하여 다행이라는 간찰(簡札) 1926년 12월 15일에 아우 정유택(鄭逌澤)이 안부를 묻고 나서 아드님의 친영(親迎)이 가까우니 남은 경사가 있을 것이고, 자신은 게을러 스스로 불초함을 가련하게 여기지만 식구들이 무탈하여 다행이라는 내용이다. 아드님의 친영이 가까우니 인륜의 시작이자 복의 근원이 이로부터 정해져 반드시 앞으로 남은 경사가 있을 것이니, 하례하지 아니하는 하례[不賀之賀]를 바친다. 자신의 마음은 우주로 치달리나 밖에서 마음을 거두어 잡는 것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여, 실제로 날마다 차가운 창가에서 손을 호호 불며 게으름을 일삼고 있으니 스스로 불초함을 가련케 여긴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0년 정유택(鄭逌澤)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庚午七日望日 朞服人 鄭逌澤 庚午七日望日 鄭逌澤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0년 7월 15일 기복인 정유택(鄭逌澤)이 자신의 다섯째 서숙이 요절하여 몹시 가슴이 아프고 보내주신 반찬은 매우 고맙다는 간찰(簡札) 1930년 7월 15일 기복인(朞服人) 가천(可川)에 사는 정유택(鄭逌澤)이 지곡(芝谷)에 계신 분께 편지를 받고 안부를 알게 되었고, 자신의 다섯째 서숙이 요절하여 몹시 가슴이 아프고 보내주신 반찬은 매우 고맙다는 내용이다. 심부름꾼 편에 보내주신 서찰로 이즈음의 식구들의 안부를 알게 되었고, 자신은 가문이 불행하여 이제 겨우 40세인 다섯째 서숙(庶叔)이 6월 그믐께 요절(夭折)하셔서 가슴이 무너지는 아픔과 쓰라림을 참을 수 없다. 장마 때문에 심부름꾼을 보내지 못하고 우편으로 부고를 하여 부침(浮沈)이 있었으리라 생각해서 죄송하고 부끄럽다. 보내주신 반찬이 텅 빈 부엌을 풍부하게 채워주셨지만 만의 하나도 갚지 못해서 매우 얼굴이 붉어졌고, 동생이 날이 서늘해지면 찾아뵙겠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文田面 第里 可川村 第統第戶鰥嘉善大夫行同知中樞府事 李箕斗 年八十七戊辰 本星州 父 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 有源 祖 贈通政大夫吏曹參議 國鎭 曾祖 贈通政大夫司僕寺正 奎明 外祖 學生 羅商佐 本錦城 子 冕容 年四十六己酉 婦 趙氏 齡五十一甲辰 籍漢陽 子 瑀容 年三十七戊午 婦 羅氏 齡四十一甲寅 籍錦城賤口秩 婢 㪲德 年五十一 分順 年三十一 奴 夫文 年三十五甲午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李箕斗爲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者 光緖十二年 十二月 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十七年 丁酉 三月初一日 幼學 朴祥文 處明文右明文放賣段 自己買得 累年耕食是如 移買次 伏在寶城文田面長洞村下坪 和字畓一斗五升落負數五卜九束庫叱 價折錢文肆十柒兩 依數捧上爲遣 右前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相左之弊 持此文記憑考事畓主 自筆 幼學 朴昌赫 [喪不着]訂人 幼學 李萬孫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癸丑 九月十五日 再從叔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由來畓 積年耕食是多可 相換次 寶城郡文田面可川村前古城坪 千字二斗落六卜庫乙 以再從叔由來畓馬山坪縣字四十七番二斗落負數十卜五束庫으로相換ᄒᆞ고 如是成文 日後若有相左之端則持文記憑考事此中舊文記亦 又相換 日后亦又憑考故 如是又書耳畓主 再從侄 鍾悅 [印]證 再從侄 鍾澈 [印]百戶〔兼務〕 里長 李鉦 [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九年 甲戌 三月二十一日 梁柳源 處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 累年耕是多可勢不得已 伏在寶城文田面可川村甘山洞夫字田太鍾二斗落只負數三卜六束庫乙 價折錢文九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去等 持此文記告官卞正事田主 幼學 廉興采 [着名]證 閑良 金得采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拾六年 庚寅 十一月十二日 李始瑞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 累年耕食尼〖是〗多可 勢不得而〖已〗 以要用所致 伏在寶城文田面校村之前坪 隨字畓七升落負數二卜庫乙價折錢文四十兩 依數捧上爲遣 以新一丈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相左之端則持此文記 告官卞呈事畓主 林成烈 [着名]證人 幼學 黃昌錫 [着名]筆執 幼學 金顯國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李箕斗爲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者 光緖十二年 十二月 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李箕斗爲通政大夫者 光緖十二年 十二月 日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