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參年 丁丑 正月十七日 幼學 前明文右明文事段 流來畓 累年耕食是如可 勢不得已 要用所致 伏在宝城文田面長洞村坪 和字畓一斗三升落只負數五卜九束庫乙價折錢文六十兩 依數捧上爲遣 右前 新舊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相左之端 則以此文記告官卞正事畓主 幼學 李孟先 [喪不着]訂人 幼學 李興㤠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貳拾貳年 丁丑 七月初十日 金用三 前明文右明文事段 矣自起買得乙 耕食是多可勢不得只〖已〗 寶城文田面可川村前 白頭山坪員伏在 陸字畓柒升落只負數壹卜五束庫果 北邊田太種一斗落只伏〖負〗數二卜四束庫果 左右灰山幷以 價折錢文四兩 依數捧上爲遣 本文記三丈幷以 右人處 永永仿〖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去等 持此文記卞正事畓主 金陽州 [着名]行〖執〗筆 南雲慶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7년 정운한(鄭雲翰) 등의 통고문(通告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丁亥南至月日 丁亥南至月日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87년 11월 정운한(鄭雲翰), 김학열 등이 석전제를 철폐한 최희송과 공자의 위패를 불사른 강용석의 죄를 성토하는 통고문(通告文) 1887년 11월 모일 경기에 사는 정운한(鄭雲翰), 김학열 등이 충청・전라 3도의 50여 명 유생들과 함께 공자의 석전제를 철폐한 최희송과 공자의 위패를 불사른 강용석의 죄를 성토하는 통고문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900년 이면용(李冕容) 입후(立後) 청원서(請願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光武四年十月日 李冕容 掌禮院 光武四年十月日 李冕容 掌禮院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00년(광무 4) 10월에 이면용(李冕容)이 입후(立後)를 허락해줄 것을 장례원(掌禮院)에 신청한 청원서(請願書) 1900년(광무 4) 10월에 이면용(李冕容)이 입후(立後)를 허락해줄 것을 장례원(掌禮院)에 신청한 청원서(請願書)으로 청원인의 주소와 직역, 성명을 밝히고서 청원 내용을 기록하였다. 청원인은 전남 보성군에 사는 사인(士人) 이면용이다. 본인은 나이 늙도록 자식이 없다. 집의 아우 우용의 아들 교성이 봉양하고 제사를 받들게 하고자 한다. 그러나 예사(禮斜)가 장례원 관할에 관계되므로 마음대로 할 수 없어 앙청하니 살핀 후에 예사를 특별히 허락해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예사는 관할기관에서 양자(養子)의 청원을 허가해주는 글을 가리킨다. 신청기관은 장례원이다. 이 청원에 대한 장례원에서의 결정사항이 왼쪽 하단에 초서로 쓰여 있는데, 이 뎨김에는 아뢰어 허락을 받은 후에 예사를 발급하겠다고 하였다. 붉은색 직인이 3군데 찍혀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5년 유원규(柳遠奎)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之閏月 初四日 柳遠奎 拜拜 乙之閏月 初四日 柳遠奎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95년 윤5월 4일 유원규(柳遠奎)가 동료에게 안부를 전하며 한 번 방문해주기를 청하는 간찰(簡札) 1895년 윤5월 4일 유원규(柳遠奎)가 과거의 동료에게 자신의 소식을 전하는 편지이다. 을 자가 들어가는 해는 을미년이며, 윤달은 윤5월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러러 그리워한 지가 이미 오래되었는데 아직도 뵙지를 못해 서글퍼 하던 차에 꽃이 피는 요즘 안부가 좋으신지요? 우러러 그리운 마음으로 제 마음을 견딜 수 없습니다. 저는 여러 날을 병으로 누워 고통으로 신음하며 지내고 있고 읍의 일은 갈수록 더욱 얽혀서 바로잡을 기약이 없으니 이 때문에 안타깝습니다. 한번 왕림해주셔서 회포를 펴주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5년 김국환(金國煥)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丑 四月 九日 金國煥 再拜 外舅主前 上候書 乙丑 四月 九日 金國煥 外舅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5년 4월 9일에 조카 김국환(金國煥)이 외숙에게 자신의 소식을 전하며 가족들의 안부를 묻는 간찰(簡札) 1925년 4월 9일에 김국환(金國煥)이 자신의 외숙에게 소식을 전하는 문안 편지로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만나 뵙고 헤어진 뒤로 그리운 마음에 슬퍼하던 날이 이미 여러 날이 되었습니다. 부모님 모시는 체후와 여러 식구의 안부를 알지 못하였는데, 한결같이 평안하시고 여러 형제도 고르게 복됨을 알았으니 삼가 사모하여 제 마음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저는 번거로움 없이 모시고 돌아왔으며, 조부모와 부모님 모시는 일은 옛날과 같으니 어찌 다 말할 수 있겠습니까? 나머지는 안부가 때를 따라 강건하고 왕성하시기를 축원합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대맥동신영침당상량문(大麥洞新營寢堂上梁文) 사본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김인후가 지은 '대맥동신영침당상량문(大麥洞新營寢堂上梁文)'의 전문을 옮겨 적은 잡문 모년 성명 미상의 필자가 하서 김인후가 지은 '대맥동신영침당상량문(大麥洞新營寢堂上梁文)'의 전문을 옮겨 적은 잡문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윤재준(尹在準)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丙子十一月十六日 尹在準 李敎成氏 丙子十一月十六日 尹在準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6년 11월 16일에 윤재준(尹在準)이 자동차 건에 관한 일정과 비용을 내용으로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내는 간찰(簡札) 1936년 11월 16일에 남원군에 사는 윤재준(尹在準)이 보성군에 사는 이교성(李敎成)에게 사돈댁의 안부를 묻고 상대가 부탁한 자동차 건에 관한 일정과 비용을 알리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714년 민진후(閔鎭厚)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甲午七月三日 閔鎭厚 甲午七月三日 閔鎭厚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714년(숙종40) 7월 3일에 민진후(閔鎭厚)가 자신은 노쇠한 나이에 병까지 깊어져서 억지로 채찍질하여 분주히 일하고, 보내주신 한 개의 빗은 잘 받았다고 감사를 전하는 간찰(簡札) 1714년(숙종40) 7월 3일에 민진후(閔鎭厚)가 뜻밖에 편지를 받고 체리(體履)가 편안하고 복되시다는 것을 알고 위로되었으며, 자신은 노쇠한 나이에 병까지 깊어져서 억지로 채찍질하여 분주히 일하고, 보내주신 한 개의 빗은 잘 받았다는 내용이다. 성상(聖上)의 환후가 회복된 경삿날은 전고에 드문 것인데, 뜻밖에 주신 편지를 받고 순리대로 양생하는 체리(體履)가 편안하고 복되시다는 것을 알고 매우 위로되었다. 소식이 막혀 그리워하던 마음이었고, 노쇠한 나이에 병까지 깊어져서 억지로 채찍질하며 분주히 일하고 있으나 말할 수 없다. 보내주신 한 개의 빗은 잘 받았으며, 참먹 1홀(笏)을 약소하나마 드린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행주기씨(幸州奇氏) 족보(族譜) 범례(凡例) 고문서-치부기록류-보첩류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행주기씨 족보(族譜) 편찬 과정에서 작성된 범례(凡例)와 수정을 요하는 부분에 대한 기록 범례와 병편재첩종(丙編再疊終)으로 구성되었으며, 범례는 모두 14조목이고, 족보의 연혁 및 기술 체계와 방식을 정리해 수록하였다. 그 다음에는 병편재첩종이 수록되었는데, 이는 족보 중 병편에 해당하는 책의 내용 중에서 수정을 요하는 부분을 적시한 것이다. 병편고(丙編考)는 제1판부터 2·3·15·16·18·20판의 수정 내용을 적었고, 계축신증(癸丑新增)은 제3·10·18판의 수정내용을 적었다. 예를 들어 병편 제15판의 경우에는 '세걸(世傑)은 봉사 서자이기 때문에 적녀의 위에 기록해야 한다. 무릇 여자는 서자의 아래에 있어 서녀로 시작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와 같은 것이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1년 이당(李鐺)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辛丑九月旬二日 再從姪 李鐺 李敎成 辛丑九月旬二日 李鐺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1년 10월 12일에 재종질(再從姪) 이당(李鐺)이 조금의 자본(資本)이 있으면 곧바로 떨치고 날아갈텐데 객지에서 어찌할 도리가 없으니 두루 힘써달라는 내용으로 숙부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내는 간찰(簡札) 7일에 보낸 서찰을 잘 받아 보았으리라 생각하며, 재종조부의 건강과 맏종형제와 상대방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의 식구들은 굶주림과 추위에 시달리며 가슴이 막혀 견디기 어려우며, 송종(宋從)은 돈을 장만할 수 없어 온갖 일이 낭패라고 하였다. 다만 조금의 자본(資本)이 있으면 곧바로 떨치고 날아갈텐데 객지에서 어찌할 도리가 없고, 이달부터 다음 달까지 시세(時勢)가 얻기 어려운 기회이니 두루 힘써달라고 부탁하였다. 세상이 변하는 일이 전에 있었으니 이렇든 저렇든간에 생각대로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추신이 있는데, 빚이 쌓인 나머지 좌우로 얽매어 용이하지 않고 며칠 사이에 여부를 알지 못하면 기필할 수 없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8년 김재명(金在明)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道光二十八秊 己酉 十月十五日 畓主 自筆 閒良 金在明 李生員卜代 處明文 道光二十八秊 己酉 十月十五日 金在明 李卜代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123 1848년 10월 15일 김재명(金在明)이 이생원(李生員)에게 논 2두락지를 57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준 매매문서. 1848년 10월 15일 김재명(金在明)이 이생원(李生員)에게 자신의 빚이 많아서 논 2두락지를 57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준 문서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광(道光) 28년 기유 10월 15일 이생원 복대(卜代)에게 주는 명문. 이 명문을 만드노니. 내가 스스로 매득한 답을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빚을 낸 게 매우 많아 갚을 길이 없어서 부득이 문전면(文田面) 가천(可川) 후마당(後馬當) 들에 있는 논 2두락(6부 9속)을 57냥으로 가격을 작정하여 그 수대로 받고, 위 사람에게 본문기(本文記) 한 장과 영영 방매(放賣)하거늘 나중에 만약 서로 다툼이 있으면 이 문서를 가지고 관청에 가서 시비를 바로잡을 것이라. 답주(畓主) 자필(自筆) 한량(閑良) 김재영(金在明)[착명]. 증인 한량 박봉철(朴奉哲).'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_230121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2년 이당(李鐺)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壬戌 八月 旬二日 再從姪 李鐺 李敎成 氏 宅 壬戌 八月 旬二日 李鐺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2년 8월 12일에 재종질(再從姪) 이당(李鐺)이 상우(喪耦) 이후로 전접(奠接)과 여비를 마련하기 어렵다는 등의 내용으로 가천리(可川里)에 사는 숙부에게 보내는 답소(答疏) 위로하는 편지를 보내 주심에 감사하고 가을에 재종조(再從祖)의 기력이 편안하고 상중에 몸을 잘 지탱함을 우러러 축원한다고 하였다. 자신은 운명이 기박(奇薄)하여 백 번을 꾀하여도 백 번을 패하고 숙부님의 일은 하루도 잊은 적이 없지만 이같이 지체한다. 상우(喪耦) 이후로 전접(奠接, 머물러 살 곳을 정함)할 만하지 않아 동서로 빌려서 우선 부득이하게 여기에 기식(寄食)하고 있으니 창천(蒼天)만이 내 마음을 알아준다. 말씀하신 약속은 여비를 마련하기 어려워 뜻이 있어도 이루기 어렵다. 금강(金剛)에 가서 승려가 되거나 수화(水火)에 달려가 떠나가고자 한다는 등의 내용이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