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不懼竹樓朽賦 風濤晏而倚帆雲萬里兮隨人窓燈耿而夢短驛路岐而春殘南樓登兮薄言我遑恤其來者亦多時於漂泊不關情於頽碎江山饒於謫興樓維竹而新構隣疎篁而解憂坐淸笏而寄傲嘯歌怳而送目寄一萍於天地工悲予以架漏仰軒敞而長欷指臧筠之異凡儗寒擔之重繚流光接於月波思及汝而悠悠欹華巾於點易玩恒幹於飜局塵纓霎其去住逆旅多於南北芸臺夕兮解佩廣陵秋兮投玦曾日月之幾何又蓬轉而逮玆明年期以別地到處非其卬居跡自矇於倘來謀亦拙於身外篠簷薆而薄雨樓似我而須臾碁書閑於暫陟草莽隔於將往蹇刳節而替陶非久計而肇創浮生迷其所蹠後者至而爲憂吾猶遲於十稔夫更葺而誰有招羈魂而莫返尙舊室之蒼茫波同逝於水檻籟未莊於風欞丹心懸於北闕願䘖命而翶翔孰弊弊焉爾事一蘧廬而巋然晚台倚于百尺遡王公之蹇邅宜奔走而在廷何進退其無時非王粲而去國異永叔而登樓文藻煌於竹額亦不平之鳴也悽狂颷於撼途感淫霏於承宇繽應製而待漏豈此樓之所常懷余返而大庇笑久稽而同朽多江上之破屋問誰須兮南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從子月峯文 嗚呼壽夭窮通一係于天爲而人力不容於其間耶噫以汝之才行宜若享其多福而年未至於六旬官未躋于大夫是孰使之然哉汝之乘化之初聞之者咸曰善人亡矣莫不爲之嗟咄況於至親骨肉之心宜如何痛悼哉嗚呼吾一年長乎爾而兒時竹馬之戲不願暫離讀書之同床就寢之連衾者十餘載矣及其壯也吾與汝竝參蓮榜榮覲萱堂慈顔有喜親戚致賀而畢竟又從而相繼登科實衰門之幸也汝之釋褐而立於朝僅二紀而柏府鑾坡薇垣春坊出入翺翔者久而雅望著於搢紳間矣詩律之淸新字體之遒媚見稱於儕流者夫豈徒哉柰之何黃粱夢罷蘭無香而鶴無聲汝雖早衰豈斜其遽至於斯乎嗚呼憶在歲癸卯之夏吾喪妻于京口時方大暑霖雨連旬汝不遠千里獨乘羸馬訪余於松溪之寓居而握手慟哭情亦至矣亡妻李氏之葬期定于初秋而汝能終始共看躬自題主焉此豈人之所可企而及之哉者至於卒未之秋吾罪與厄俱重在縲絏者三歲汝對人言常流涕嗚咽見之者以爲雖親父子何以過此靡不稱歎由是觀之汝之愛吾也出於至誠非獨吾知之國人亦知之矣上年春之孟吾蒙恩釋而還家于時風塵搶攘遠近騷動而吾便爾登途弔汝墓于他鄕之遠山嗚呼假令汝生存而卜築於彼地則相逢引觴必歡喜不自持而其柰旅墳三尺默默無言而但松風蕭瑟窮山悄寂正古人所謂宿草寒煙與世長隔無知無覺長臥大化之中自未死者觀之則斯爲善矣之說實獲我心想像音容幽明異路悲號躑躅果何益乎只有低空斷雲使我心傷而已嗟乎汝平日休休焉與物無競而傷人之言未嘗出於口如許樂易之君子何處更得來耶悲夫汝之兩男皆質美而好學能繼家聲汝之身後之事其無憾矣吁歲月如流汝之再朞倏焉已迫矣汝生時所自號月峯之下溪山草木村落籬垣宛然當時物色而溫溫昔風味今不可復見矣豈不痛哉執此一酌奠于靈筵汝之魂魄其必有知白頭病叔遠來哀叫之狀想應飮泣於冥冥矣噫噫月峯其尙有感於斯文也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6년 이기해(李箕海)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同治五年 丙寅 十二月初三日 畓主 李箕海 前明文 同治五年 丙寅 十二月初三日 李箕海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66년 12월 초3일에 이기해(李箕海)가 아무개에게 논 2두락을 10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866년 12월 초3일에 이기해(李箕海)가 아무개에게 스스로 매득하여 어려 해 경작하던 논 2두락을 10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다. 답주, 증인 및 작성자의 착명(着名)이 없는 것으로 보아 실제 거래가 이루어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치(同治) 5년 병인 12월 초3일 아무개 앞 명문. 이 명문을 작성하니. 스스로 매득한 논을 여러 해 갈아먹다가 이매하기 위해서 복내(福內) 하도(下道) 시천(詩川) 후동(後洞) 들에 있는 논 2두락을 100냥으로 가격을 작정해서 그 수대로 받고, 구문기(舊文記)는 읽어버려서 신문기(新文記) 한 장으로 위 사람에게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만일 서로 어긋나는 일이 있거든 이 문기를 가지고 증빙할 것이라. 답주(畓主) 이기해(李箕海). 증인 및 작성자 이기찬(李基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4년 남순명(南舜命)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九年 甲子 二月二十六日 畓主 筆 漢〖閑〗良 南舜命 金哲命 處明文 嘉慶九年 甲子 二月二十六日 南舜命 金哲命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04년 2월 26일에 남순명(南舜命)이 김철명(金哲命)에게 논 2두락을 35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1804년 2월 26일에 남순명(南舜命)이 김철명(金哲命)에게 여러 해 경작하던 논 2두락을 35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다. 이 문서에는 표기법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오자도 많이 발견된다. 답주(畓主)가 한량(閑良)을 스스로 한량(漢良)으로 잘못 쓸 정도로 한문 지식이 일천하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경(嘉慶) 9년 갑자 2월 26일 김철명(金哲命)에게 주는 명문. 이 명문을 만드는 것이니. 스스로 매득한 논을 여러 해 갈마 먹다가 이매(移買)하기 위해서 보성(寶城) 문전면(文田面) 가천촌(可川村) 앞 상복동(上福洞) 맹(盟) 자(字) 논 2두락(7부)을 35냥으로 가격을 작정하여 그 수대로 받고, 본문기(本文記) 3장을 갖추어 위 사람 앞으로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만약 자손 중에서 잡담이 있거든 장차 이 문기를 가지고 관청에 고하여 바로잡을 것이라. 답주 및 작성자 한량 남순명(南舜命)[착명]. 증인 황일청(黃日淸)[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4년 이교선(李敎先)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大正三年 甲寅 二月二十二日 畓主 再從兄 敎先 再從弟 敎成 殿 大正三年 甲寅 二月二十二日 李敎先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14년 2월 22일에 답주 이교선(李敎先)이 이교성(李敎成)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914년 2월 22일에 답주 이교선(李敎先)이 이교성(李敎成)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이 문서는 1914년에 논주인 이교선이 논을 이교성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문자는 국한문 혼용이다. 자기가 농사지어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부득이하게 긴요한 일로 본군 문전면 가천리 수반평의 손자(孫字) 부수 7복(卜)6속(束)을 전문 610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는 재종형 이교선이며, 재종제 이교성에게 매매한 것이다. 이 문서에는 많은 곳에 추기하거나 수정한 내용이 있으며, 그 위에 날인을 하였다. 추기사항을 살펴보면, 도조(賭租)가 풍흉 관계없이 백미 21두이며, 이후 팔 수 있는 길이 있으면 본전을 돌려준다고 하였다. 또 자손이 타인에게 이매(移買)하고자 환퇴(還退)할 경우의 관련 내용도 명기해놓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주자어류 출전 글 등의 사본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주자어류 출전 글 등 잡다한 글 모음 주자(朱子)의 어류와 근사속록(近思續錄) 출전의 글, 우암(尤庵)이 지은 비문명, 출처를 모르는 글 등이 잡다하게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8년 이봉윤(李鳳潤)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同治七年 戊辰 十二月十五日 畓主 自筆 幼學 李鳳潤 同治七年 戊辰 十二月十五日 李鳳潤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68년 12월 15일에 이봉윤(李鳳潤)이 아무개에게 논 2두락을 10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868년 12월 15일에 이봉윤(李鳳潤)이 아무개에게 전래하여 갈아먹던 논 2두락을 10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치 7년 무진 12월 15일 아무개 앞 명문. 이 명문을 만드노니.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논을 여러 해 갈아먹다가 형세가 부득이해서 본군(本郡) 문전면(文田面) 가천촌(可川村) 마산등평(馬山等坪)에 있는 부(夫) 자(字) 논 2두락(8부 4속)을 100냥으로 가격을 작정하여 그 수대로 받고, 위 사람 앞으로 신·구문기(新·舊文記)를 갖추어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만일 서로 어긋나는 단서가 있거든 이 문기를 가지고 증빙할 것이라. 답주(畓主) 자필(自筆) 이봉상(李鳳潤)[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7년 선영모(宣永模)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光緖三年 丁丑 正月二十四日 畓主 幼學 宣永模 前明文 光緖三年 丁丑 正月二十四日 宣永模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77년 정월 24일에 선영모(宣永模)가 아무개에게 논 2두락을 43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877년 정월 24일에 선영모(宣永模)가 아무개에게 조상으로부터 전래한 두 군데 논 2두락을 43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광서 3년 정축 정월 24일 아무개 앞 명문. 이 명문을 작성하니. 이번 흉년을 당하여 생활할 길이 없어 부득이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논, 본군(本郡) 문전면(文田面) 교촌(校村) 앞들 수(隨) 자(字) 논 1두락 4배미(4負 4束)와 석양동 부(婦) 자(字) 1두락 4배미(1負)를 43냥으로 가격을 작정해서 그 수대로 받고, 위 사람 앞으로 신문기(新文記)를 한 장을 갖추어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만약 서로 다른 의견이 있거든 이 문기로 관청에 고하여 바로잡을 것이라. 답주(畓主) 유학 선영모(宣永模)[착명]. 작성자 유학 양재방(梁再方)[착명]. (구문기(舊文記)는 읽어버렸기에 줄 수 없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5년 두민(頭民) 황경호(黃璟浩) 명문(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同治拾肆年[光緖一年] 乙亥 四月初四日 德峰洞 頭民 黃璟浩 前明文 同治拾肆年[光緖一年] 乙亥 四月初四日 黃璟浩 ○ ○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동치 14년(1875) 4월 4일에 두민(頭民) 황경호(黃璟浩)가 관에 올린 명문(明文) 군정(軍丁) 2명이 지난 1851년에 도주한 뒤로 논 1두락 18야미(夜味) 부수(負數) 3부3속을 동중(洞中)에서 벼를 받아왔는데 올봄에 관청에서 결가 17냥을 납부하라고 하여 이 명문을 상고해 달라고 하였다. 황경호는 덕봉동 두민이며, 정(訂)으로 정원모와 박정수가 참여하였다. 이름 아래에는 수결이 있으며 관인 3개가 찍혀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7년 이생원댁노(李生員宅奴) 석돌이(石乭伊)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二十二年 丁丑 三月初六日 畓主 李生員宅奴 石乭伊 金悅成 前明文 嘉慶二十二年 丁丑 三月初六日 石乭伊 金悅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17년 3월 초6일에 이생원(李生員) 댁 노비 석돌이(石乭伊)가 김열성(金悅成)에게 논 6두락을 5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817년 3월 초6일에 이생원(李生員) 댁 노비 석돌이(石乭伊)가 주인을 대신하여 김열성(金悅成)에게 상전댁에 전래하던 논 6두락을 5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다. 문서의 뒷부분에는 상전(上典)이 노비에게 주는 위임장인 패자(牌子)가 수록되어 있으니, 석동(席洞) 들에 있는 훈(訓) 자(字) 논을 매수하기 원하는 분에게 가격을 정해서 드리라고 했다. 명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경(嘉慶) 22년 정축 3월 초6일 김열성(金悅成) 앞 명문. 이 명문을 작성하니. 이매(移買)을 위하여 상전댁에서 전래한 논, 석동(席洞) 들에 있는 훈(訓) 자(字) 논 6두락(28부)을 50냥으로 가격을 작정해서 그 수대로 받고, 본문기(本文記) 4장과 함께 위 사람 앞으로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만일 잡담이 있거든 이 문기를 가지고 관청에 고하여 바로잡을 것이라. 답주(畓主) 이생원댁(李生員宅) 노비 석돌이(石乭伊)[착명]. 작성자 한량 김윤종(金允宗)[착명]. 증인 한량 장삼천(張三千)[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이다. 여기에는 많은 산소들이 표시되어 있는데, 아마도 성주이씨의 선산인 것으로 보인다. 몇 기를 들어보면, 이원댁(梨園宅) 산소, 휘 규명(奎明)과 부인 파평윤씨 산소, 휘 인보(仁輔)와 부인 양주최씨 산소 등이 있다. 어떤 산소는 좌향(坐向)과 표석(表石) 유무를 표시하기도 하였다. 산과 도로 표시로는 북동쪽에 운흥산(雲興山), 북쪽에 도현(桃峴), 전석현로(磚石峴路) 등이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이다. 여기에는 많은 산소들이 표시되어 있는데, 아마도 성주이씨의 선산인 것으로 보인다. 몇 기를 들어보면, 이원댁(梨園宅) 산소, 규명(奎明)과 비위(妣位) 파평윤씨, 인보(仁輔)와 비위 양주최씨 등이 있다. 어떤 산소는 합조(合兆)와 표석(表石) 유무를 표시하기도 하였다. 산과 도로 표시로는 북동쪽에 운흥산(雲興山), 북쪽에 도현(桃峴), 전석현(磚石峴) 등이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성주이씨 기덕(箕德) 세계보첩(世系譜牒) 고문서-소차계장류-세계단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성주이씨 기덕(箕德)의 세계(世系)를 정리해 놓은 일종의 가첩(家牒) 기덕은 초휘가 기오(箕五), 자가 군찬(君燦), 호가 송암(松庵)이다. 생졸년과 묘소 위치, 배위 반남박씨에 대해서도 자세히 기록해놓았다. 5남1녀를 두었으며, 막내아들 선용(善容)이 교훈(敎薰)과 교흥(敎興) 두 아들을 두었다. 그 후 손자 대까지 기록된 것에다가 증손자들을 추기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無盡藏賦 立滄桑而浩笑天覆我而悠然漻氣長而遂電泯色空而凝雲顝淸明於其間逎無極之一府矯憑像於聽視認餘裕於仰頫堪輿闢其大帑化者剩於藏得流峙奠而攝縢影響湊而委斛輸今昔於壑舟達則饒而愚歉淸秋忽其假我載一半於身外晴嵐浮於降魄逝波動於噫塊停余盃而欲問飄客簫而長遡窮宙洞以萬變混物我於畦畛盈虛悲於孟貨得失患於吳珍紛毫利而篋私焂部形而隨塵洪爐盪其兩儀一槖鑰而恢恢貯滄桑於有涯付黔嬴於平施扄天造而等閑肯聚散于多少江山間而邂逅羌及汝而大有凝飄冷而積籟閱晦朔而滿彀留聲色兮娛人假宇宙而餘地需佳賓而不賈寓別區而無爭機固運於自然取何廉於閑者耳瀏瀏兮目渺兩不厭於閑趣茫茫隔於俗物淡淡寄於淸賞斯無盡於大化蹇不樂而何如和天倪而挹響橫水渚而溯光何造翁之謾莊俾我得而爲主千窺蕩以一團藐彭殤於彈指天無心於與奪復安敢而自私望夫人兮薄娛逗寒江而朝暮唱曰挾淸風兮佩明月浩浩兮不知極忽自無兮適有沛神遇兮情薄飄飄兮幾萬里皓皓兮長一色天長地久兮與無盡不知東坡之生死兮可以等百世而同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從子君誨【傅立】文 嗚呼去年今日乃喪汝之日也汝之屬纊之際吾從斗一輩環坐嗚咽之光景了了如昨日沈思永痛之情其忍盡言乎哉曩者圍棊論文之會此生不可獲矣夜臺冥茫愛莫起之悲夫悲夫憶萬曆紀元歲在丁酉之秋湖外風塵澒洞吾奉先妣避亂于嶺之南而尋汝於安東府安東府卽汝之外鄕而陪嫂氏所寓之地也汝其時年纔十一見吾輒歡顔而宿于吾之衾裡學史略而讀字聲琅琅吾悅而贊之翌年春聞寇退草草行色奉先妣返于湖南汝以垂髫之童乃能捨慈母之膝下芒鞋徒步跋涉畏途隨吾歸于桑梓是誠不易事也自此飮食行止未嘗須臾離也中間各爲婚宦所縻未能同其居惆悵相望之時亦頻矣至於庚午之秋八月吾以聖節使受王命而航海朝天過冬春於玉河館而竣事回還之路吾不幸而罪與厄俱重在縲絏之中家山杳綿親戚隔遠惕息圓扉所伴者影惟汝輕千里而獨先來訪於圜墻之內握手歔欷備陳苦詞噫汝之常時愛我之誠到此尤著而加於人一等矣厥后賴天日照臨得免爲囹圄之鬼而流竄于嶺海之外幸而前年春蒙恩釋而還故園興汝相見於六載不相見之餘則汝疾已難醫矣然相對而其爲悲喜宜如何哉汝雖困憊委頓床褥置酒催觴勸嘗慇懃吾隨量健倒談笑如常而惟其疾之憂出戶而不自覺其涕流也然豈料其遽至於不淑也哉嗚呼諒汝之生平則視余猶父也而余不得視猶子也之處多焉百年慙痛只有淚闌干而已嗚呼向年夏君涉云亡初朞未周汝又乘化藐此老翁更將何依觸目傷懷忽忽乎不知爲生之樂也吁蘭之枯而玉之摧誰不爲之悼惜耶文翰之美記誦之聰通快之辯恬澹之操生斯世也夫豈易覿鄭學士子容挽詩苦調難諧俗淸標不受塵之句其殆汝一行狀乎汝之蓋棺之日親朋之來哭者皆爲盡哀亦可以占汝之善與人交矣每逢汝相許之朋儕有如見元賓之感也嗟乎以汝之▦宜若享其祿而畢竟有不然天難諶焉爲之何哉然汝之四男皆好文而稱家兒吾伯氏善慶之報其在斯乎嗚呼俛仰人間一場春夢往古來今有才無命而終於一慟者奚獨於汝也薦此泂酌失聲大哭想汝之英爽必不散者存焉吁嗟乎君誨其亦尙監于茲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入爲壽賦 銅盤招以好意笑無釰於遂手傍西雲而願娭腃南星而佯喜君有酒而樂否且爲壽於五步要前處而擲刃假吉祝而售計天授季而角楚我何心兮壽汝猜靈命於逐鹿誡壯圖於養虎鴻壘幸而借便制短長惟今日風雲靜而酒爛佩玦寒而日愁增招余而附耳王不忍兮可奈謀必漏於伯也斟亦左於孺子將何術而坑注灑龍血於此座荊袖長而拂鍔辦奇權於樽俎憑大娘之弄緱闖漸離之投鉛嬌吾說而作好若將愉乎兩君搴金斝而鞠躬趍玉帳而怡顏朱幡飄而鼓喤跪以辭於隆準懽須央於撫珥禮則宜於侑觴缶歌隱以殺氣攬遐福而迷莊蹇酌汶而壽考庶及此而樂康藏揕呂之軻刃奉拜便之聶卮曾單父之相子果問壽而幾何南山隔於釰外澤姬唁於沛上俄撛撛而萬舞一掌股而操縱參嬰紛其顚倒司命爲之低仰非有人於翼蔽幾不壽於長者然天意之屬劉豈生殺之在汝當筵前之拜獻己寬大之嘿揣神龍遁而璧留大唐突於竪子終發軔於八載楚反蹶於鬪力開長樂而上壽惜使莊而未見況却醫之天子亦不願於萬年卬擊釰於漢書歎楚伯之無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佳琴無淸思賦 天籟動以自然聽者局於絃上凝千竅而迭感播五筦而殊唱冷冷潑於玉署聲有隱而維何幽情斷於宿契妙徽歉於雅操夷琴寓於二樂曩不厭其淸意玄機助於陸賞素質諧於陶拊矯三繙以一般匪汝美而我思塵緣猜於逸韻問古調於芸臺吳絲張其蜀桐寶軫催而璠音倚蓬瀛而寤懷飄短拍而傳心繽流水與白雪轉淸商而窈妙然求響於寂動不隨器而澆漓罇罍同於制度形骸別於閑忙惟腔韻之發外顧朴散其無中弦心耿以舊遊我愛琴兮常品憑三尺之朴略喜十分之沖澹風埃悠而惱人阻閑趣之峩洋雖佳徽之抱得奈淸意之消去揚毫零於應製點瑟倦於歸詠蛙聲閴而鼓吹睠綠野而營營緫緫起於几案淡淡隔於山水鮌弦澁而氣薾鳳柱促而心索揚波決兮灝雲目渺渺兮南極懷鏗發而莫聞攬瑶餙而奚取推繁會於曲中覺奔走於心外醒何早於醉翁興未闌於居士思流峙而太息聲斷續而盈耳蹇愀然而一彈銘以詔夫同調銘曰剝椅劉桐聲出於琴觸物移情思發於心琴外而心內聲貴其思歐陽子有得於斯夷陵何處翰苑今日展矣心得哀哉形役不平則鳴我銘斯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