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6년 물왕리 소재 전답 증명서 고문서-증빙류-증명서 大正五年 陰十一月 十一日 李冕容 和容 大正五年 陰十一月 十一日 李冕容 李和容 전라남도 보성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16년 음력 11월 11일에 시흥군 수암면 물왕리 소재의 전답이 형재공의 제전임을 증명하여 작성한 증서 1916년 음력 11월 11일에 시흥군 수암면 물왕리 소재의 전답이 형재공의 제전임을 증명하여 작성한 증서이다. 1916년 음력 11월 11일에 시흥군 수암면 물왕리 소재의 전답이 형재공의 제전임을 증명하여 작성한 증서이다. 형재공은 이직(李稷)이다. 증명의 대상지는 4곳인데, 시흥군 수암면 물왕리 전평 담자 697-2의 전지 286평2홉, 같은 곳의 담자 698의 전지 118평5홉5석, 담자 택지 697-1의 940평, 같은 곳의 인자 641과 64의 답지 1095평1홉3석 등이다. 이것을 합친 것을 부천군 소래면 무지리에 사는 족제 의용이 증명을 제출한 바, 이 선산은 형재공(亨齋公)의 제전답(祭田畓)인 까닭에 이 전답을 종중의 명의로 증명을 제출하는 것이 옳다는 것으로 문중의 의논이 일치하였다. 이에 이 뜻을 이의용에게 설명하니 사체가 당연하다고 하고 즉시 이 전답의 증명건을 가져와 이 증서를 작성한다고 하였다. 이 증서는 보성군 문덕면 가천리에 거주하는 문장(門長) 이면용이 작성하여 족제인 화용과 선용, 복용에게 보내는 것이다. 입회인은 문덕면 장동리에 거주하는 이교인과 이교섭이다. 증명 사실은 '이 전답은 6세조와 5세조 3위의 전답이다.'라는 것이다. 증명비 7원은 족제 이의용이 먼저 썼기 때문에 계산해 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이면용(李冕容) 납세장부(納稅帳簿) 고문서-증빙류-인증서 李免容 李免容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187 이면용(李冕容)의 소유토지에 대한 납세(納稅) 장부 납세 관련 문서이다. 인쇄용지인데, 납세관리인, 주소, 씨명, 토지소재, 자번호(字番號), 지목, 면적, 결수, 결가(結價), 세액, 적요 등의 항목이 있다. 187과 이어지는 문서이다. 주소는 가천리이며, 씨명은 이면용이다. 토지소재지는 장동리와 가천리이며, 각 항목에 해당 사항을 기재하였다. 토지소재 끝에는 면적과 결수를 합계하고 그에 따라 세액이 결정되었다.○ 관련 문서 이면용(李冕容) 납세장부(納稅帳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이교성(李敎成) 납세장부(納稅帳簿) 고문서-증빙류-인증서 李敎成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189 이교성(李敎成)의 소유 토지에 대한 납세(納稅) 장부 납세 관련 문서이다. 인쇄용지인데, 납세관리인, 주소, 씨명, 토지 소재, 자번호(字番號), 지목, 면적, 결수, 결가(結價), 세액, 적요 등의 항목이 있다. 190~193이 이어지는 문서이다. 주소는 가천리이며, 씨명은 이교성(李敎成)이다. 토지소재지는 가천리와 수월리, 덕봉리, 장동리, 율리이며, 각 항목에 해당 사항을 기재하였다. 토지 소재 끝에는 면적과 결수를 합계하고 그에 따라 세액이 결정되었다.○ 관련 문서 이교성(李敎成) 납세장부(納稅帳簿) 이교성(李敎成) 납세장부(納稅帳簿) 이교성(李敎成) 납세장부(納稅帳簿) 이교성(李敎成) 납세장부(納稅帳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盧氏姊墓文】 舍弟用厚今到此矣姊氏其知之耶其不知之也耶嗚呼姊氏友愛出於天性平日見弟則常歡喜不自持今日胡爲而無一言也嗚呼我家何罪于天而姊氏其又至此極耶去年冬十二月弟移家避寇在嶺南之永嘉府略聞姊氏罵賊不屈而死余哭而言曰先大夫伯仲兩兄赤心報國見危授命忠孝之節無愧於卞氏之門而今姊氏竹柏之操又若是其卓乎焉則信乎其有光於父兄矣雖痛其罔極特以此自慰及今年春風塵稍息始奉母氏還故鄕遇晉婢且哭且問則謂姊氏避難于山中時常曰吾父兄死于此賊豈料吾亦然乎若不幸則吾有死耳且誓不見凶賊之狀而死也云及爲賊所迫姊氏以袖掩面而伏于地賊拔白刃脅之姊氏猶伏而不起曰我決非從汝生者可速煞我遂爲賊所害云嗚呼烈哉余尙忍聞此言耶若姊氏者千載陳編尙令人目眥不乾況出於吾同氣之間耶其時非不欲往弔孤墳而還鄕未久邊警又急奉母氏北上行色甚忙悵望筽城而不能往以是今者南下實無所爲而顧念姊氏之墓草弟淚尙未能一灑焉故別慈顔於千里冒風雪而遠遊不知姊氏亦察余立勢而憐其情耶吾知姊氏之英魂烈魄定不泯滅而從先大夫於長景明暉之上矣則弟何必繳繳然哀號哉憶去年春弟自萱堂往拜姊氏而適以故翌日遽歸姊氏挽之不得心甚戚手自縫囊臨別贈弟曰今者雖得見弟與不見將無同也余曰來月紫荊花開弟必更來惟姊預備酒姊氏與盧兄共色喜曰當苦待之余仍黯然而出安知其別乃是永訣之日也嗚呼余早失父兄之歡一家兄弟存者無幾常念母氏百歲後事姊氏如母天不從人此願違嗚呼四海雖廣幽明異路此生相見惟有夢想則弟安得不繳繳然哀號抱無涯之慟也哉每覽姊氏之贈囊若對平生至今係在衣間而不忍捨也嗚呼宿草寒雲孤墳寂寞四顧彷徨窮山悄然而但幽泉憤沸谷風哀號泠泠颯颯若助余之悲傷此日此懷嗚呼曷置百感中來奠一觴而長慟舍弟用厚今到此矣姊氏其知之耶其不知之也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崖集序 不侫少也嘗讀我五代祖參判公文集中送姊兄洪君之京序知所謂洪君爲南崖先生而欽其爲親爲國竗庶遠役者久矣近得先生遺集而讀之益不自已曠世之慕未嘗不掩卷歔欷曰以若學問之博孝思之至經綸之富遭値晟世而遇知於賢君誠千古奇絶之事也奈之何遽爾龍飛鼎湖天又局賢者之年使上不能著糜賢之效下不得試壽民之丹歟可霣志士之淚於千古也先生侍親癠而千里間關返于鄕廬十載克盡刀圭之效使親宿祟漸可孝思具於甲辰日錄天顔咫尺竗歲獻賦恩批三上內賜書硯而寵異之學文著於御考試券登才行薦叙職寢郞進足食之策經綸可於農疏得矣先生其可曰行於家國隨遇而修其當然之則也盖先生襲家學之正又得師三山金文敬公慥慥不舍以充其天賦之美富有日新而油然著於日用之間發爲文辭燁燁其采飄飄其氣義嚴仁熟可爲法於後世豈候蟲月露組奇鉤巧衒人耳目者之比哉先生諸孫皆師我先子蘆沙先生曾孫石川公師我叔祖松翁丙申從師門擧義可謂能世其家矣文將付印而公諸世主鬯玄孫復憙問序於余葮莩後生淵源世好其敢辭諸以道不能行於當世爲先生惜者爲家學之不替反爲先生賀又以斯集之能行于世爲後生之幸敢穢卷端以露景仰之私云爾歲在甲辰重陽節後學幸州奇老章謹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長如少年賦 【正祖庚戌御前別試御考三上】 圓兒綻兮曉雲絳帕儼於大人循黃赤之舊環像紅綠之前川山窓臥而精檢躋日中于少年橋春煦之載永諭盛年之方壯自冬至而添線蓋生寅而穉陽分造化於極翁問胚胎於東皇黃綿出以襖子愍短期於冬令羲和家而抱送曜靈曄其方昇時十二而永曦天九萬而修程天鷄鳴而出餞舒而長兮陽烏謇仰觀而俯察挈長晷而疇比人間最兮竗年覽前程兮其遐自離襁於髫齕至壽眉於鮐耈般以數乎永年若麗日之中天同其日而語之以人諭其匪人躋丹輪而出海酡紅顔而遊寰春九十而永煦年二八而遐期籌花甲於絳縣較日馭於黃道淸明天而朅徠等分日於遨遊將欲評於日長可以譬乎年少齡扶桑而尙早路若木而猶遠靑雲衣兮霓裳子之丰兮如見咸池遠而影長照花圃於方中招星鳥兮勿迫婉有戀兮竗齡天子降乎三階日如人之將昇秋山禿以短景若老夫之搔向噫子西之此句人孰得以識竗爭肩黃而臂蒼但塵馬而影駟日與日兮靚坐深得妙於東坡拚璇題而祇敬綴短編而長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敎佃漁賦 离徽張以帝樂林有蹌而淵潑胎天物兮訏訏美可需於民食結之繩而于野招百靈兮偕作曰旣粒而未飽在庶羞而爲則系燧巢而立極帝則咨夫茹毛資木實而歲饉設火廚而饍素汨無魚而匪肉何以繼彼枵 腸風驪鬱其萬衆裁朕敎以多方遵林蔥而視利眷生育而考禎鱗於牣而獸伏氓不識於群居疇烹飪之適可任草菜而自在蹇俯仰而嘿察天與我以牧人欵群動之蠢然孰徒手以取言絲綸長以造化登佳海而經營纏空桑而作維揉大朴而爲朾蒐芒土而廣張走可獲而潛罹猔利於制裳魴鯉合於薦俎紛緫緫兮品族莫非道於遂生黎則淳而何知皇有作而乃從呿吁來而胥樂澤藪間而厼庖需日用而自給偏爲德於人首蒸瀡臍而利養享賓旅而屬飫盍取私而獻公將有事乎侶皮斯隨時而設敎宜奏鮮而家饒噫伏皇之制度申百王而遐詔開淳芒於厥初創蒐狩於來玆羗薦鮪而懸貂亦春秋而爲度梁不罟而牝遺藹聖心於邃古何當時之朴略燦以尙此文物卽待獵於禮羅詠免罝而吉祝頌曰天皇之天地皇之地有巢巢之神農農之網歟罟歟于獵于狩伊誰之力曰庖犧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亡妻靑海李氏文】 嗚呼自與爾爲夫婦琴瑟之間特百常情執子之手偕老共祝而毋負是盟爾胡爲而永逝端姿英氣戢于一木而使我不得見肝腸若裂爾負我耶我負爾耶音容婉孌盈乎耳而森乎目視之而不見聽之而不聞精意寥落夢想慇懃架上故衣尙留餘薰斷絃之痛君甚於我耶我甚於君耶使汝有一箇嬰孩則我之深悲亦可以少殺而柰何生二女俱未朞而失之畢竟爾又棄我而去之窮天下之悲極人世之慘有甚於斯者乎數年來爾頻言吾死之後君必有忘我時余作色謂爾烏得出此語亂離斯瘼時事孔棘余幸立身而事君則父兄餘烈余豈敢墜要與卿爲國同日死若古人是吾志也爾聞吾言而反責余曰前言戲之耳嗚呼其時只以爲衽席謔浪之攸撰孰知此言便成千古之恨也耶素帷中夜悲風泠泠丹旐當前葦簾低扃白玉鏟彩紫蘭埋香陰雨啾喞暗燈無光黃河可塞此怨難忘噫伶仃此身只爲汝一人而客寓千里汝棺已蓋我又何恃鄕山路遙慈顔又隔感念存沒此心若割憶向歲爾嘗與余分席而坐笑語相和忽眄吾而莞爾曰我乃天上人當先卿死子之事我終始默佑余泛聽而不疚之嗚呼爾豈知有此日而爲彼言耶鬼神無語血淚空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6년 이서용(李瑞容) 전당명문(典當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光緖十二年 丙戌 十二月初四日 畓主 幼學 李瑞容 前明文 光緖十二年 丙戌 十二月初四日 李瑞容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86년 12월 초4일에 이서용(李瑞容)이 아무개에게 돈 100냥을 빌리면서 자신이 소유한 논 13두락을 맡기고 작성해준 전당문서 1886년 12월 초4일에 이서용(李瑞容)이 아무개에게 돈 100냥을 빌리면서 조상으로부터 전래한 논 13두락을 맡기고 작성해준 문서이다. 이러한 문서는 통상 수표(手標)로 작성하는데 이 경우에는 명문(明文)의 형태로 만들었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광서(光緖) 12년 병술 12월 초4일 아무개 앞 명문. 이 명문을 작성하니. 조상으로부터 유래한 논을 여러 해 소작을 주다가 요긴하게 쓸 목적으로 돈 100냥을 4리의 이자로 정해서 빌리고, 논 13두락을 신구문기(新舊文記)와 아울러서 이와 같이 전당(典當)한다. 이듬해 11월 초10일을 기한으로 하되 만일 이 기한이 지나면 영영 차지할 뜻으로 이와 같이 문서를 작성한다. 답주(畓主) 유학 이서용(李瑞容)[착명]. 증인 및 작성자 유학 이용(李容)[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6년 위토 변경 사항 증서(証書) 고문서-증빙류-증서 大正五年 陰十一月十四日 莎草行員 門長 李冕容 李度淳 前 大正五年 陰十一月十四日 李冕容 李度淳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16년 음력 11월 14일에 위토 사용의 변경 사항에 대한 증서(証書) 위토의 용도 변경 사항에 대한 문서이고, 문자는 국한문 혼용이다. 그동안 물항동의 선산 위토가 답 5두락 외에 대지의 화곡을 아울러서 시제에 바쳤다. 금년에 와서 3대 묘소의 4위를 사초하였다. 천 리 밖에서 나중의 일을 생각하고 부득이 6대조의 합조(合兆) 산소와 5대조의 묘소, 5대조비의 묘소 시제를 답 5두락의 화곡으로 바치고, 대지의 화곡은 3년 동안 받은 것을 기준으로 한 후에, 대지의 화곡을 이자에 따라 모두 3위의 시제에 부치는 것으로 증서를 만든다고 하였다. 끝에는 관계자들의 성명이 적혀있다. 보성군 문덕면 가천리의 사초행원 문장(門長) 이면용(李冕容)과 행원 이교인(李敎仁), 시흥군 무지리의 이의용(李宜容)과 이선용(李善容) 등이 증인이며, 이도순(李度淳)에게 보내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물항리 소재 대지(垈地) 화수기(禾數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李相用 李相用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물항리 소재 대지(垈地)의 화수기(禾數記) 물항리 소재 대지의 임대 현황을 밝힌 문서이다. 임차인과 점유면적, 화조(禾租) 등을 적어놓았다. 임차인은 이상용 등 4명이며, 각각 1좌대(坐垈)를 임차하였다. 답 5두의 화조 관계기록도 첨부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3년 이교성(李敎成) 위장(慰狀) 고문서-서간통고류-부고 癸酉 十二月 二十八日 李敎成 梁 碩士 至孝 苫前 癸酉 十二月 二十八日 李敎成 梁 碩士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3년 12월 28일에 이교성(李敎成)이 양 아무개에게 보낸 위장(慰狀) 이교성이 양 아무개의 모친의 부고를 받고 애도하는 글을 보낸 위장이다. 선부인(先夫人)의 흉변에 애통해하며 집안이 얽매어 있고 자신은 병이 들어 달려가서 위문하지 못함을 살펴주기 바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97년 이중이(李仲伊)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二年 丁巳 二月二十八日 畓主 喪人 李仲伊 着署 幼學 黃一淸 前明文 嘉慶二年 丁巳 二月二十八日 李仲伊 黃一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797년 2월 28일에 이중이(李仲伊)가 황일청(黃一淸)에게 논 2두락을 36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797년 2월 28일에 이중이(李仲伊)가 황일청(黃一淸)에게 이매(移買)하기 위해서 논 2두락을 36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준 문서이다. 매도자는 상중이어서 정식으로 서명을 하지 않고 대신 이름 뒤에 '착명(着名)'이란 글자를 써 두었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경2년 정사 2월 28일 유학 황일청 앞 명문. 이 명문으로 방매하는 것이라. 내 이름으로 스스로 매득한 논을 여러 해 갈아먹다가 이매(移買)하기 위해서 부득이 보성(寶城) 문전면(文田面) 가천촌(可川村) 마산등원(馬山等員)에 있는 부(夫) 자(字) 4작(作) 논 2두락(10부 5속)을 36냥으로 교환하여 가격을 작정하여 일정 수대로 받고, 위 사람 앞으로 본문기(本文記)와 함께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자손 간에 만약 잡담을 도모함이 있거든 이 문기를 가지고 관청에 가서 증빙할 것이라. 답주(畓主) 상인(喪人) 이중이(李仲伊). 증인 남봉채(南鳳采)[착명]. 작성자 한량 김세표(金世杓)[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5년 이명회(李明會)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光緖元年 乙亥 十二月 日 畓主 自筆 幼學 李明會 前明文 光緖元年 乙亥 十二月 日 李明會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75년 정월 13일에 이명회(李明會)가 아무개에게 논 3두락을 10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875년 정월 13일에 이명회(李明會)가 아무개에게 스스로 매득한 논 3두락을 10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준 문서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광서(光緖) 원년 을해 12월 일 위 사람 앞 명문. 이 명문을 작성하니. 요긴하게 사용할 목적으로 스스로 매득한 논, 복내(福內) 상도(上道) 노마평(老馬坪)에 있는 복(伏) 자(字) 논 3두락 1배미(12부 3속)를 100냥으로 가격을 작정해서 그 수대로 받고, 구문기(舊文記)는 다른 토지가 기록되어 있기에 신문기(新文記) 한 장으로 위 사람에게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만약 서로 어긋나는 단서가 있거든 이 문기를 가지고 증빙할 것이라. 답주(畓主) 자필(自筆) 유학 이명회(李明會)[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55년 정탄(鄭灘)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乾隆二十年 乙亥 十二月十三日 自筆 畓主 外五寸叔 鄭灘 僧有森 處明問〖文〗 乾隆二十年 乙亥 十二月十三日 鄭灘 僧侶 有森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755년 12월 30일에 정탄(鄭灘)이 승려 유삼(有森)에게 논 2두 1승락을 27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755년 12월 30일에 정탄(鄭灘)이 승려 유삼(有森)에게 두 군데에 있는 논 2두 1승락을 27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륭(乾隆) 20년 을해 12월 13일 승려 유삼(有森)에게 주는 명문. 이 명문으로 방매(放賣)하는 것이라. 내 처변의 몫으로 받아서 여러 해 갈아먹다가 이매(移買)를 해야 하기에 형세가 부득이해서 문전면(文田面) 가천(可川) 독산(獨山) 들에 있는 논, 수(受) 자(字) 논 1두 5승락 4배미와 대곡(代谷)에 있는 창(昌) 자(字) 논 6승락 5배미(총 7부 7속)를 27냥으로 가격을 작정해서 그 수대로 받고, 위 사람에게 본문기와 함께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자손 중에 만약 잡담이 있거든 이 문기로 관청에 고하여 바로잡을 것이라. 답주(畓主) 외5촌숙 정탄(鄭灘)[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93년 이인재(李仁才)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乾隆五十八年 癸丑 正月卄六日 畓主 李仁才 李正心 前明文 乾隆五十八年 癸丑 正月卄六日 李仁才 李正心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793년 정월 26일에 이인재(李仁才)가 이정심(李正心)에게 논 2두락을 56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793년 정월 26일에 이인재(李仁才)가 이정심(李正心)에게 스스로 매득한 논을 이매(移買) 위해서 2두락을 56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고,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륭(乾隆) 58년 계축 정월 26일 이정심(李正心) 앞 명문. 이 명문을 만드노니. 내 스스로 매득한 논을 여러 해 갈아먹다가 이매(移買)하기 위해서 보성(寶城) 문전면(文田面) 가천촌(可川村) 앞들 부(夫) 자(字) 논 2두락(3부 8속)을 56냥으로 가격을 작정하여 그 수대로 받고, 위 사람 앞으로 본문기(本文記)와 함께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자손 중에서 만일 잡담이 있거든 이 문기를 가지고 관청에 가서 바로잡을 것이라. 답주(畓主) 이인재(李仁才)[착명]. 증인 최일가(崔日可)[착명]. 작성자 선여득(宣呂得)[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5년 김순(金順) 대리인 수기(手記) 고문서-증빙류-수기 乙未 四月初十四日 金順處 順代 手記 乙未 四月初十四日 金順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95년 4월 14일에 김순(金順) 대리인이 작성한 수기(手記) 이미 산 땅을 환퇴하고자 한 사실을 적기하고 추후 근거로 삼을 수 있도록 작성해 놓은 문기이다. 작성자는 김순 처에서 김순을 대신한 사람이다. 상전댁이 종가로서 유래해온 답 석동평에 있는 5두락지를 지난 정축년(1877)에 50냥을 받고 영영 방매하였다. 후에 환퇴(還退)할 뜻으로 관청의 결송(決訟)을 물었고 또 환퇴하고자 하였다. 피차가 좋은 뜻으로 다시 가격을 40냥을 받기로 했기 때문에, 끝내 환퇴하지 못했다. 이후에 제족 중 환퇴한다는 말이 있을 것 같으면 이 수기로 관에 고할 일이라 하였다. 날짜 아래에는 수결한 종이쪽지를 붙였다. 환퇴는 한 번 샀던 땅이나 집 따위를 도로 물리는 것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율곡(栗谷)과 우암(尤庵), 공자 등의 어록 사본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율곡(栗谷)과 우암(尤庵), 공자 등의 어록에서 추출한 글을 베껴놓은 사본 율곡(栗谷)과 우암(尤庵), 공자 등의 어록에서 추출한 글을 베껴놓은 문서이다. 율곡은 ?성학집요(聖學輯要)? 「修己」편의 회덕량장(恢德量章)에서 추출한 일부 글이다. 보통 사람의 병통 세 가지에 대해 언급한 내용이다. 그 외에 인정(人情)이나 처변(處變), 군자의 삼외(三畏) 등에 관한 것들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성주이씨 문중 사문계(私門稧)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성주이씨 문중 사문계(私門稧) 계는 계원의 상호부조·친목·통합·공동이익 등을 목적으로 일정한 규약을 만들고, 그에 따라 운영되는 모임이다. 계의 종류는 매우 많은데, 이 계는 구체적으로 그 성격을 알 수 있는 근거가 없다. 이 문서에는 석성댁(石城宅), 진사댁(進士宅), 광주댁(光州宅) 등 많은 택호가 열거되고 그 아래에 2원30전, 1원60전, 80전 등 다양한 액수의 금액이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대사헌공(大司憲公) 묘소 등의 산도(山圖) 원도(原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대사헌공(大司憲公) 묘소 등의 산도(山圖) 원도(原圖) 산도는 묘소의 풍수지리를 표시한 그림이다. 묘소는 4기가 상하로 일직선상에 있는데, 가장 북쪽에 대사헌공(大司憲公)과 부인 성씨의 묘소, 그 아래에 사평공(司平公)과 숙인 죽산안씨의 묘소, 사과 이연(李摙)과 영인 여흥민씨 묘소가 있다. 그 좌우로 또 다른 묘소가 표시되어 있다. 남쪽으로는 도봉산과 삼각산이 있고, 북서쪽으로는 천보산과 부도암이 있다. 이것으로 보아 성주이씨의 조상 중 양주 소재의 분묘에 대한 산도인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