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下書 伏審秋暮頤養氣力 一向康健 伏慰協祝 族侄慈候依寜 伏幸 下敎墓祀事 是何等重大 而等視泛聽也十四日承書命 十六日專告此意於斗谷 則反責以變亂由來舊規 欲生事於無事云 且以新改山直 爲責曰 前直之遞出 以不能承祀時之凡節爲言矣 今旣擇新而猶不能擔任耶 以此意已爲書 奇於谷城門中云 故不能對而歸 當卽進拜達而身爲匏繫 未得遂誠 今玆替告 伏惟下鑑 上謝書瓦子已與琮來受諾 而今見存者 無土窟瓦 故將待更燃之窟 則今歲內 期於入送 伏計而卜軍 則校村德西兄弟擔去耳庚申 九月 二十四日 族侄 敎川 二拜 上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土地所有權保存ニ付證明申請書一 不動産ノ表示一 所在地 始興郡 秀岩面 物旺里 淡字 六九七-一 宅地 九百四拾坪 不動産ノ價格金 六拾圓也一 所在地 上同 淡字 六九七-二 田地 貳百八拾六坪貳合 不動産ノ價格金 拾圓也一 所在地 上同 淡字 六九八 田地 壹百拾八坪五合五夕 不動産ノ價格金 六圓也一 所在地 上同 鱗字 六四 六四一 畓地 壹千九拾五坪壹合參夕 不動産ノ價格金 貳百圓也一 證明ノ目的 所有權保存一 所有者ノ住所氏名 富川郡 蘇萊面 茂芝洞 三統九戶 所有者 李宜容 (印)一 不動産ノ價格金 貳百七拾六圓也一 登錄稅金 八拾參錢也右土地ハ自己ノ所有ナルコトテ保存證明セラレ度別紙面テ添附レ此段及申請候也大正三年 七月 卅一日 富川郡 蘇萊面 茂芝洞 三統九戶 申請人 李宜容 (印)始興郡廳 御中證明濟證明官吏 始興郡守 尹弼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憑後證書右證事은 始興郡(舊安山郡) 秀巖面 物旺里前坪 淡字 六九七-二田 貳百八十六坪二合 同字 六九八田 壹百拾八坪五合五夕 宅地同字 六九七-一 九百四十坪 鱗字 六四一 六四 畓壹千九十五坪一合三夕 合結 㐣 富川郡 蘇內面 茂芝里 族弟宜容이가 證明을 提出인바 此是先山設亨田畓 故로 右畓을 宗中名下로 證明提出리 可ᄒᆞ기로 門議가 齊?ᄒᆞ야 此意을 說渡茂芝里族弟宜容 則事體當然이라 ᄒᆞ고 卽時右田畓證明件을 持來ᄒᆞ기로 此證書을 作成홈大正五年 陰十一月 十一日 全南 寶城郡 文德面 可川里 門長 族兄 冕容 (印)全南○ 長洞里 立會人 敎仁 (印) 敎燮 (印)族弟 和容 善容 (印) 宜容 (印) 福容 前右田畓은 六世祖 五世祖 三位祭田也證明費 七圓을 族弟 宜容가 先用 故計給홈<피봉>全羅南道 寶城郡 文德面 龍岩里 五二○ 李洪淳 殿京畿道 富川郡 蘇萊面 ?? 李百淳 ? 安山勿頃洞移轉文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京鄕路左 拜謁已久 隔歲阻信 鬱陶之懷 曷有其極 伏未審春寒 尙峭靜養 氣體候迓新萬祉 大小宅內諸節 均吉否 並伏溸區區無任之至 族弟 姑依宿昔 而別無大警 是爲私幸耳 就物旺里諸宗 亦爲一安 而所在宗畓 昨年洪水 所敗不小 數次防備 而尙未完築 鄙處宗人 若非?(貧)寒 宜當販費防築 而百尺竿頭 勢無奈何 ??以仰達 以此下諒 費冗條參拾원付送 起境築岸 以爲完畓之地 千萬切企切企耳 餘在續後傳信 姑留不備上丙寅 二月 初八日 族弟 宜容(印) 拜上<피봉>全羅南道 寶城郡 文德面 可川里 李冕容氏 殿 大至急急京富川郡 蘇萊面 茂芝洞 李宜容 大正十五年 舊二月 初八日 出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二十二年 丁丑 三月初六日 金悅成 前明文右明文事 移買次 上典宅傳來畓 伏在文田席洞坪 訓字畓陸斗落負數二十八卜庫乙 價折錢文五十兩 依數捧上 本文記四章倂以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去等 持此文告官卞正事畓主 李生員宅奴 石乭伊 [着名]筆 閑良 金允宗 [着名]證 閑良 張三千 [着名]奴石乭處無他 宅畓 文田面席洞坪 訓字六斗落方爲移買 願賣〖買〗處 捧準價納上宜當者上典 李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농서군공 이장경(李長庚) 묘소 산도(山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농서군공 이장경(李長庚)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농서군공산소도(隴西郡公山所圖) 농서군공 이장경(李長庚)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농서군공산소도(隴西郡公山所圖)이다. 농서군공은 성주이씨 이장경을 가리킨다. 농서공과 부인의 묘가 합장하지 않고 쌍분으로 있으며, 그 아래에 파묘된 인민의 묘와 이중형과 그 부인의 묘가 있다. 또 그 아래에 재실이 있다. 좌향을 나타내는 지지(地支)가 보이고, 풍수지리상의 용어로는 파(破)와 득수(得水)가 표시되었다. 서쪽으로 가야산이 표시되고 동쪽으로 칠봉이 있다. 성주호장을 지낸 이장경은 늙어서 집에 있을 때 청도(淸道) 소리가 들리면 곧 상에서 내려와 땅에 부복하였다가 그 소리가 끊긴지 오래되어야 다시 상에 올랐다고 한다. 다섯 아들을 두었는데, 조년·억년·만년·천년·백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02년 참판공 묘소 위답 도조 장부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壬子 十月 十五日 壬子 十月 十五日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02년 10월에 비봉(飛鳳) 소재 참판공 묘소의 위답의 전답 결수와 도조 장부 1902년 10월에 비봉(飛鳳) 소재 참판공 묘소의 위답의 전답 결수와 도조 장부이다. 어떤 예산에서 사용된 비용의 내역을 적어놓은 것으로 보인다. 금액을 적고 그 아래에 사용처를 기재하였다. 합계와 남은 금액을 적었다. 또 임자조(壬子條)라고 하여 이종엽댁(李鍾燁宅)과 이교천댁(李敎川宅)에 남아있는 조전의 액수를 적어놓았다. 1902년 10월 15일에 참판공의 위답 현황을 적어놓았는데, 동변죽전(東邊竹田) 1두락 3복이며, '비봉묘소전답결수(飛鳳墓所田畓結數) 및 도조책(賭租冊)'이라 한 것으로 보아, 이 문기는 비봉 소재 참판공 묘소의 위답의 전답 결수와 도조 장부이다. 비봉리 묘소의 위답의 소재지와 자(字), 지목, 두락, 결수 등을 자세히 기재하였다. 이에 대해 신해조와 임자조의 도조 현황을 적어놓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6년 유인 윤씨(孺人尹氏) 숙인(淑人)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光緖十二年 十二月 日 孺人 尹氏 光緖十二年 十二月 日 高宗 孺人 尹氏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919 1886년 12월에 유인 윤씨를 숙인에 추증한다는 일종의 사령장 1886년 12월에 유인 윤씨를 숙인에 추증한다는 일종의 사령장이다. 윤씨는 이기두의 증조비(曾祖妣)이다. 이기두는 직역이 유학(幼學)이었다가 이때 아마도 납속(納粟) 등의 방법으로 관직을 취득한 것으로 보이는데, 처음의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에서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까지 올랐다. 이렇게 증손자가 관직을 취득할 경우에 증조부모는 추증의 대상이 된다. 유인은 벼슬하지 못한 사람의 아내가 사용하는 호칭이다. 이때 추봉된 작위가 숙인이다. 숙인은 외명부(外命婦) 중 문무관의 적처에게 내리는 정3품 당하의 위호이다. 숙인 앞의 증(贈) 자는 죽은 사람에게 관직을 내릴 때 붙이는 글자이다. 끝에는 날짜를 기재하였는데, 직인을 찍은 부분을 종이를 붙여 가렸다. 광서는 중국 청나라 광서제의 연호이며, 이는 갑오개혁 이전인 1894년까지 사용되었다. 직인은 연호년 위에다 찍었는데, 흐려서 글자를 식별하기 어렵다. 날짜 왼쪽에는 추봉의 근거를 기재하였는데, 증손자인 이기두의 관품이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이며 그의 증조비는 법전에 의거하여 추증한다는 것이다. 법전은 『경국대전』 이전(吏典)의 추증조의 세주에서 '부모는 자기의 품계에 준하고 조부모와 증조부모는 각기 1등씩 낮추어서 준다.'는 법규를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6년 염천종(廉天鐘) 초장매매명문(草場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咸豐五〖六〗年 丙辰 正月拾八日 草場主 廉天鐘 李生員 前明文 咸豐五〖六〗年 丙辰 正月拾八日 廉天鍾 李生員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56년 5월 18일에 염천종(廉天鐘)이 이생원에게 초장(草場)을 15냥 5전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856년 5월 18일에 염천종(廉天鐘)이 이생원에게 조상으로부터 전래받아서 잘 운영하던 초장(草場) 한 곳을 15냥 5전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다. 함풍(咸豐) 5년은 함풍 6년의 오기이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함풍(咸豐) 6년 병진 정월 18일 이생원 앞 명문. 이 명문을 만드노니. 조상으로부터 유래된 초장(草場)을 여러 해 베기를 금하다가 형세가 부득이해서 문전면(文田面) 가천촌(可川村) 뒤 네 번째 기슭을 15냥 5전으로 가격을 작정하여 일정 수대로 받고, 영영 방매(放賣)하니 신문기(新文記) 한 장으로 구문기(舊文記)를 대신하여 기록하며 이후로 만약 잡담이 있거든 이 문기를 가지고 증빙할 것이라. 초장주(草場主) 염천종(廉天鐘)[착명]. 작성자 박낙영(朴洛永)[상중으로 착명하지 않음]. 증인 오연복(吳連福)[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