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心不堅確 志不奮揚 力不勇猛而欲徙義改過 雖不悔萬悔 竟無補於分毫吕新吾語席啓圖曰 以悔爲堅確 奮揚勇猛之創始 則可以悔爲不堅確 不奮揚 不勇猛之 究竟則何用臼山老人書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拾五年 庚午 三月十一日 幼學 高時旭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畓 移買次 文田面可川前乭彌坪伏在 受字畓外變三斗落負數十一卜八束庫果 內邊三斗落卜數八卜九束庫價折錢文壹百貳拾五兩 依數捧上爲遣 右處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日後良中 雜談是去等以 此文記相考卞正事自筆 畓主 幼學 趙鎭基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一年 丙寅 十二月二十四日 金應喆 前明文右明文爲放賣事 矣上典宅買得畓 積歲耕食爲如可 切有用處故 牌子據 不得已 寶城文田面可川村上塔寺洞坪伏在 婦字畓今種參斗落只負數十三卜九束庫乙 價折錢文捌拾兩以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矣上典牌子據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生謀雜談爲去等 持此文記告官憑處爲乎乙事畓主 安生員奴 甫音金 [左寸]證筆執 老人 金世杓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三十二年 丁亥 十二月卄五日 金別提宅奴 玉奉 處明文右明文爲臥乎事段 矣上典宅祭位畓庫 在於寶城文田面席洞村前坪伏在 訓字畓六斗落只負數貳拾捌負庫乙 今方移買次 價折錢文玖拾伍兩 依數捧上爲遣 右人處 本文記段 他田畓倂付乙仍于 都文記背後爻周是遣 只以牌子分叱噵良放賣爲去乎日後如有雜談爲去等 將此文記相考告官卞定事畓主 李生員宅奴 命福 [着名]訂人 奴 得才 [着名]筆執 柳成鳳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拾玖年 甲戌 四月初四日 林爾章 處明文右文爲放賣事段 矣亦夫妻祭位畓 載錄是在 累年耕食爲如可 生道爲難仍于 勢不得已 文田面可川村前林內坪員伏 在夫字畓壹斗玖升落只內下邊壹斗貳升落只庫負數伍卜庫乙 價折錢文貳拾柒兩以 依數捧上爲遣 右人處 本文記段 他田畓幷付仍于 不給爲去乎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若有雜談爲去等 此文相考告官卞正事畓主 故李時白妻 張氏 [右掌]筆 同姓六寸 幼學 李時華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二十五年 庚辰 二月二十九日 大原寺佛饗〔糧食〕 前明文右明文爲許納事 矣妻父母鄭忠孝朴氏兩主 無後身死 則無主孤魂 一生無依無托仍于 爲其獨女子孫 豈其寒心哉 同情曲可憐故 矣自己買畓 累年耕食爲如可殘不已 文田面可川村前坪夫字丁畓一斗二升落只負數五卜庫乙 本文幷以 右佛饗〔糧食〕前 永永許納爲去乎 日後子孫中 如有生謀雜談 則將此文告官卞正事畓主 幼學 林爾章 [着名]證 同生弟 夏章 [着名]筆 幼學 金尙仁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五年 庚申 三月二十六日 幼學 李正赫 前明文右明文爲放賣事段 矣身父主生時自起買得畓庚辰年分 願入佛糧於大原寺是如可 同大原寺中 他人處私自放賣之說 不勝其噴 還推耕食爲如可 切有用處 不得已 寶城文田面可川村前堂山員伏在 夫字畓一斗二升落只負數五負庫乙價折錢文參拾兩以 依數捧上爲遣 右前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同生與子孫間 生謀雜談爲去等 持此文記告官憑考事畓主 閑良 林昺寬 [着名]訂人 閑良 崔昌郁 [着名]筆 閑良 金世杓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豐七年 丁巳 十一月二十五日 朴景遇 前明文右明文事 流來畓 累年耕食是多可 還賣次 寶城文田面可川村上塔寺洞坪 婦字畓三斗落只負數十三卜九束庫乙 價折錢文九十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本文記幷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相左 則持此文告官卞呈事畓主 金喆元 [着名]證人 吳元宗 [着名]證人 宣采元 [着名]筆 申延模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4년 하덕기(河德基)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同治三年 甲子 十一月十四日 …▣ 幼學 李德基 前明文 同治三年 甲子 十一月十四日 河德基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64년 11월 14일에 하덕기(河德基)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동치 3년에 논주인이 논을 하덕기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대각선으로 잘려나가 일부 내용을 알 수 없다. 토지의 매매 사유는 이매(移買)였다. 이매는 자기 땅을 팔아서 다른 땅을 사는 것을 말한다. 동계답(洞稧畓) 자치촌 앞의 사자답(仕字畓) 1두3승락지, 부수 6복(卜)과 촌 뒤의 승포(升浦)의 1두3승락지를 전문 70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과 필집(筆執) 등은 잘려나간 부분이라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24년 척일(陟逸)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道光四年 甲申 元月二十八日 畓主 陟逸 僧淡活 處明文 道光四年 甲申 元月二十八日 陟逸 僧侶 淡活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24년 정월 28일에 답주 척일(陟逸)이 승 답활(淡活)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도광 4년에 논주인이 논을 승 담활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스스로 매득을 일으켜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이매(移買)하고자 매매하게 되었다. 이매는 자기 땅을 팔아서 다른 땅을 사는 것을 말한다. 토지는 보성 문전면 자치촌 앞의 사자답(仕字畓) 1두5승락지, 부수 5복(卜)3속(束)을 전문 21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 척일은 상을 당해 착명하지 않았고 증인과 필집의 이름과 수결이 있다. 매득자는 승 담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2년 배상일(裵尙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柒年〖八〗 癸亥 ▣▣(月)二十七日 畓主 閑良 裵尙一 金尙基 前▣▣(明文) 嘉慶柒年〖八〗 癸亥 ▣▣(月)二十七日 裵尙一 金尙基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269 1802년 모월 27일에 전답주 배상일(裵尙一)이 김상기(金尙基)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02년 모월 27일에 토지주인 배상일이 토지를 김상기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오른쪽 중간에 손상된 부분이 있다. 자기가 매득을 일으켜서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부득이한 일로 보성 문전면 가천촌 앞 백두산평원의 목자답(睦字畓) 7승락지, 부수 1복(卜)5속(束)과 북변 금전(錦田)의 태종(太種) 1두락지, 부수 2복4속, 좌우 회산(灰山)을 아울러서 전문 7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는 한량 배상일, 필은 한량 김성택(金成宅)이며 착압하였다. 매수자는 김상기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성주이씨 각파중분배금수입기(各派中分排金收入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성주이씨 각파에 분배된 금액의 입금과 지출 내역인 각파중분배금수입기(各派中分排金收入記) 금액을 먼저 쓰고 그 아래에 입금한 종중을 기재하였다. 두 번에 걸쳐 소계를 내고 끝에 합계하였다. 첫 번째에는 창원 정암, 현풍 유곡, 영동 율리 등 10곳에서 받은 분배금 입금내역이며, 두 번째는 분배금의 비용 지출내역이다. 비용은 각비(刻費), 예폐(禮幣), 운석비(運石費) 등이다. 비용 지출내역으로 보아 조상 묘소의 표석을 새로 건립하는 일에 따른 금전 출납부인 것으로 여겨진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