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貳拾壹年 丙子 十二月卄二日 侄李世弼 處明文右文爲放賣事 祭位畓 累年耕食爲如可 生時如此凶年 生道爲難 勢不得 文田面乫本叱員伏在 受字畓一斗落只卜數三卜三束庫乙 價折錢文貳拾二兩 依數交易捧上爲遣右侄處 本文記二丈幷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良中 行〖幸〗有生雜談之獘是去等 將此文記告官卞正事畓主 叔母 金氏 [右掌]筆 幼學 李春芳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雍正伍年 丁未 三月初五日 林愛善 處明文右文爲放賣事 矣亦祖上衿得 累年耕食爲如可 連致凶歲 生道爲難仍于 勢不得已 積田面可川洞龍洑員伏在 受字畓時種貳斗五升落只內 下邊一斗五升落只參乺味負數拾十一卜參束內伍負柒束庫乙 價折錢文拾捌兩以 依數捧上爲遣右人處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如有雜談爲去乎 此文記相考告官卞正事畓主 權千奉 [着名]筆 異姓五寸姪 李世起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拾三年 戊辰 十月晦日 甥侄 幼學 表匡鎭 衿得許給 明文右明文許給事段 自己買得畓 妹夫生時許給而未爲成文矣 今者甥侄 移去移買故 文田面可川村前乭弥坪 受字畓內外變六斗落只十九卜四束庫乙本文記幷以 永永許給爲去乎 日後子孫族屬中 如有雜談 則以此憑考事畓主 自筆 張智良 [着名]證人 南莫東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拾參年 戊辰 十一月初七日 幼學 趙鎭基 前明文右明文事段 矣外家別給山田 累年耕食是如可 移買次 文田面可川前乭弥坪伏在 受字畓外變三斗落只卜數十一卜八束庫乙果 內變三斗落只卜數八卜九束庫乙 價折錢文壹百八十兩 依數捧上爲遣 右處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雜談是去等 將此文卞正事畓主 幼學 自筆 表匡鎭 [着名]證保 本畓主 外叔 張智良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집암(執庵) 황승순(黃承順) 가법 사본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집암(執庵) 황승순(黃承順)의 가법을 베낀 글 제목은 황집암교가서(黃執庵敎家書)이다. 집암은 이름이 승순(1652~1718)이며, 도암(道庵)의 문인이다. 가법은 한 집안의 행동이나 생활에 지침이 되는 교훈이다. 가계(家誡)·정훈(庭訓)·가규(家規)·가헌(家憲)·가의(家儀)·가학(家學)·가법(家法)·가범(家範)이라고도 한다. 가정의 윤리적 지침으로서, 가족들이 지켜야 할 도덕적인 덕목을 간명하게 표현한 것이다. 한 예를 들면, 악소(惡少)한 무리에게는 성내지 말고 꾸짖는다고 하였다. 모두 27조이며, 한 조마다 두 구가 대구를 이루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7년 오연복(吳連卜) 회장매매명문(灰場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咸豐七年 丁巳 閏五月二十四日 灰場主 閒良 吳連卜 李生員宅奴 卜辰 前明文 咸豐七年 丁巳 閏五月二十四日 吳連卜 卜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57년 윤5월 24일에 오연복(吳連卜)이 이생원댁에 회장(灰場)을 3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857년 윤5월 24일에 오연복(吳連卜)이 이생원댁 노비 복진(卜辰)에게 회장(灰場) 한 곳을 3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다. 이 노비는 이생원댁 주인을 대신하여 거래 행위를 하였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함풍(咸豐) 7년 정사 윤5월 24일 이생원댁 노비 복진 앞 명문. 이 명문을 만드노니. 내가 스스로 매득한 회장(灰場)을 여러 해 양성하다가 형세가 부득이해서 이거해야하기에 문전면(文田面) 가천촌(可川村) 문고동(文賈洞) 한 골짜기를 30냥으로 가격을 작정하여 일정 수대로 받고, 위 사람 앞으로 본문기(本文記)를 갖추어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만약 서로 어긋나는 단서가 있거든 이 문기를 가지고 관청에 가서 바로잡을 것이라. 회장주(灰場主) 한량 오연복(吳連卜)[착명]. 증인 및 작성자 한량 박득춘(朴得春)[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운후(雲侯)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畓主 京居 從 雲侯 雲侯 ○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운후(雲侯)가 사촌 아무개에게 논 3두락을 12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수표(手標) 전답을 매매하면 통상 매매명문을 작성해 주는데 이 경우는 특이하게 보다 간단한 형식의 수표로 작성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수표를 작성하니. 요긴하게 쓸 목적으로 내 스스로 매득한 답, 보성(寶城) 문전면(文田面) 가천촌(可川村) 위 탑사동(塔寺洞) 들에 있는 부(婦) 자(字) 논 3두락(3부 9속)을 120냥으로 가격을 작정해서 그 수대로 받고, 구문기(舊文記)를 아울러 영영 방매하며 신문기(新文記)는 수표(手標)로 만들어 주니 후일에 잘 살펴볼 것이라. 답주(畓主) 경(京) 거주 사촌 운후(雲侯)[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0년 박장수(朴長壽)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咸豐十年 庚申 十二月十六日 畓主 閑良 朴長壽 李生員 前明文 咸豐十年 庚申 十二月十六日 朴長壽 李生員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60년 12월 16일에 박장수(朴長壽)가 이생원에게 논 13부 9속을 11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매매문서 1860년 12월 16일에 박장수(朴長壽)가 이생원에게 여러 해 경작하다가 이매(移買)를 위해서 논 13부 9속을 110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함풍(咸豐) 10년 경신 12월 16일 이생원 앞 명문. 이 명문을 작성하니. 나에게 조상으로부터 전래한 논을 여러 해 갈아먹다가 이매(移買)를 위하여 보성(寶城) 문전면(文田面) 교촌(校村) 앞들 탑동(塔洞)에 있는 부(婦) 자(字) 논 13부(卜) 9속(束) 3배미(夜味)를 110냥으로 가격을 작정해서 그 수대로 받고, 구문기(舊文記)와 함께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만약 서로 어긋나는 단서가 있거든 이 문기를 가지고 관청에 고하여 바로잡을 것이라. 답주(畓主) 한량 박장수(朴長壽)[착명]. 증인 한량 선선룡(宣善龍)[착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己亥 八月二十二日右文記事 今秋買得女婢卜栗 依本價貳佰伍拾兩準故 捧上是遣 倂傳來新舊文記 以給爲去乎 日後若有異說 則以此文記憑考事上典 金仁同 [着名]證筆 張允煥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