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年 庚午 三月十三日 宣采寬 前明文右明文事段 自起買得畓 累年耕食是如可 當此大殺凶年 ■(生)道爲難故 勢不得已 伏在宝城文田面可川村外乫下坪伏在 受字畓七升落只負數二卜庫乙 價折錢文拾貳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本文記幷 永永放賣爲去乎日後子孫間 如有相爭之獘 則持此文記告官卞呈事畓主 張鳳春 [着名]訂筆 宣聖仁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문열공 이조년(李兆年) 부인 정씨 묘소 산도(山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문열공 이조년(李兆年)의 부인 정씨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문열공부인정씨산소도(文烈公夫人鄭氏山所圖) 문열공 이조년(李兆年)의 부인 정씨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문열공부인정씨산소도(文烈公夫人鄭氏山所圖)이고, 문열공은 성주이씨 이조년을 가리킨다. 좌향을 나타내는 지지(地支)가 보이고, 풍수지리상의 용어로는 파(破)와 득수(得水)가 표시되었다. 그 외에 산 이름과 고개명 등이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문열공 이조년(李兆年) 묘소 산도(山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문열공 이조년(李兆年) 묘소 산도(山圖)를 그린 문열공산소도(文烈公夫人鄭氏山所圖) 문열공 이조년(李兆年) 묘소의 산도(山圖)를 그린 문열공산소도(文烈公夫人鄭氏山所圖)이다. 문열공은 성주이씨 이조년을 가리킨다. 상하로 이수(李穗)의 묘와 이문건부처합장묘가 있다. 좌향을 나타내는 지지(地支)가 보이고, 풍수지리상의 용어로는 파(破)와 득수(得水)가 표시되었다. 그 외에 산이름과 마을명, 고성(古城) 표시 등이 보인다. 이조년(1269~1343)은 고려 때 충렬왕·충선왕·충숙왕·충혜왕 4대에 걸쳐 왕을 보필한 고려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자는 원로(元老), 호는 매운당(梅雲堂), 백화헌(百花軒)이며 충렬왕 20년에 향공진사로 급제한 후 안남서기, 예빈내급사 등을 거쳐 비서랑이 됐다. 충숙왕이 원나라에 억류돼 있을 때 원나라에 왕의 정직함을 호소하는 글을 올려 충숙왕을 환국하는 데 공을 세웠다. 충혜왕에게 방탕을 멈추기를 간청했지만 듣지 않자, 고향에서 은거하다 죽었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로 시작되는 시조 1수를 남겼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6년 이규명(李奎明) 통훈대부사복시정(通訓大夫司僕寺正)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光緖十二年 十二月 日 李奎明 光緖十二年 十二月 日 高宗 李奎明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919 1886년 12월에 학생 이규명을 통훈대부사복시정에 추증한다는 일종의 사령장 1886년 12월에 학생 이규명을 통훈대부사복시정에 추증한다는 일종의 사령장이다. 이규명은 이기두의 증조부이다. 이기두는 직역이 유학(幼學)이었다가 이때 아마도 납속(納粟) 등의 방법으로 관직을 취득한 것으로 보이는데, 처음의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에서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까지 올랐다. 이때 증조부의 직역은 학생이었다가 통훈대부사복시정에 증직되었다. 학생은 유학(幼學)이 죽어서 사용하는 호칭이다. 통훈대부는 문신의 품계로서 정3품의 하계(下階)이며, 사복시정은 사복시에 속한 정3품의 벼슬이다. 통훈대부 앞의 증(贈) 자는 죽은 사람에게 관직을 내릴 때 붙이는 글자이다. 끝에는 날짜를 기재하였는데, 직인을 찍은 부분을 종이를 붙여 가렸다. 광서는 중국 청나라 광서제의 연호이며, 이는 갑오개혁 이전인 1894년까지 사용되었다. 직인은 연호년 위에다 찍었는데, 흐려서 글자를 식별하기 어렵다. 날짜 왼쪽에는 증직의 근거를 기재하였는데, 증손자인 이기두의 관품이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이며 그의 증조고(曾祖考)는 법전에 의거하여 추증한다는 것이다. 법전은 『경국대전』 이전(吏典)의 추증조에서 '종친 및 문무관으로 실직 2품 이상은 3대를 추증한다.'는 법규를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5년 이형순(李馨淳) 차용금증서(借用金證書) 고문서-증빙류-차용증 大正四年 四月 四日 借主 李馨淳 李童淳 前 大正四年 四月 四日 李馨淳 李童淳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15년 4월 4일에 이형순(李馨淳)이 차용 계약에 따라 이용순(李龍淳)에게 발급한 차용금증서(借用金證書) 금액과 계약사실, 담보차입(擔保差入), 원가금(原價金), 차주(借主), 연대보증인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는 국한문을 혼용하였다. 금액은 21원53전이다. 계약조건이 4조인데, 이자와 기한, 지체조건, 연체의 경우 재판구역 지정 등에 관한 것이다. 담보차입은 곡성군 목사동면 신전리 소재의 토지이며, 이것의 원가금은 21원53전이다. 담보물의 제공에 따른 계약조건이 4조이다. 차주는 이형원이며, 주소를 적고 이름 아래에 날인하였다. 연대보증인은 이일섭(李一燮)이며, 주소를 적고 이름 아래에 날인하였다. 제일 끝에는 대여자 이용순의 이름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六年 庚寅 十二月卄七日 前明文右明文事段 勢不得已 伏在本郡文田面可川村夫字草家三間負數五束庫乙 價折錢文八兩 依數捧上是遣 右前 以新舊文並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他說則持此文憑考事家垈主 徐達玉 [着名]證筆 宣學文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貳拾八年 戊申 八月十二日 幼學 李基文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家垈累年擧戶是如可 移賣次伏在文田面可川村東邊夫字垈田太種八升落只草家三間柿木一株負數一卜五束庫乙 價折錢文十二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永永放賣是矣 舊文記他田畓並付故 不得出給以一丈新文 日後憑考事家垈主 幼學 任韺 [喪不着]訂人 幼學 梁相源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四年 乙丑 十一月二十五日 李生員奴 處明文右明文事 矣自己買得家垈 累年留居是如可 移居次 伏在治下文田面可川村 夫字基只負數一卜五束庫乙 價折錢文拾柒兩伍錢 依數捧用是遣 舊文記 並二右宅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相左之端 則以此文記告官卞呈事家垈主 幼學 宣采恪 [着名]證人 閒良 黃再仁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