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二十七年 十二月十六日 金在明前明文 右明文事段 自己買得 累年耕食寶城文田面可川村馬當坪唱〖唱字〗夜叱味負數六卜九束二斗落只卜庫叱 行許捧價錢六十五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本文一張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乎子孫中相{木+在}〖左〗之段〖端〗 不足去求持此文告官筆執 秋唱畓主 金本孫 談〖證〗人 金乭水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三年 癸未 十一月初三日 李生員宅奴 玉喆 處明文右明文事段 矣父自起買得畓 累年耕食是如可 父母俱沒後 喪債與兩次小祥所入許多 出處無路故 勢不已〖勢不得已〗 伏在寶城文田可川村前坪夫字畓一斗落負數四負六束庫乙 父母遺言導良 價折錢文三十兩 依數捧上爲遣 右宅前 本文記幷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弟兄間中如有相競之端 將此文記告官卞呈事畓主 梁甲山 [喪不着]弟甲龍證筆 幼學 崔時行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壬申 十一月二十一日 下記夫字畓一斗落只放賣內■■■異母父李正采資保擔當是如可 去庚午三月 家人盡死後 無子孫故 資保頉給時 出處無路 畓賣錢十兩用族 林順白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七年 壬申 十一月二十一日 梁有元 處明文右明文事段 自起買得 累年耕食是如可勢不得已 伏在宝城文田面可川村前坪 夫字畓一斗落只負數四卜六束庫乙 價折錢文參拾伍兩以 捧上爲遣 右人處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同生中如有雜談是去等 持此文記告官卞正事畓主 林順白 [着名]訂人 異姓五寸 崔於仁老味 [着名]筆 幼學 宣聖慶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伍▣…▣ 正月十七日 林鳳祥 前明文右明文事段 矣自己買得 累年耕食是如可移買次 勢不得已 文田面柯〖可〗川村前伏在 夫字畓壹斗落只負數陸卜庫乙 價錢參拾兩依數捧上爲遣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 則持此文告官卞定事畓主 林年善 [着名]證人 林龍伊 [着名]筆 長兄 命臣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二十七年 丁未 十二月二十七日 李生員奴 ■〔靑〕天 處明文右明文事段 矣由來畓 累年耕食是加〖如〗可 勢不得已 伏在文田面可川村前咸田坪 ■〔外〕字三斗落只負數十八負五束庫乙 以可役洞坪唱字二斗七升落只果 上價錢二十兩 捧用爲遣 右兩田文記幷以 永永相換爲去乎 日後若有彼此相左之端 則以次文告官卞呈事畓主 閒良 金順福 [着名]證筆 閒良 南大元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58년 이세필(李世弼)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乾隆二十三年 戊寅 十一月二十七日 畓主 李世弼 南碩鈦 前明文 乾隆二十三年 戊寅 十一月二十七日 李世弼 南碩鈦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758년 11월 27일에 이세필(李世弼)이 남석태(南碩鈦)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758년 11월 27일에 이세필(李世弼)이 남석태(南碩鈦)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이 문서는 건륭 23년에 논주인 이세필이 논을 남석태(南碩鈦)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삼촌이 보성 문전면 가천면상 기동원 소재 창자답(唱字畓) 1두락지, 3엽(頁)5속(束)을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긴급하게 쓸 일로 전문 14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과 필집(筆執)의 이름과 수결이 있다. 매득자는 남석태(南碩鈦)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66년 이시광(李時光)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乾隆三十一年 丙戌 元月二十七日 上典 畓主 幼學 李時光 河必源 前明文 乾隆三十一年 丙戌 元月二十七日 李時光 河必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766년 정월 27일에 이시광(李時光)이 하필원(河必源)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766년 정월 27일에 이시광(李時光)이 하필원(河必源)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고, 이 문서는 건륭 31년에 논주인 이시광이 논을 하필원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좀이 슬고 얼룩진 부분이 많다. 노 석송이 스스로 매득을 일으킨 답 보성 자치촌 앞의 사자답(仕字畓) 5승락지 5야미, 부수 5복(卜)3속(束)을 전문 25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과 필(筆)의 이름과 수결이 있다. 매득자는 하필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7년 김양주(金陽州)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貳拾貳年 丁丑 七月初十日 畓主 金陽州 金用三 前明文 嘉慶貳拾貳年 丁丑 七月初十日 金陽州 金用三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17년 7월 10일에 답주 김양주(金陽州)가 김용삼(金用三)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17년 7월 10일에 논주인 김양주가 논을 김용삼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자기가 매득을 일으켜서 갈아먹다가 부득이한 일로 보성 문전면 가천촌 앞 백두산평원의 논 7승락지, 부수 1복(卜)5속(束)과 북변의 밭 태종(太種) 1두락지, 부수 2복4속, 좌우 회산(灰山)의 밭을 아울러서 전문 4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는 김양주, 행필은 남운경(南雲慶)이며 착압하였다. 매수자는 김용삼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2년 이해원(李海元)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七〖八〗年 癸亥 正月十二日 田畓主 喪人 李海元 [不着] 裵尙一 處明文 嘉慶七〖八〗年 癸亥 正月十二日 李海元 裵尙一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269 1802년 정월 12일에 전답주 이해원(李海元)가 배상일(裵尙一)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02년 정월 12일에 토지주인 이해원이 토지를 배상일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생부가 살아있는 때 스스로 매득을 일으켜서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이매(移買)할 일로 보성 문전면 가천촌 앞 백두산평원의 토지 7승락지, 부수 1복(卜)5속(束)과 북변의 밭 태종(太種) 1두락지, 부수 2복4속, 좌우 회산(灰山)을 아울러서 전문 4냥5전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는 상인(喪人) 이해원, 증참(證參)은 한량 최창욱(崔昌郁), 필은 한량 김세표(金世杓)이며 착압하였다. 매수자는 배상일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89년 유광철(柳光輟)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乾隆伍十五〖四〗年 己酉 十一月十四日 畓主 自筆 柳光輟 李生員宅奴 福才 處明文 乾隆伍十五〖四〗年 己酉 十一月十四日 柳光輟 福才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789년 11월 14일에 유광철(柳光輟)이 이생원(李生員) 댁 노비 복재(福才)에게 논 6두락을 62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문서(土地買賣明文) 1789년 11월 14일에 유광철(柳光輟)이 이생원(李生員) 댁의 대리인 노비 복재(福才)에게 논 6두락을 62냥으로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문서이다. 앞부분 건륭 55년은 건륭 54년의 오기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륭(乾隆) 54년 기유 11월 14일 이생원댁 노비 복재(福才)에게 주는 명문. 이 명문을 작성하니. 내 계중(契中)에서 몫으로 취득해서 갈아먹다가 이매(移買)을 위하여 본군(本郡) 문전면(文田面) 석동(席洞) 들에 있는 훈(訓) 자(字) 논 6두락(28부)을 62냥으로 가격을 작정해서 그 수대로 받고, 위 사람에게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자손 중에 행여나 잡담이 있거든 이 문기를 가지고 관청에 고하여 바로잡을 것이라. 답주(畓主) 유광철(柳光輟)[상중으로 착명하지 않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2년 김만종(金萬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咸豐二年 壬子 十二月十六日 畓主 幼 金萬宗 金時彦 前明文 咸豐二年 壬子 十二月十六日 金萬宗 金時彦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852년 12월 16일에 답주 김만종(金萬宗)이 김시언(金時彦)에게 토지를 매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함풍 2년에 논주인 김만종이 논을 김시언에게 매매할 때 발급한 일종의 계약서이다. 토지는 보성 문전면 덕봉촌 앞에 있다. 그곳 소재 답(畓) 3두락지를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부득이하게 긴요한 일이 생겨 매득한 답 3두락지, 부수 8복(卜)2속(束)을 전문 67냥에 영영 방매한다고 하였다. 답주 김만종과 증필 임성학의 이름과 수결이 있다. 매득자는 김시언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고문서-기타-서화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略圖) 경기도 안산 초산면(草山面) 물항동(勿項洞) 소재 묘소의 약도이다. 여기에는 많은 산소들이 표시되어 있는데, 아마도 성주이씨의 선산인 것으로 보인다. 몇 기를 들어보면, 이원댁(梨園宅) 산소, 광(光)자건(建)자 산소, 인(仁)자보(輔)자 산소, 인(仁)자보(輔)자의 비위 산소 등이 있다. 산의 표시로는 북동쪽에 운흥산(雲興山)이 보이고 동명(洞名)으로 남쪽에 수동(水洞)이 보인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