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五 才高年少罕于京下視同流走肉形師志早成磨杵業出關須作棄儒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六 君詩如海又如京摹極人情與物形投木得瓊雖曰幸猶思閣筆避鋒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七 窮則山林達則京與君忘形又忘形反思却恐相疑杜末契終慙托後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別雙檜 賢明留相聖明君恝爾那能臥舊園萬里鞍鞭辭澤國一駄簪笏向修門樓臺歷歷渾依古唱詠冥冥閴不聞耿耿客懷隨處黯月明空館幾銷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二 明居天地孰無分此去悲懷未可言不是洞簫吹別曲非關驄馬惜離群同來人喪同來約獨往身銷獨往魂紫閣靑樓携手處幾番回首昔年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病懷寄大谷 吾衰天亦難容措此疾胡寧困此身上下馬時僉視愧酢酬盃處滿堂顰每交人物心如噎長閣衣裙手不仁謂我無儀爭下石箇中知卹問何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澹澹亭韻 仙區寧合坐班荊近斗高亭取次成野逕人稀山月白桑林春暖暮烟平三杯醉處人逾闊一鳥飛時沙更明暫此浮休心澹澹簷間留號不虛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士美察訪韻 馬官君亦非能事文簿吾今已力綿對得一樽春雪夜賸拚情事答天緣當時故國花如海此日荒城雪似綿萬事觀來隨眼變小盟粘壁更何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極浦孝叔韻 開罇何用擇良辰到手深杯莫問廵對笑人生皆故舊請君休念在京人爲雲爲雨定何人懷抱襄王欝未伸可是高唐成好會不煩灰酒喚來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景慕齋【咸平李氏】 景慕玆齋不較樓著存完是出誠頭展心階滴新蕉雨記節窓多老栢秋許翁遯跡今箕峽護主清流古穎洲漆室闡明忠武大兩賢業外更何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坐【入海東詩選】 天高秋月凈木落曉霜寒永夜無人問空江鳴急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廣業齋【玉果】 人欲世間無逸居興儒佳策肇興廬頰生爐金蘇學架揷牙籤古鄴書不忘前業薀以舊推尋往跡復其初醴泉漸發芝根大能辨陶陰辨魯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弘海齋【光州碧津里】 泉源流放盈料進水有難爲大觀通廣矣長懸千里月浩然能納八方風塵城利說喧豗外舟揖奇材大涉中借問遙遙泓海路馬山以北樂江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新齋【光州日谷里】 今非昨日日新登始見日能人未能工學惟宜加百倍聲名從在聳千層無虧於簣山回大有進盈科泉已澄況揭芭蕉詩句喻養來心德莫斯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野叟記 野則不奢不奢則野不野而奢易不奢而野難孰能思其難以圖其易非履義素德人皆不能而有一朴野君子不奢勤儉固守而野野而野便是人間一野夫有莘伊尹之志南陽諸葛之趣乃暗與副而殷漢之世已邈更無顧擧之路其安適歸囂囂然若終樂堯舜之道於畎畒之野號以野叟野叟乎野叟乎桃李公門外野叟乎靈雨旣零鑉彼南畒之樂其何稻熟魚肥奉養萱堂之樂其何明農古周公後亦有其人而野叟其誰蓮洞曺大兄基周公邠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蘭石記 余旣和韻仍知太守之詩號曰蘭石蘭石素非有主而生於深林在於他山磨之石玉可以爲美佩之如蘭善可以爲喩玉可磨也石不可不取善可喩也蘭不可不挹蘭石之二物實爲人所取而知不可無主也取石爲字者曰謝安取蘭爲吟者曰孟遲是皆取一非兼二也而磨玉喩善可得以兩全耶幷而爲號一太守之取也取異於人而特然超衆善可掩也美可藏乎凡於天地間物各有主則雖一毫莫取者惟吾太守也而曾不取爲號惟他山之石深林之蘭取者其主號可謂有稱嘉也哉以若愚獃未知太守取蘭石之眞義以此妄記安知太守之日後不紉蘭爲砥石之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新庵記 李君熙政顧余請以新庵之韻再請以新庵之記新庵之韻未新猶有愧於新庵而新庵之記未新亦無愧於新庵乎若以舊愧則不添新愧乃可以辭免矣寧添我愧而不可拒熙政之請故再供馮婦之笑未知新庵之新果從何得來姓其李李花之新必不言可像而非蕉葉展新之新則抑是溫古知新之新歟德日新之新歟必居一於此而以新爲無愧之號自家意思長長地新革其舊染之新譬如耳鳴新庵所獨知人所不知者而不可覼縷强說止不濡毫未踐新庵之實而熙政之請則有副耳於是乎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臨方庵【入海東詩選】 板屋蕭條覆晩藤秋岑回互碧層層山禽日暮巢禪榻花落空潭不見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中和客舘有牧丹凋落殆盡 日高紅影亂西東人世多看富貴容盛滿由來衰謝易何如翠松四時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江臺石佛 萬頃波邊石佛居觀心是處又觀魚人生久負江湖約自笑身閑石不如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