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剛山 造物鑪鎚用力煩爲山是處壯乾坤風烟絶俗千塵滅林壑粧奇萬像存樹色高低天向曉鍾聲南北寺初昏無邊勝致供人目未許回鏕出洞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集序【白圭奉】 古之李有聚書謂之李書樓今之白有聚詩謂之白詩樓可乎咳唾珠玉一一收合不使爲土泥之沒香人牙頰之句幾首愈人疾瘧之首幾篇序成詩未就眞所謂不目海上三山說其三花樓臺也冠山本是文章之淵海雄才高手繼承不殄瓊琚玉珮之聲驚人耳目者奚足盡數白蓮宗雷之唱不可專美於古而旗亭高王之吟必有相論於今矣將合爲詩集耒請弁文洪鍾之下豈以布鼓乃敢發聲以此爲先似有日後相尋之資故忘拙下手可愧其血指汚顔主人其誰崔雲擧之友白圭奉示托者誰林鎬應之友崔雲擧也然則圭奉吾友之友哉於是乎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聚賡錄序 收蓄古書者古之歐陽公聚賡今文者今之張源柱自齠齡才敏超衆志一于學而一字一句曾不放慢虛度習與性成觀與眼熟家産不能奪志上有久侍勸學之父也外物不能誘心下有早傳監農之子也身任於中儒家學門靡處不到而先與者幾詩文後賡者幾詩文不能遺一於與賡收藏笥簏今將成冊正書顧余論冊名余不可辭敢加聚賡二字顧論其可否則曰可名而又不可無序乃有荐請已汚名血指亦不可强辭於序故容喙以近取譬好學積書古謂之張昭遠書樓而此樓之不朽亦宜乎源柱之家也哉今姑謄集後必有入於剞劂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益禊序 益與損反不復則益非損者三是益者三三人之禊三人之益其名之錫也爲嘉矣書之謙受易之風雷其可讓於人衆三人行則損一人吾不取用於今日也問其姓則李也文也張也文其文益張其張益輔其益者李也直之益諒之益多聞之益推而益之則豈特三人之益而已千萬人之益亦可期乎此矣三益禊中之人長修益而勿反爲損焉李君基彦請言言無益而反萬損三益君子誠可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敬止箴 余知愼姓居昌巨門曰名容晟自得軒軒醴泉有源靈芝有根松沙先生門屛之下幾年夤緣性靈陶冶迹同心同與我情惹且其先墓鄙邊卵崗每歲省行顧此塵堂親命所在號以敬止曰訓曰戒緝且熙爾君其於獨愼之愼之先世淸風不墜者誰敎子以敬儼重父命豈可違忽照不以鏡誰曰枉己未有人正情誼親切欲醫無病釀一輔辭强加於晟晟乎晟乎堅守天性無忝厥祖貽名以令長把敬鑑遍爲照映敬止敬止不以他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八宜齋銘【竝韻】【益山郡八峰面石巖李寬鎬】 益山荊榮光少李睦山回八峰八峰面目八何其極八宜齋屋二添竹樓算宜之六一減蘭亭永和之九是宜之八弟恭兄友水能産珠山不呑臼彼爭田者胡爲利誘一無所宜還愧太守分門割戶宜亦烏有過望此齋不覺罪負壎箎室左藏書閣右八面四方孰不稱某千頭萬緒事無歸咎群從之宜千里應隨奚希今世亦無昔時名聞已好景居甲奇成洛來請韻而銘焉韻 八峰鍾毓八從宜宜莫此如八共隨俊秀李園群季夜文章曹斗數稱時四重間有眞同樂千萬像無不一奇敦睦肥家家之潤光山巨族益山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烈婦咸豊李氏碑文 烈婦咸豊李敏浩氏之女寧越嚴重燮之妻也二八成婚十九有一女二十二夫以短命死誓死而言曰如此身勢與其生貽家內之憂不若死慰地下之魂從縊而死于尸傍烈之所使也然矣是古雍氏之烈乎從夫之同穴世無影響而所餘者烈擧烈薦聞大聖學院褒揚之文許以旌閭谷城嚴啓永勸助出義錢文三十圓送來一心里一心里嚴門則每戶柴四負式賣供以爲資給首以伐石者其族祖文永赴而自鐫者亦谷城嚴琪永嚴門之烈已彰兼知嚴門保族宜家之睦烈之不泐果是睦也曺鐏煥顧余請文特書烈婦李氏之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晩翠亭【在鴨谷壬寅開基有松在側因築爲亭而名焉】 永慕庵東晩翠亭相逢菊老始知名歲寒益勵風霜質閒閱園紅與野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秋雨寄邀舍弟仲賢 階千絶艶無人玩鄰送烹鷄誰共羞夕露沾衣人所憚行吟秋雨亦風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用前韻謝四橘來訪 廐下老騮空冀北馬前雙篴倒柯亭名園日涉成幽趣問水探山適意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甲寅正月聞獅峯休官之計因寄贈 時危容有荷鋤陶世泰宜崇奉檄毛君罷父恩知已報翻然直欲臥林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城主送酒肴兼有詩 何天哀病疊勞形又値凶荒阻酒觥忽見白衣驕若富更觀奎什慌難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二 化民城主亦忘形共席頻傾月下觥造物忽猜成隔闊一牛鳴許坐傷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績弟大祥日有贈 閔子援琴日猶深切切哀先王曾有制三歲免於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野人 風塵蔽宇宙性命俱一絲但見在野骨不聞歸地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車前子 昔人羞牛後今爾爲車前區區備藥草終老虛落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安草溪【忠立】 與君一宵話盡傾千日壺後人必謂曰城南有酒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盆梅四詠韻 物外高標似爾稀開花多在野人扉夜深雪屋寒無睡時有淸香入草衣【雪屋暗香】世間孤潔孰爲雙吟罷還慚語帶哤今日乍憐芳意盡一詩忘却寫雲窓【雲窓墜英】老樹庭中臥壑蛟移盆刊落瘦枝梢紫皇不有慇勤意槎上朝暉是孰敎【暎槎朝日】風動寒英透弊帷曉來淸思十分奇盆香亦是天翁物月影那分大小枝【籠梢曉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玲瓏軒四詠 碧葉瑤枝短短甍一窓淸露滴丁丁看書不覺前村曉挑盡寒燈漏小明【橘屋夜燈】老翁生計學東陵秋實曾從遠寺僧微雨一鋤看漸過乍憐新蔓引花增【苽圃雨鋤】黃昏人去臥茅簷眠罷輕風自拂簾强把一杯邀月影斷峯烟外露微尖【金剛待月】瘦屐遲遲小逕苔岸花溪柳故徘徊從今休愛山陰棹留與閑人一笑迴【隱寂尋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夜與趙僚長伯益【希輔】步至玉次斗峯李學士養吾【志完】韻 海山叢石儘奇觀聞到三更語未闌衰懶秪今無去計擬將圖畫靜中看世間今日是良宵晴月分明照石橋談罷獨歸更漏盡滿空嵐氣襲人飄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