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公諱瑛字元瑞自號淸溪居士順興之安以高麗上護軍諱子美爲鼻祖歷二世有諱裕都僉議中贊謚文成公從享文廟寔公十二代祖也自是簪紳相承曾祖諱處順弘文博士當己卯士禍謝官還鄕號思齊堂有俎豆之享祖諱瑑文行趾美號竹巖嘗構亭以望先壠扁以永思金河西題詩以美之考諱善國司果妣延安李氏判書靑蓮後白之女公以嘉靖乙丑五月十六日生于南原府金陵里舊第天資英邁四歲而孤李夫人自京第奉櫬而返伯父梅潭公昌國率育而敎之李靑蓮甚加奇愛而期以遠大稱長志氣不群文藝益就至於書法亦透趯勒之妙奉慈闈盡其誠敬每於癠憂晝宵焦泣禱天嘗糞常以幼失怙爲至痛甫踰成童乃追喪廬墓以終三年二十委禽於梁鼓巖子澂之門擩染旣深歛飭愈篤日必晨興整衣冠謁家廟省慈闈退而危坐讀書壬辰倭寇猝至時適李夫人覲親在京公將發省候之行而兵戈充斥道路阻絶及聞賊鋒犯京大駕西狩避亂士女多在江都日夜號泣曰今君父蒙塵亟當擧義勤王因尋母氏所在遂馳書于柳學諭彭老同聲倡義紏合衆旅列邑士民之竄伏山谷間者亦皆感奮應募乃相與謀曰當此國勢泮渙人心潰散之日不早建大將無以鎭衆心五月二十九日會于潭陽推高霽峯敬命爲盟主公與柳公同爲從事梁公大樸亦率兵從之霽峯馳檄道內期以自全州整旅北上而到恩津聞賊兵將踰錦山犯完山公曰若失完山則勢無可爲宜先救之矣霽峯然之七月初三日移軍珍山公於初七日上梅潭公書曰來九日引軍直擣錦山攻擊定計其軍器則先用震天雷次用大銃筒大破賊陣後使善射者衝突以捕而賊勢甚熾不可輕戰義軍之北向無期矣防禦使郭嶸引兵來會與義軍爲左右翼進屯城外義軍先發督戰殊死力鬪賊兵死傷者多公謂霽峯曰賊情不可測不如退而休士卒以圖更擧也霽峯不肯曰爲國一死臣子之職耳翌日進軍挑戰霽峯據盤楸村前峯下寨郭嶸止社稷堂後山結陣官軍拒北門義軍環東門戰未合賊空壁而出喊殺連天勢若風火諸軍次第崩潰義兵終未免敗績公馳出語柳公曰吾輩平日所學何事不知大將在處獨自偸生何面目立於世乎遂與柳公奮劍竝馳衝圍而入霽峯在亂兵中墜馬馬逸公以其所乘馬授之而捍衛以從霽峯勸公出避曰我不幸戰敗惟有一死君可速出公曰當與同死何可捨去及賊鋒大逼遂死之卽初十日也時年二十八矣賊退梅潭公馳往因義兵僧收屍於積骸中其所佩劍玳瑁鞘而篆刻姓字腰間錦囊繡忠孝二字云是孺人梁氏所繡矣葬于府南黑城楓樹巖乙坐之原從先兆也事聞褒贈掌樂院僉正乙未特命㫌閭遣官致祭後配享于錦山從容祠光州褒忠祠醊享于南原㫌忠祠肅廟癸酉加贈承政院左承旨配濟州梁氏其考卽鼓巖墓在公兆下有一男壽俊孫珌生二子后益后岳出繼后益生二子王+休王+詹王+休繼子克昇生二子長瓛次幼嗚呼我東戎亂莫憯於壬辰而忠義之士亦莫盛於當時有若趙重峯高霽峯之錦山殉節尤何其烈烈而其從事之同死亦豈不卓偉哉公之以妙年一書生忠烈如此實有以垂耀百世矣今公後孫瓛來請余狀公行以闡揚而自以其零替孤危深懼公之遺蹟泯沒者亦足使人感慨也謹第錄如右崇禎後三乙丑仲夏恩津宋煥箕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露峯文會呼韻 一院翬飛棟宇新侁侁胄子幾多人着功須盡孜孜力終古成名在立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踰車峴次宋子緯韻 路中羸得數篇詩自寫幽懷自詠之峽裏秋光聊可賞故敎僮僕策驢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再從叔【薳】輓詞二首 六旬已過年非短三子皆賢慶必長寂寞靑山明月夜可憐誰復進壺觴慟矣吾家十載間蒼天降割再遭艱叔歸應與先人會爲報餘生涕未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白雲山訪朴上舍【徽鎭】 泮舍初年讀聖賢名山今日學神仙塵間萬念渾如夢瑤草春耕洞裏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谷城途中 秋光生峽樹曉雨濕江聲相逢黃石路共入水雲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別松湖亭主人 五日連床意不窮湖亭今見古人風詩尊酌盡江南酒相送桃花細兩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友人 儤直瓊樓上憑君一笑開論交無早晩知已卽陳雷得句頻頻咏傳杯續續迴何時粗報國同老碧山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沈台有鎭 碧山春日惱眠枕梅老書簷竹掩扉窮谷恨無師友益何時邂逅接英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李伯益【希輔】 殘年扶病赴朝班十日應無一日閒不分高軒先枉我那堪慚色滿衰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柳灌之【二首】 十五年前老翰林逢君堂後語深心銀臺便博觀風史嶺外雲山入嘯吟詩酒顚狂古錦城乃兄相見卽吾兄百年未半幽明隔怊悵靑山空復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啓沃 人間好事信難諧四月觀燈尙未偕抱病屛巖方讀史尺書還使老眸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沈修撰宜仲 斯文推子已爲宗翰墨場中獨折衡縮手傍觀今久廢可堪塵土剩堆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安長水【處經】輓 積德文成後爲儒自妙年題名蓮榜上作宰枌鄕邊有子能傳業求田亦買錢老子連肺腑揮淚寫哀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言四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相挽 事業超今代容儀蓋一邦身應憂國老人自望風降復起元無日長流只有江從來餘慶大還見典刑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二 白岳嵩岑莫與京蔥濃千古五雲生魚蝦辟易賜鱗化星斗蒼黃劍氣呈强笑遣懷今十載挑燈替月到三更夢酣遙憶思千驥獻賦先鞭叫帝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三 漢北華陽是帝京千年懷抱百年生天邊心瞻愁長閣腹裏琅玕困不呈止謗低眉宜喪性隆吟思土自分更無端日晏天雷震澤滿東西南北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思雲齋諸君 有是人形然後方有心之名此非人心之居於道心之先者乎且人心危易流於惡道心由此而往愈微而難明則先言人心不亦宜乎人心道心皆從發處可見其爲感物而動則同而形氣在外而欲誘故着一生字所以明其元無也性命在內而理自內直出故下一原字所以明其元有也理爲氣之主云甚善然萬物成形之時則未嘗不資於氣也故先言氣而後言理也然旣曰天以陰陽五行化生萬物此所謂天卽指太極之不雜陰陽所以動靜之者也陰陽非太極何有化生萬物之理乎語其歸宿盡是理爲主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縣監宋有拭憶曾去年秋吾兄擗踴時樂樂豈忍見行路亦傷悲欲道平生事難以一二辭孝友天所賦慷慨人共推爲文尙簡高探理析毫釐尋常事物間無往不中規觀天自有術一機猶可窺三綱與九法至義賴不隳況復仁廟疏百世人自祗作人宜止此當路必有爲如何命之衰與世常異宜三黜豈其罪險人良可嗤不容亦何病進退自怡怡移家赤壁岸於焉期棲遲忍胡天不憗一疾竟莫醫衰麻尙纏身至慟惟在玆慘惔丹丘月凄涼曲水湄痛哭復痛哭非但爲吾私所幸三難在家聲庶可追小弟無所學惟兄是爲師一自先妣歿情愛還更冞幽明從此隔不耐寫哀詞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