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公諱昌國字彦升【一作廷彦】姓出順興遠祖諱裕仕麗朝位至僉議中贊贍學育材大闡儒敎卒謚文成從享孔子廟自是以來繼踐科第歷十世不替曾大父諱璣晩登第卒成均館典籍大父諱處順以孝友篤行名於世己卯禍作棄官就閑者十五年仕終奉常寺判官考諱瑑隱德不仕自號竹巖處士以孝友聞所居南有崖岸斗起甚高升其顚可以望松楸遂亭其上額以永思河西所謂孝德傳前世亭名揭永思者是也娶彦陽金侍從仕卽成璧之女以嘉靖壬寅四月十日生公年七歲喪母居憂哀慽無異成人親奠朝夕不廢三年及長奉養親庭晨昏不怠出入必缶親或有病藥必先嘗臥不解帶每以不及致養於慈堂爲恨事王母親具甘旨節時其飮食竹巖公時或遠遊必曰汝在庭闈吾何憂乎及遭王母之喪公年纔弱冠凡治喪之節送終之具一委於公而皆中禮節人以爲不可及焉竹巖公性喜飮酒公養親以志必有酒肉凡可以悅親者雖勞且賤有所不避辛未丁憂三日不納勺飮三月歠粥玉溪盧先生貽書責其過禮卒哭後始進糲飯廬于墓側謹守禮節鄕黨稱其善居喪三年之內一不以私事到家時或來省於繼母必屛妻妾而後敢入服闋之後遠赴京城以求先君碣銘繼毋終堂千里承訃奔號道途柴毁骨立連喪六載終始不懈平生盡心祀事誠敬備至有庶弟二人哀其早孤撫之如子同室以居未嘗暫離歲庚寅朝廷以公賢者之後且有才行除金泉道察訪未幾罷歸私第自是絶意仕進養病江湖爲追先志重修永思亭以寓終身之慕其立身行已亦且暗合古人又信於朋友所與從遊皆一時名流自興兵亂慷慨發奮前後擧義多所資費而亦不載名其簿以要功賞親戚流離落南者不問親疏必極力周救或育家內使不至失所避亂諸族咸以是爲歸乙未七月十六日以疾卒于家享年五十有四是年九月十三日葬于南原府治之南黑城山丙坐壬向之原公臨終無一言及家事但取思齊贈別帖及己卯諸賢簡札手自點檢藏諸篋笥歎曰此乃吾家先世舊籍雖無傳授長成之子豈可散落塵埃中也嗚呼公之志行在於家庭者人所難及如彼而臨死之際又不難而從容平日所養槩可知已公前娶士人張价女無後再娶僉知金麟祥女生一男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誌銘 於戲公諱昌國字廷彦姓出順興籍貫南原遠祖諱裕仕高麗位至僉議中贊贍學育材大闡儒敎謚文成從亨孔子廟自後膴仕承承九世不替曾王父諱璣成均典籍左議政瑭從弟瑭被誣故官不敷王父諱處順己卯人以弘文正字卒官奉常判官考諱瑑貞晦不仕自號竹巖處土宅邊有高崖斗起直望塋山亭其上額永思盡一生松楸之慕娶士人彦陽金成璧之女生公嘉靖壬寅四月十日也公七歲喪母居憂哀慽有同成人親奠朝夕不廢三年及長奉養嚴親晨昏不輟出入必告竹巖有疾公藥必先嘗臥不解帶每以早失慈闈不及致養爲恨益勤其職事王母親具甘旨手贊杖屨曲盡誠禮竹巖遠遊則曰汝在吾無憂矣竹巖性嗜酒公必有酒肉悅其志人以爲不可及也及丁艱三日不飮水三月乃歠粥過卒哭食糲飯廬墓守制三年不以私事到家省繼母屛妻妾而後入平生祭祀克勤不怠越在庚寅朝廷錄蔭以公爲賢人後且有才行除金泉道察訪勤幹撫疲郵卒晏如遞歸之後息機養病重修舊亭追述先事優哉游哉樂以終身仁者不幸壽乏遐算天何爲乎歲乙未秋七月十六日公以疾卒享年五十有四是年九月十三日葬于南原府治南黑城山亥坐已向之原時倭寇充斥國破家亡孀妻弱子治山卜宅靡臻其詳癸丑夏四月九日宜人金氏沈疾郞世同年八月六日更擇白坪山先壠下某坐某向之原建其兆遷移公堂而同安焉葬用某年某月某日兩宮同岡雙魄同穴嗚呼休哉公先娶士人張价之女無後再娶通政大夫淸道金麟祥女生一男名㻽㻽娶承訓郞獒樹道察訪完山李克扶女生男一女二皆幼公以大賢之後內習庭訓外從師友凡所處心行已之取服於人者固難容口宜人之行明慧貞淑承乾奉先惠下慈孤惟和惟順式勤式密罔有墜缺爰刻玆石著公之行以告神明銘曰麗之名閥順興安氏有祖文成宗儒碩士垂休鍾德克昌爾後奕世承承麟定鳳羽博雅典籍方正判官明堂棟樑成國楨幹篤生明珠竹巖逸人敷芳春谷黦彩秋塵毓祥挺秀襲美傳聲繡骨天奇眞源自淸靡用沙石誕章厥澤爲政孝友所事姻睦一命典馹官不滿德五旬乘化壽不如仁生誦四隣沒哭六親嘉乃宜人亦粹其資百行無非三從有儀敬盡齊眉慈殫剪髮虔采沼蘋勤奉芬苾惟配之善由率以則生年鼓瑟死日合璧曷用昭跡永傳無滅刻石載詞懸隧㫌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紀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四 騷人來寫景幾度展雲孫卜得三淸地號堪二樂村山顔含久靜溪舌語長喧豈獨耽淸景尋眞妙入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通軒 松篁彌北郭沃野極南維疊巚圍成幛滄溟壓亦池四時殊態度萬像到軒墀天地呈慳秘應嫌菊老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遊可藏寺 遙望爲荒野今來卽草堂地高山亦下霜重菊猶芳小閣便舒卷淸泉可濯湘始知霄壤內無處不深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永思亭韻 卜地問何歲久藏丁巳春光扁人伏孝肯構世仁詒厥謨偏遠登臨思更新溪山今有主來往孰辭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寒梅 要識陰陽往復理晴窓點易六花辰休言臘後寒猶任天到梅邊別是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浩浩亭 月明柳碧桃紅節大醉來登思不堪心浩方能生目浩汗漫寥廓莫須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華山牧牛 爵祿無心牛自肥誰歌扣角歎卑微如今物我同天放閒臥金華山月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曆山中人 雪白炎紅卽冬夏花開葉脫占春秋山中此物應無用始識幽人不我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舊曆歎 人生老病將何用枉被人譏舊曆書莫喜年年看新曆一看新曆一年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六 志彌高臺量彌寬蝝丘何敢望雲巒才華凜逸堪於世筆力雄奇欲拔山捧玉幾經圭復三戰詩先得凱頭還母懷居又母安小鞭辟霜蹄入帝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七 措玉微懷斗覺寬快哉如上遏雲巒觀於海者難爲水陟彼岡時豈有山守拙聊言安土志投桃那計得瓊還重重奚翅百朋錫口詠心惟不自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八 愁懷非酒不能寬欲豁塵襟必陟巒我愧方今綠蟻酒君爲當代白香山誰憐書劍老無用何幸詩筒往復還莫道騎鯨人已去須令風月不曾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九 鬱鬱心懷我欲寬呼童携酒上層巒少時所得都成夢老去相知只有山獨恠侕冠多厥誤誰云天道好其還自知於世已無用看取山雲添我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軒竹 靑松壇下竹千竿葉葉秋聲帶雨寒中有鳳凰棲息處無人知得玉琅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外孫金百觀 卽問侍尊哀況支安山地定於何處葬事定以何日耶不得種種聞之戀念憂悶之懷不可具述此中公事近益煩惱心神擾亂不得自安可悶牛眠未易占得姑爲權厝爲好急急經營禮不可失也當此喪禍之餘持心尤加謹畏待人接物極其周詳懇惻是爲儒家本色也至於家事亦不可放忽務盡精略不至縱恣地術知難惟取面勢粗順爲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門靑松 銀河一派曳長紳雙峙巖扄畵樣眞塵外豈宜容俗子松間猶自着山入蒼髥來路龍蛇起翠蓋連空風雨頻獨貫四時唯此物淸操移誡滿朝臣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