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五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五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烏反哺【月課】 子烏將毋來落日庭前樹矧爾人不如微禽猶反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五言絶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題 世事雲翻覆人情水淺深防巴長閉戶狎楚幾摧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松江步屧芳草洲還于棲霞小酌 湖海三年別乾坤一樣春榮枯君莫問俱是夢中人【寅城府院君鄭文淸公澈字季涵與公有特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翁題歌詞後因次其韻 繽紛同醉夢翻覆似狂秦不負平生契如今見一人附原韻骨肉爲行路親朋或越秦交情保白首海內獨斯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溪南李翼緖) 駱山突几漢地東。萬戶煙塵一逸翁。志節淸高無以上。言論正直蘊于中。庭梧獨照先生月。門柳常傳處士風。筆下賢明多結契。願將靑史世知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賀南谷安公記念碑建立 名碑重建寶城東壽與靑山綠水堵鄕土治安銘肚裡國讎寃恨結胸中靈區爰卜千年地懿蹟長吹百世風行路咨歎堪頌德雙龍瑞日照人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毋自欺 戒謹持心最是佳善惡是非各分涯春沾雨露仍和氣夜震雷霆動懼懷處獨隱微須自察防私嚴密少無差知行從古皆由此稟氣雖殊稟性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雨餘黃龍橋上與金春谷沽酒一盃相送吟 龍江暮雨洗炎塵伴友登橋興更新沽酒一盃相送罷烟波十里倦歸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佔畢齋先生 榮壽嘗讀中庸書至大德必受命竊有疑焉夫孔子之德與大舜同而位與舜反陳氏略已註解然非但時有亭午夕陽之分而已抑亦薦與不薦而然否耕於歷山飯糗茹草無異野人及其升聞卒以登庸非四岳之擧而爲之天也阨於陳蔡微服過宋非匡人桓魋之爲而乃命也名位祿壽雖不同繼而述之以詔後世豈非賢於遠矣乎然必受命三字不可强解玆敢奉質焉以出處論之天降大任必先勞苦傅說之版築寗戚之鼓刀不遇其時則若將終身又有可出之世洗耳而隱遁者古人之一處一出各適其義豈後人之所能測哉竊惟堯之衢室舜之闢三四代之廈屋庭燎宋之祠官皆優賢而治平者也其所以急於求賢非欲綴緝言語譽道功德以爲一時觀聽之美而已將以廣其見聞明其思慮或有未盡則使有以正之也故其求之不得不博其待之不得不誠使四海皆將輕千里而致於吾前告之以善吾之化德庶無愧乎隱微而益光大耳彼賢者豈徒以文詞言語浮實飾華釣名之爲哉其明足以燭事理之微其守足以支頹波之柱然後處之自安囂囂然樂其道而忘人之勢間者竊聽於下風攸司擧賢之心非不切至或溺於所愛不知其惡或取於文章而不察其經綸投書獻啓剛明正直之士自重有恥之人拒門不納其可以俗尙外華至誤上聽子伏願先生審其取舍先器識後文藝顯揚隱微之士則家國幸甚僭竊及此不勝悚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從叔領議政 準擬請敎以再明望外貴星叩門垂賜下敎辭意珍重況貴賤懸殊尊卑有行降屈尊貴者乎台慈之撫存如是其至懾於威尊不敢披露心腹則是孤恩負德之大者實區區所不安也敢以妄說仰瀆如前書中所陳窃惟日月雖明難照伏盆之下陽春無私必後陰崖之上此天地之所不能無者也蓋天理難明人欲惟危是以聖人立敎使之去人欲而欲全天理也然夫人自有生梏於形氣之私則不能無人欲有以得乎天理之正則又不能無道心日用之間二者幷行迭爲勝負而一身之是非得失天下之治亂安危莫不繫焉使之擇之精而天理存人欲去則凡其所行無一事之不得其中天下國家無所處而不得其正是以堯舜禹相傳之心法也卽人心惟危道心惟微惟精惟一允執厥中而已孔子之傳之顔曾思孟者亦此也故曰克己復禮天下歸仁曰吾道一以貫之曰道不可須臾離可離非道也是故君子戒愼乎其所不覩恐懼乎其所不聞曰其爲氣也至大至剛以直養而無害則塞于天地之間此其相傳之妙而天下雖大所以治之者乎此也學者所當講明而遵法者也然自程朱以後世不復知有此學一時豪傑之士或以資質之美計慮之精一言一行偶合於道者蓋亦有之其所以爲田地根本者則固未免於利欲之私也故聖人稱管仲之功而以義斷之不少假借者其心亦利欲之私也台鑑不在朝廷則已今日立乎其位則一國之責四面而至與其顚沛於末流而不知所濟孰若汲汲於自今勉力於大人之事而使成己成物之功一擧而兩得之也此賤姪之所企望者伏願加察天理人欲之分無至指鐵爲金認賤爲子之地千萬幸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風詠契韻【設契筵于辛春岡宅】 暮年相對括眸明論叙江湖萬緖情詩可通心超苦海酒能借力破愁城曉霜霽月雙痕白秋水長天一色淸最是春岡春不老團圓和氣契筵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慕滄浪高先生韻 先生義氣專心頭竹柏淸風幾百秋疏斥權奸身被辱申救忠正史傳流一竿湖月嚴翁趣數曲滄浪屈子遊出處默言皆是道事行鐫石永年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梧桐村霽峰閣齊宿吟 先生篤出非常局血沸丹衷欲灑天緬憶當年殉國蹟錦山義魄鳳山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臘梅吟 耐歷霜氷氣尙淸臘寒先帶早陽生婆娑瘦影隨風轉淡泊香粧暎月明雪色稍消仍得意春心微動半含榮山窓寂寞無由伴愛爾沈吟曲自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