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賀孔春圃【聖學】壽席 惟仁必壽且康寧。白首平安六一齡。生長東方君子國。照臨南極老人星。彩雲繞在桑弧席。瑞日長明寶樹庭。麗水佳山安故土。傳家氈業萬年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賀朴又松【容萬】長筵 今朝圖寫七分眞。頭戴烏紗鶴髮新。瑤琴和調聲聲樂。玉樹連枝葉葉蓁。貯來萬卷能遺後。快散千金幾恤貧。孝友傳家貽計遠。何須歆慕富榮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宋秋塘【榮大】 鷄龍山東鶴洞。殿閣重建事奔忙。今番未及京邸。而又作華陽之行矣。西齋實記跋文。其間卒篇而。政院事迹。期於參考而來。與樑間古迹對照。如何如何。一望後。上京進拜計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三從姪孝燮 門額於國家。只有之。而私家則無。於例者也。吾前日尋常見之矣。今者丙舍記起草時。與東江言及門號事。旋入昌德景福兩宮奉審。及見世臣家丙舍。確知門號之不可也。大抵爲先非禮而行之。則反爲欠事也。參考五禮儀。則可知也。然則門號。縱受門議而得送。取其意而藏諸齋中。勿揭之楣上。可也。此意。詳達于父兄前。且湖南。古有私不祧者數三家。而多有京中是非。未免嗤笑。此等吾輩後生。不可不知爾。吾之所聞所見錄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三從姪孝燮 蓋天下之事。有本有末。能知此而行。成大事業也。故吾平生雖致力於此。而一無實效。遂成千古之恨。不忍瞑目而死。願君以我之善惡爲師。誠意以立本。好作君子儒焉。三月廿二日。三乎七十九歲翁。走筆。世宗聖廟。奉建會趣旨書及通文。一度伴簡而送。覽可知也耳。目甚煩。故外封。書別號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三從姪孝燮 道義二字。大爲期望於孝姪矣。今見來書。因其家累。看讀全廢云。聞甚可歎也已。然明哲保身。亦林下之一道。故以戒之。吾衰頹旣甚。不能與病爲敵。長委床第。垂盡在於時刻。終不見汝之成就之日。遂成千古之恨。平安字却之。八月晦日。三乎翁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韻(宗老 榮大) 妻兒弊屣視同然。夙抱經綸到日邊。萬事至今餘白髮。一生只信有靑天。他鄕菊酒過佳節。此日桑弧感舊年。休笑賓朋祈上壽。金丹消息豈無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商山金容魯) 六旬一歲是居然。子孝孫賢兩室邊。皇廟誠心炳如日。莊陵忠義出于天。黃花昨過重陽節。白髮今回初度年。壽酒盈樽多賀語。三乎晩福做新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安東金甯漢) 一片丹心獨炳然。霜華不覺到頭邊。願隨精衛同塡海。未遇媧皇可補天。異域攖鋒經浩㥘。儒門負笈在芳年。壽樽滿泛南陽菊。度世仙齡自有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完山崔秉心) 書劍遇難從古然。布衣空老漢城邊。眼前魯史論無地。頭上韓冠戴有天。金谷苦衷明白日。華陽大義抗當年。吾人晩節尤須謹。且把餘生續舊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天南書問絕草未生而相憶相憶與草俱生忽承書問十行益勤披展再三森如對案親接音塵慰懷如渴得解箇中高臥山縣時探南嶽幽勝讀書得趣益有所發如僕方將健羨之不暇將此虛殼以汨汨於緇塵終何有寸分渴耶旣遐辟又以離索自頹則誠非吾儕之所期各勉自盡而已京洛友朋皆無恙臘劑則僕不在得之之所未副爲恨餘冀冬寒清攝自重情抱難以筆札傳也姑以此拜復戊寅十二月十六日淨頓凍筆草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順之先生奉開 相隔之懷都勞往復云如之何這中高同贅家豚犬聞督簿校籍以出果否右兒不經禫事旣吉敢避乞姑限之禫前如何恐公不知故敢爾敢爾目前之急多般無地寒乞可笑如油紙席及笠帽一兩事眞梳四五枚幸付順來人何如欲送馬取京人來伴孤寂有故姑止之奉展難期悠悠奈何初秋晦日新齋荒草頓首銀脣幸分惠老母至禱至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故人慇懃念視綢繆何慰如之何慰如之淳昌守罷事毁舌盈車還可恨也光陽孫宰最可有用底人物而立心亦不苟且但時時作閑事倒有十分不好處然性質開明有聞必改須隨聞以救正之山斗行到順天南原放飮有之其間無收歛然不近淫褻此聊可借否愈思愈【忄+久】君得主割一縣爲樂無不至矣及得紫蠏銀唇狼藉前川波及吾老母否年深日迫無計反哺一日尤長千日八月初七日山斗禁直草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瀟灑亭韻奉寄仲明兄 田園已成趣榮落肯關心偃息琴書榻逍遙松竹陰迎風時獨嘯得句自長吟盡日無機事憑欄數暮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次舅氏池亭韻寄歸洪州人 橫塘涵活水層榭抗脩林見月開新釀迎風撫古琴安閒宜暮境漁釣可朝陰骨肉歡娛地悠悠千里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尹靈光【弘中】 經年不相見霜曉報云亡驚覺還隨夢居然已熟粱歸魂迷故國雪月照書堂賴有賢郞在家聲孰不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剛叔韻 溪橋步凉月遙夜憑危亭酒盡樽中玉天移醉後星篆烟淸繞几松影亂鋪庭歸袂香風襲吳秔襯野扃己將松作蓋何必幔爲亭北海雙樽酒南天一客星烟霜凄小野風露暗空庭仙境人難到方瞳守夜扃【時仁仲會叔邀而不至落句戲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剛叔邀話中路聞內集經還 邀書乍到衡茅下歸興先飛水石間快似俊鷹搏紫塞豪如怒馬出天閒蕭踈野逕孤吟過錯莫驢鞍敗意還遙想夜深人盡散爛銀盤掛屋東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雪中用杜韻贈棲霞 微霰驚先集獰飆未解紛舞殘沉遠樹篩急破重雲整整斜斜落疎疎密密聞曉來蒼檜頂詩料正輸君螣六風稜峻玄冥意緖紛剪栽分積水媒蘗醞層雲春絮風前亂吳蠶葉底聞斷橋詩興動梅信問東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雪中示剛叔 淅淅風生樹蕭蕭日隱山窓扉先慘慄雲物頓冥頑纈眼花成幻添愁鬂欲班靑燈照煎茗心事笑寒慳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