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鷄林田判官 吾詩安小成而不如惠夷緬愧古作者聊抒心所之君詩淡如水微風生淪漪公餘佳山木有句皆淸奇如何不一寄益愧吾蕪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江村謾題 泥醉村醪坐竹月。謾將淸趣對江淸。微軀難保歸何處。不妨此中隱姓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德齋 山勢周遭似甕城。山前墓舍借山名。當年肯構追先懿。此日重修罄寸誠。功可益封連百雉。祀宜殷奠用三牲。衆孫飮福同歡樂。十月春醅滿滿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迎暉樓 ▩▩▩▩▩▩▩▩▩▩▩▩▩▩去後見思吾豈敢回頭松嶺暮雲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眞贊 鄭夢周寬和其容整肅厥儀望嚴就溫大德可知主敬浹義精硏聖學眞儒淵泉冢宰器局時人擬望可扶明堂君王所期諸葛霍光特蒙付記忠貫日月遭時不祥仁澤未溢有德無壽難測者天稽諸顔子加享六年託隱于耕前王不忘一片江華千秋遺芳昔侍座下如入春臺今拜遺像只增感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蔚山鶴山絶景 鶴山城外水東流。萬景盡輸客杖頭。野曠天晴群鳥沒。漁人兩兩泛虛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宋春溪【毅燮】挽 涕淚未乾哭艮翁。春溪此日又歸空。著書不蠹將何用。一線微陽在我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松溪亭韻 松下溪庄綠映紅。亭高不與世間通。天藏別界煙霞外。地闢名區水石中。宦夢曾隨彭澤月。閒談遠聽竹林風。主翁眞樂誰能識。巢許千秋趣味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祝李侍郞【範錫】回巹 巹禮重回餙慶新。滿樽酒熟駐長春。鵠鸞舞彩全家樂。龜鶴呈祥晩福臻。賢宰相寬洪好德。貞夫人淑哲施仁。堂中麗日雙仙坐。祝賀紛紛動四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朴察訪【晩煥】 華陽事。痛憤痛憤。大老嗣孫哲鎬。華陽外山。私自斥賣。而晩時聞之。京鄕數十儒林。會于京城。別擇有司。送于靑川華陽。然事至此境。痛憤痛憤。春秋義絶。士氣滅亡。夫復何言。道內士林。亦無經費。則難以運動矣。列郡鄕有司。早速指揮。享需金。預爲收置。以爲準備可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宋定齋【晩浩】 鷄龍山神祠之設。新羅之朴阿飡堤上爲始。阿飡。受王命入倭國。以好辭言於倭主。奉還王子於本國。自言曰。寧爲鷄林之犬豚。不爲倭國之臣。抗言不服。彼主萬端嚴刑。終始不屈。竟殺之。羅王憐其死。召其女擇世子嬪。保護其家族。羅民設神祠於鷄龍山中。春秋享之。其後麗末。罔僕之臣。立祠享之。又其後。七賢臣。招端宗大王魂以祭焉。此事迹。吾輩不可不知。故仰告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田寓耕【相武】 皇廟之變也。鄭述源。宋冑憲之罪。已爲付罰聲討矣。然憲也。與兄及李直鉉。同受無數困楚於彼酋長谷川。夫至于今日。一線微陽維持者。特有此擧措也。噫嘻。抱我春秋之大義。挺立倉皇之地。不陷於千仞坑塹者幸矣。臆塞手顫。不能拖長。只蚯蚓書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亮燮 歸心如注。而事係大緊。今纔洛下。向麻谷寺。【萬愚所在】定山及結城。【仙源後孫。金承旨福漢所在。以肅慕殿事迹碑文事往。】東鶴寺。【正殿東西廡重修開役。以七月念晦間擇定。】所幹事如干斷手。期於月內尋巢爲料。然姑未預言。以此知之。而開卷讀書。儻或不撤耶。勿費居諸。從賢師友以助竿頭之步可也。朝夕之計。亦東取西貸。以糊口焉。每當珍羞盛饌。則思汝王母。鳴咽不得食也。臨紙悵悵。不盡言。方乘車之時。以數字寄示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朴武卿【來鎬】公吟 訪我多君帶夕陰道同氣合又情深永夜淸談塵世外從來素志在雲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竹軒韻 軒栽脩竹日相鄰不怕風霜共守眞固可持心仍樹德貞以養性自安身萬竿鬱氣鼎天立四節淸陰滿地新客子登臨堪問主居常無俗絶紅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拈韻口呼 人情渝薄驚還嘆世事多難笑又啼萬理推觀分一氣從來齒爾不相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石泉金兄壽韻 龍江之上鳳山陰六一壽翁興不禁家範能圖垂後策碣銘周盡慕先心三聯華棣春風轉雙秀芳蘭雨露深況復康寗琴瑟友賀君淸福謾賡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松江集發刊韻 編輯遺文遠播香先生手澤倍增光經綸大道具於此奉讀精深意味長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