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笑逐貧 楊子逐貧自有賦貧雖欲逐奈何貧玄經白首知堪笑任汝窮儒一費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旅中作 間關離抢爲誰說六出花飛襯眼霞使君側席招行客始覺今朝賓禮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贈滄浪主人【知縣金富倫字敦叙號雪月進士河大鵬字搏叔居道修洞時同醉而吟】 雪月金敦敍滄浪丁應龍道修搏叔醉落日在西峯 金富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言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鄭松江【澈】滄浪亭韻 滄浪自取任淸濁獨樂無非賴聖君花落花開人莫問山前風雨恐侵門附原韻濯纓濯足是誰子水濁水淸君是君料得至人難狀處一輪明月掩衡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朴思菴【淳】會葬日絶筆韻 百年肝膽淸溪水千古聲名太史書怊悵靑山埋玉罷脫林歸騎踏寒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山海關【在長城外太祖時元帥徐達所築也】 粉堞連雲萬里圍雄關峭疊帶斜暉車書此日同文軌笑殺秦皇壯帝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孤竹城遺墟 永平城外灤河上云是千年孤竹墟揖遜遺風何處見荒涼惟有古碑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祿山橋 漁陽橋下水西流煙樹蒼茫惱客愁孽虜垢天遺臭遠山河猶帶昔年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定州館贈朴學官薈 蔥竹當年若弟兄君詩我酒共忘形參商卄載分南北豈意同時謁帝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藍橋韻【名漢愈字晉叔】 別杯相屬月黃昏蕭瑟霜風不耐聞遊子未歸楓葉老故山秋色付吾君附原韻紫陌紅塵眼力昏仙溪流瀑夢中聞瀛洲楓葉頻相問解識秋風獨有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公山與晉叔聯成一絶 夜雨疏荷宿露團千林楓葉曉風寒英雄行色長年會日晩橫舟錦水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謁孝陵 喬山松檜老蒼蒼仙寢荒涼照夕陽況値新陵同兆日小臣叵耐淚添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湘亭 春晩江亭夜欲中月明松下有殘紅同心此會情無極洛下明朝憶老翁附次韻 竹溪東南美盡一亭中醉趁湘流詠落紅可笑天公眞戲劇更敎明月伴山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申德弘韻【東陽后人申溥】 駞駱山前花月夕與君叢竹共追隨今朝邂逅花山縣白首相看憶舊時附原韻二十載前居最近幾多花柳好相隨如今白髮重逢見情親倍却少年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玉峯韻 滿庭涼雨坐空齋遙憶蓴鱸湘水西日暮風吹黃葉落客窓秋思更凄凄附原韻相思脉脉掩空齋千里人今碧海西醉夢不來秋夜盡井梧無響月凄凄又次韻 石峯【韓濩】夜闌無夢坐如齋遙憶美人湘水西想得音容魂欲斷屋樑殘月露凄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秋日過松都 聖居松嶽與天磨旣據高山又帶河五百年來王氣盡荒涼唯見野黃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玉溪還鄕 君向家山二月天騎驢行色正蕭然東風無限分携意詠播荒詩代贈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鶴林侍座入納 漁隱山候書屢承惠問。而拘於郵稽謝。只使仲兒替侯。而旣有去晦。一枉之示。故懸企矣。過許多日。則惟悵然虛佇而已。料表令胤。闖然入門。典型非遠。其喜可知。仍審御者已還。侍體無損。區區慰祝。萬東廟享祀。將廢止云。痛迫奈何。尊先祖墓碣。旣有神道碑。則不必疊床。而勤戒難孤。月前已泚筆。然事偉文拙。未知合用否也。今番又有子孫錄。錄示者。則當卽改措。而病勢適重。神精無以照勘。當竢少減爲之。以付郵便矣。恕諒如何。令胤擧止雅飭。敏悟不凡。可與適道。爲德門獻賀也。病狀添劇。已數十餘日矣。百骸俱痛。不眠不食。帖席待盡。苦憐而已。多有面商御者。如到東鶴。逶迤一枉。則何等感幸。神昏艱此口呼。不備禮。戊午流月廿三日。金福漢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杖賢賦 盖聞聖王之王天下也渴賢其志籲俊以誠搜山剔野明目達聰朝夕論思日月贊襄邦以之爽國賴而昌于以弘風俗而聘太平若是乎賢者之有益於國也其賢也儲精天地鐘靈河岳蘊奇懷寶履仁蹈義經綸其器參贊其道操幹時之大材包毗世之良具可以黼黻乎皇猷可以棟樑乎宇宙其節也托孤寄命其德也囿世尊主天子恃焉以治天下諸侯恃焉以治其國賢者之挺世也顧不韙歟是以古之爲國者求如渴立無方揚旌設籉刻象圖形風雲千載魚水一堂君臣吁咈左右啓沃委之以權衡鼎軸任之以股肱耳目倚之如橫流砥柱仗之如巨厦一木百工以之而允釐萬邦以之而寧謐茂澤於是乎滂沛溥惠於是乎浹洽其所以囿至化而躋雍熙者何莫非杖賢之力乎粤昔堯天蕩蕩舜日熙熙其誰杖之曰惟稷契皐陶伯禹文命小康復績其誰杖之猗歟臣靡暨益七十而王者賴莘野之聘幣百里而王者由渭陽之後載說舟楫于巨川高有咸仰之德周袞衣之東歸成致刑措之化放聖爲不足而反求賢佐吾固知獨力獨智之難幹舍是賢而何以惟彼允假不歸少哉管仲之器譎而不正陋矣狐偃之績秦用夷而肆虐漢屈策而雜伯固五尺之羞稱曾焉足以塗舌是知爲國之要在乎得賢不患不治只患無賢杖賢者與失賢者亡杖與不杖或興或亡爲人上者奈何不蔑雖然君不能獨理須賢而理賢不能自用待君之用彼巖穴之高士固蘊櫝而自寶倘非在上之憚誠用禮羅而旁招甘老死於林泉詎屈志而自衒嗟後來之人辟盍於斯乎眷眷厥今黃河淸泰階平列鴻儒陟尾臣山夫釋耒釣老捲綸野無遺賢之化豈專美於古昔然有終之鮮克願罔間乎一德將陸子之格言爲王誦於他日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