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河西論學【河西往拜崔先生講學】 新齋先生以篤學著聞是時河西金公年未及弱冠而於四書五經諸子史䇿無不沈濳講貫領會其宏綱大義必謹守程朱成說不敢違異至於天文地理百家衆技之類亦皆旁通其說而無所滯礙然自視欿然務博求師友之益至是聞先生之名就而講學先生深加嘆服每稱秋水氷壺云十五年丙申河西金公二十七歲夏遊泮宮聞新齋先生之訃爲之加麻値其忌日必致齋戊戌夏四月爲文祭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蘿葍先生文【門人柳希春】 昔在弱冠負笈尋師先生念舊視余猶兒館置門傍藜藿共之傾囷倒廪盡日提携恐煩炊婢未久求歸書疏往復敎導愈勤將成一名往謝鴻恩如何五載遽隔幽明登第從仕未奠瓣香漂淪三紀還自北荒曾遣人祭曷罄寸誠今爲方伯尤馳下情謹備時羞薄歸墳塋不獲躬親伏地屛營監此忱悃庶降英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雜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叔春潭書 瓊凾出自胤從袖。書所未悉。憑於口。雙慰幷洽。非直釋此貽阻之懷而已。因審近寒愼餘。軆節漸復常度。何等願聞之至。族姪淟涊依昔。無一善狀可以仰道者。近又縻於埋年。日事奔忙。一盂撑腸之計。亦自碌碌。還爲一笑。所敎緇冠依上而秃。如姪者。自可着此。至於吾叔平日䯻大如拳雖少减於往時。當不遠復也。伊時見還。毋使帶襄衰相塵冠。久戴於春風頭上如何。餘日間進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叔春潭書 昔傳霖訪趙淸獻。一城瘧止。自侄之一問病。聞先生起居便利。誠哉。是語也。所敎漏船之喻。猶在水上。姪方墮在萬層波浪之中。安敢望登岸有日。座擾不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黃都事【瑩】書 自春徂夏。信息之阻絶。過實在我。而魂夢識路。一念耿注。何日不走鳳凰臺下。非意令咸遠顧兼承惠凾。因審兄軆珍重。何等願聞。至若喪威重疊。連遭功慽。以若德門何以有此。竊爲之難諶。弟狀不須言。惟華慈顔近康耳。近以過冬計。携二三友生。走入墳菴。晨夕饒聽松聲。滌盡塵胃。差强人意。世聞日乖。安得長保。此境次兒。雖靡勤敎。當使之進候。而方結伴讀書三餘之工。寸陰可惜。退待來正。倘能厚恕否。師集刊役猶未半功。弟待分帙。當有仰副之道矣。諒之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白隱族叔書 自聞美疴添肆。一造軒屛。再使兒候。皆緣省駕未回。未得詳掇動靜。方以是爲欝。伏拜翰命。因審日間昚節不進則退。是爲可賀。而至於遣辭。過語太多。泄沓底意。此最病家太忌。氣平則血和。是自然之理也。勿以蒭蕘而棄之。如何。小簷不遮陽。方飮暑喘喘。此時渴想何下於泉鳴。籬下悵然之時。而一壺春釀。解得胷中碨磊。若非叔主。知此情境。則何以辦。此當傾壺一飮。頹然一倒於北窓下羲皇世界矣。日間當一進探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白隱族叔書 人是仙。驢是鶴。吾謂遨遊四海。不復返。孰料遼陽城郭不改前觀。而雲駕已回。抑仙亦古今耶。仰呵。卽拜寵翰。仰審冷然善御。軆節淸旺何等顧聞何等仰祝族姪汨汨依舊狀已耳更無佳況可作間阻信息矣明間或不惠顧否當蹲俟勿孤如何窃有仰扣事故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白隱族叔書 昨者鎭日高會。儘是鄕井古事。缺界奇緣。經校滚滚。因承審軆節依寧。金兄旅安。聞所願聞。何慰如之。金兄云欲枉屈。或能聯䥝否。梧泉昨向黃龍。少選當來。來物當依。數津致矣。姪狀在目。不必更仰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敬文【漢睦】書 伏聞堂候康復還整几案寧獨公家之慶。鄕里兄弟。孰不相道。而相賀者。弟鄕井老後生也。其所欣幸之情。必非餘人比。而至今無床下拜以致其私渠亦老矣。每爲風雪所驅。及山門而返。先承惠存。愧先於感。不知所喩。因審堂候凜凜。烏得不然。春陽井井。萬顆神劑。方入門來。恃而仰祝百壽而已。齋記不棄半冷屍爲垂大惠。敷演朽株被之春華生章堂。百年之光。何俟乎餘人也。苐當揭之堂壁。以誇兩山之靈。有友人惠一壺方滿酌。筆不成胡亂不誅。伯公季氏平安不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聖遇 【鴻求】書 雪裡奉書。知于禮利竹仰賀。而重闈患節。隆耊氣力。當寒調攝。如涉獨木橋。易致失度而當不日康復。方吉慶溱集閨閫爛然。安有他慮也。恃而無恐耳。酒育波及空山。使陰崖積雪。頓覺滿室春氣。勝似鄒子律一闋。可感惟祝。湯節夜間慶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鄭德卿 【休湶】書 此爲德卿書耶。風雪滿空山。何爲而至者。白衣使者。扣門呈凾。已知其爲吾友手畢也。非此人。環顧世間。無人問我死生。扣凾果然且承。省候康衛。履庸珍重。何等仰祝。何等願聞。弟近日事。非但虎食其外而已。他何足云。食物之饋。種種珍感。豈窮山所可得哉。夢告羊踏今夜事否。何當踰嶺。惟待僊然之期已耳。知我者何必鮑叔也。簡慢眼昏手顫。姑止是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閑吟 兀坐山亭放浩歌光陰猶速夢南柯雨着揶蕖紅設錦風翻野稻翠成波栖身林下俗累醒出脚塵間腥氣多庭前老樹秋方近蟬曳寒聲得意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象岩亭 衆岩層積地偏靈卓立奇岩眞象形庭前明鏡波心淡簾外活屛山色靑詩客登臨開錦橐賢儒輩出照文星滿眠景光挑興致遊人渾忘屐笻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林泉避暑 凉在林間寒在泉汗流氣喘會綿綿陰籟爽身遮午日水精快胃忘炎天長安棚錦今難設河朔酒杯孰更傳碧濤翠盖別天地伏熱消過流水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雲峰洗硯 喚笻理屐晩登樓四野風光兩眼收故人情月遛琴上高士詩風鳴軸頭誦經老鶴聽門外洗硯衆魚呑墨流晩代猶餘前代俗也從特地餙淸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侍講院文學箚子 早建儲貳輔養睿學沈爲宗國固本之計云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經筵侍講啓 天道積漸而成寒暑聖人久於其道而天下化成唐虞之三考黜陟幽明漢室之居官長子孫乃其遺意也後世多數易此致效之所以不及於古我朝任宮久於其職而近年以來患數易六曺各司之官或一月再遷一年三五況守令必須遲以歲月方可見其成效而更代迭遷往來交錯人不率政令吏不究心力民瘼不遂政疵未袪內外之道須久任責成然後百孔允釐庶績其熙而進賢退不肖固爲致治之要道必須人君之權度精切不差其於取舍辨別之間可無賢愚混殽之歎此明通公漙之爲聖學先務也伏願殿下懋哉懋哉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