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安順之求禮 君之發旆何日明日果歟五馬意氣吾不欲見呵仕後當進照遲景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蓼川主人拜復 君乎大樹之來守山城纔閱一月而窮老之境得接故人兩度之手音何其千一之幸也如是乎孱羸此身動皆有所依倚自此以至六期之間庶幾保得無他虞也以吾之私慰尙幸君續來遇以相對展積鬱之胸襟也願以此懷傳諸常常君瑑之字字之難前書求已惠須之他若必縈之不已則姑徐徐以待賢甥之來去也君更示之何如山花雖脫香猶不沫且水石幽奇處最宜初夏躑躅時母負之謹拜不具三月十六日病斗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移捿城西【在京時作】 十年京洛客南北幾移棲今日携書卷又來宮郭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江遭風 風逆波濤壯扁舟未可行中流頻出沒一日百愁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丹葉 白髮塵問客丹葉洞中春明年楓亦至寧作未歸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跋(2) 右我先祖新齋公實紀一部而公曾被己卯之毒禍所述作十不存一雲仍茹痛庸有其極僅拾於斷爛之餘且攷諸家集中而輯成者也嗚呼公際遇中廟盛朝私淑於佔畢寒暄傳業於河西眉巖繼往開來之功大得力於學問上己卯錄班可證而竊非後昆之所餦溢美也粤在辛未刊出若干文字訛謬顚錯猶未成完藁而且行狀與墓文之未備實爲子孫未遑之致也然猶恐其閱世愈泯乃與族弟時佐時璥合議重刋以爲廣布壽傳之計豈不爲周雅所謂聿修厥德之義乎工告訖敢述其顚末云爾歲在辛卯三月旣望不肖后孫時日謹跋崇禎紀元後五辛卯鳳城開刋【崔益三寄此一冊入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晦仲【姓名不著】 臥病嗟何及門前更無人世情本如此那必問姻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心經 秉燭心經讀胸中自瀅明天然性理說依與聖賢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客中偶吟 昨夜霜風動悠悠客子悲囊中無一物那得醉淋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灌園集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節義薦 故學生丁之雋草野寒士世襲忠貞父主簿有成壬辰虜亂給餉有勞贈工議祖進士孝子巖壽宣廟己丑抗疏討逆至于之雋濡染家法行義學識蔚爲士林之嚮眼丙子虜亂南漢圍急自上下哀痛之詔之雋奉旨奮泣倡發義旅矢死赴難至淸州聞講成北首痛哭隱於赤壁遺世終老其後道內諸儒五度呈書請褒而終不以聞物論惜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文瑞麟詩卷 三十年前忝玉堂令渠寫字作文章交情豈以常流間誠意能於拙者長有子五人傳素業無錢一貫辦新庄只應同我資淸苦白髮蕭蕭食大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黃景文【廷或】 舊日淸都侍從臣分符出牧海西濱升沈自是因時論得喪元非疚正人不恨功名三舍退要將民物一時新高文邃學推吾子榮宦華啣愧此身忠藎可能聯出處歸休行共避埃塵衰容欲寫淸江水病足難投廣石春不啻靈犀通肺腑應知石友照精神黃堂政績仁聲洽碧海遊觀夢想頻賈傳久無宣室召蘇仙佇見邇英親聖朝會下徵黃詔家傳經綸益自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東郊韻 山下人家隔水炊殺鷄爲黍慰朝飢村深錯訝休官早材大應須作器遲投老過從元適可向來寒暑自推移秋曹倘得閒公事準擬同君日課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別叔父赴京 心如風旆每悠揚萬里江南恨共長鴻鴈影歸燕市月脊鴒飛急薊門霜壯遊聞健宜無恙新語觀周賸帶香忝侍講筵難遠別阿咸含淚獨彷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諸書記述 林先味曹義生孟氏閔普文官郡事蔡貴河李孟藝朴湛官典書田貴生官三司左尹兼密直提學具鴻政丞金沖漢禮議閔安富禮議麗亡或死或遯俱著忠義【松京志】田貴生官直提學初入杜門洞後逃八絶島諡文惠號耒隱【南公公轍高麗名臣傳】洪武二十五年壬申卽麗氏運訖本朝受命之際也忠臣烈士之徒罔有臣僕之志齊登松都東南峴掛朝天之冠戴蔽陽之笠因南登不朝峴各言其志田貴生曰深八於山耕者誰知【邊公宗胤不朝峴言志錄】當時全節人吉冶隱車雲巖外若閔公普文蔡公貴河具公鴻李公孟藝朴公湛田公貴生金公沖漢閔公安富朴公門壽趙公狷表表司稱而其家乘槩謂始八杜門洞後分散各處【徐公有防續志錄】高麗之亡如圃隱鄭先生固不可尙已餘若吉冶隱金籠巖元耘谷徐掌令李處士之倫皆昭在於麗史又有李送月金白巖蔡多義田耒隱諸公雖皆晦於古而顯於今其自靖罔僕之義一也今無容更評【鄭公宗魯杜門洞實記】英廟庚申幸松都駐驛不朝峴感故事賦一句命諸臣賡進聯句勝國忠臣勉繼世【御製】分明鑑戒在興替【都承旨閔亨洙】地因人重名猶傳【同副承旨金尙魯】里隔山深迹自翳【右副承旨趙明謙】積累周開八百年【左承旨韓師得】狂昏秦失千萬計【左副承旨宋敎明】杜門洞邃餘風聲【記事官李會元】善竹橋荒尙晝曀【別兼春秋金漢喆】豈但彝倫當日扶【兼春秋權瑞東】須看懿節至今揭【廳注書洪益三】愚忠只願爲良臣【修撰金尙迪】聖德宜思鑄盛際【修撰鄭彙良】七字銳珉還輦道 猗歟褒綍詔來裔【校理南泰齊○不朝峴聯句】高麗忠臣不朝峴【不朝峴碑】我聖上卽阼之十六年秋九月戒鑾輿謁厚陵歷幸松都訪故事父老對曰敬德宮之前麓卽不朝峴昔我太祖大王卽定鼎御是宮試諸生麗之臣庶不朝走踰于峴峴以是名其詳有府誌在上駐駕路次顧瞻咨嗟曰有表乎僉曰無上曰此忠臣遺蹟也宜旌而褒爾守臣刻高麗忠臣不朝峴七字于峴臣若魯承命訖伏以思之惟我聖上遵先朝舊事光臨故都撫興亡之迹而官王氏之裔奬文忠之節而碑善竹之橋聞勝國之忠義而又思所以永樹風聲是誠歷代帝王之所未能有者而我聖上有之表懿烈扶世敎於千百代之下於乎休哉臣忝守玆土獲覩盛事不勝欽誦碑旣成謹附小識以詔于後崇禎紀元後再庚申冬奉敎建嘉善大夫開城留守兼管理使【臣】金若魯謹撰【陰記】勝國忠臣今焉在特竪其洞表其節【杜門洞碑英廟御製御筆】崇禎紀元後百二十四年辛未季秋追感杜門洞前朝忠臣七十二人節命錄其子孫豎碑洞中寔予卽阼二十七年也【陰記】傳曰今覽松留狀聞杜門洞七十二忠深用愴意焉特書十四字以下令刻竪表志仍爲設壇致祭於其洞事【傳旨】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