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李斯文 春書未復秋函又臻與人無信之責歸於弟損愛人以德之義著於兄益則才分檟梧品殊桂葛而匿瑕如瑾瑜藏疾如山藪可謂金石其交膠漆其誼者也書後有日喬堂患侯無損棣節俱是無妄文軆恒愉於刀圭之所遠在江棷擎献山斗弟省省齊寗庇庇周稔幸也十分餘何奉浼餘撓撓不罄惟祝陔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內弟許博士【桂】書 向還得無事而扺。家間諸節近若何。君雖鱞也。上有大母歸家。有獻笑納驕地。以是仰慰也。吾輩須於窮頭硬着跟。勿以是過去禍色爲疚。如何如何。伯氏不欲一問我新居否。我看靈溪新居。昨夜月三更到此今朝日三竿。向彼兩處移接。如蠶絲牛毛。雖巧曆不能筭也。到此不能問君喪。豈理也哉。然吾以此歲計半。作靈溪人隣洞人耳。爲是稍慰矣。世聞日非夕陽。䑓重修是急。此處亦有數三君子。願入蘭稧者。幸須從速成錄。使動樂山光一倍生色。如何如何。臨行怱怱。從近當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許博士書 小奚負壺走空山。華凾翩翩上案。楓嶽山色一時生春。因審履用珍勝。何等願聞。伯氏脚腫何若是支離。新陽鼎鼎。便是萬褁新藥不遠當服。是祝是祝。老從爲看川兒再卺。固守巖屋。如老猴棲石窟。波沱經日。安有善狀向人道者。苐婚日比隔兩腋習習欲生風耳。方把筆作答兩位。堂阮惠然入門。書所未悉。詳悉無餘。今日隣里也。何慰如之。遠擧日當先訪魯陽。伊時對討。餘姑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佛川祈雨祭文【代作】 曰維佛川。古矣揚靈。滲漉攸霑。鄕人以寧。赤魃肆威。日長之丁。穉苗將枯。心如結酲。庶幾雲霓。忽焉月星。一念晝宵。頼有冥冥。冥冥孔昭。惟民是聽。怛焉肅恭。牲酒肥馨。以類相求。神德利貞。庸祈景貺。膏雨其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靈隱壇祈雨祭文【代作】 內藏其邃。山回匝只。有擅其屹。神所躡只。有願斯禱。必明答只。與雲曳雨。岸刻集只。向旱炎炎。民於悒只。一霈及時。秧擧挿只。高田旣亢。澤未洽只。移苗向茁。思復浥只。殷此民國。願陰攝只。隨時斡旋。如梯級只。若無秋望。民斯溘只。我祀惟馨。遠于告只。頻布靈澤。蘇百穀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松沙少先生文 丙辰十月二十八日。松沙少先生。卒於沙湖之寓舍。將以十二月二日丁酉。合封于夫人崔氏之葬。袒免弟宰。謹以一豚一壺。哭訣于先生。千載在前。先生之去者幾人。千載在後。先生之來者幾人。去者吾知之。來者有能如先生者乎。嗚呼。千秋而萬春。謹爲朱先生。祭蔡西山語。嗚呼哀哉。嗚呼痛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霷月雪朝請 上冬近晦小春將暮巽二借靑女之寒威滕六行玄冥之嚴令而銀浪濺於雲漢玉塵飛於昆岡使此無花之江山變爲梨花之世界則古人所謂地疑明月夜山似白雲朝之句必軆之於化工之妙而云矣哉如此良辰詎可無煖爐之一會哉若鄭綮詩思常在灞橋之驢上子猷宵興亦在剡溪之丹中此日兄我之懷似當一般於上友矣兄本郢雪之高調已播於文場矣高門母作袁安之狀而惠然來臨醉龍門之廚傳任兎園之簡授詠六出之花遂成鹽虎玉龍之佳句以做他日之宰業如何預掃巷口如元寶之故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至日請 白雪粧千山之面黃鐘報一陽之氣以紅繡之線而量其日影以赤豆之粥而除其疫鬼此時履長之節也山陰之興灞橋之思尤倍於他辰彼此雷然矣此邊辟寒之物雖無南海之鰩魚北方之磎鼠而但列坐於博山之左右啜防風之粥醉煖玉之林則風刀未穿氷針自消不待葛仙之吐火而滿座之人皆如挾纊矣況又吾兄以錦繡之文陽春之調來臨于此涸陰沍寒消融於和氣之中哉卽日枉駕咏岸柳帶臘山梅衝寒之句以追杜工部小至之詩則亦一時之盛事勿以古叟之三不出而辭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圍棋請 長日如少年大暑來酷吏柴門寂寥藜笻踽凉雖得薑桂之物氷雪之丸難以淸心洗衿矣此邊之古松流水與蘇仙之古舘而同隣淸簟踈簾與杜翁之舊居而幷閈則每誦獨樂園詩棋局消夏之句而寂無一朋來敵是何諸益之遐棄乎敬請仙杖一投于此門圍巴翁之橘枰賭荊公之梅花而其中尤有妙理上觀天地之象次監帝王之治中察五覇之權下探戰國之事而潜心於虛實之際決機於勝敗之間則不覺三伏之有無兩曜之往徠而但以局上蛛絲係其陽鳥之足如魯陽之戈虞公之釰如何預爲設枰高待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尹潤卿【五首】 東走干戈阻西歸道路難還思鹿門隱何處此身安共把盈襟淚今朝乍別難黃雲滿關塞何處是長安不道吾君在相逢共解顔干戈猶滿地奈此別情難援琴君子夏病謁我長卿海國春風後山南水北情故人林下意不願世公卿盡日溪邊坐靑山知此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禹令公汝嘉來訪求題其扇 多謝枉車騎松江水一涯銀蓴與霜蟹白酒又黃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贈修僧 西岳經年住南來路渺然山陰石有室雲壑竹爲椽禮佛鳴晨磬烹茶夕起煙東巖更待月一卷蘂珠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用前賢韻寄題松湖堂【三】(淸陰) 地到南溟盡天分一面山柴門臨水闢松路入雲盤亂世輕高士嚴程笑熱官無因同隱去惆悵歲將闌【淸陰以御史入濟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贈安兵使【大勳】令公 圖畫雲臺上旌旗汭水邊中秋有明月一醉庾樓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曉起口占呈金淸陰【尙憲】 簷月正西轉禁城鍾動初南飛一行雁欲寄故園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後山韻【尹〇四首】 臘盡江梅暖氣催此時誰與把深杯愁多秖爲身多病時出柴門待友來身病沈綿妻病遲菊花時到臘梅時愁中無計生涯事問藥隣醫喚小兒才不如入本自羞騷袜幾許謾垂頭年來又在沈痾裏逝水光陰不小留珍重新詞寄兩牋沈疴彌月謝無緣深情付與歸人說更向牕前作一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花開縣敬次一蠹先生【鄭汝昌】 琪樹蔥籠瑤草柔古仙遊處幾經秋雙溪隔岸花開是更仰當時第一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用漢陰【李德馨】韻贈惠雄師 雙溪曾是訪仙遊杖錫南來又一秋歸夢不孤靑鶴月有時飛上石門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頭輪寺吟呈伯胤叔度兩學士 一山秋色錦成堆暫許仙曺學士來殘衲亦知供好事夕陽移席水東臺次 淸陰亂笛雲嵐濕欲堆海風將雨送詩來行人不作留連意日暮摳衣又下臺次聞說雲山紅葉堆偶牽幽興此中來松溪畫日忘歸去爲愛寒聲繞石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詠以贈寶雲西行 弊廬南海曲西憶阻秦畿村榼松醪滿林園麗日遲巖花紅映檻水草綠侵扉無限閑居趣山僧共不羈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