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序 錦城西三十里强舞鶴山之趾居平鄕에有一祠하니卽錦溪魯先生認의獨壁妥享之所也而抑亦襲其號焉하야扁其楣曰錦溪爲者는確乎得域中搢紳章甫之駿發之議而始建于正廟戊申年間矣라然而至于純祖戊辰也에不幸見灰于回祿일세卽爲之重建以來者七年之甲戌春에士論이齊發하야躋享其九代祖武烈公岳隱先生愼于北壁而遜之하고錦翁則次于東壁而配之인데祠亦改之以此居平之扁者는蓋爲其避嫌於岳翁而取諸地名爲也러라仍以妥其享而爲依歸之所乎爾者迄于高宗戊辰之間則殆五十有餘年矣라不幸有大同毁撤之令而爲墟乃已하니誠可慨歎也로다十數年後壬午에以朝令으로設壇享之而至于五十有三年之久之甲戌也에盍其謀於後孫多士而鳩財劼力하야始得復設焉일세庶乎得士氣之復振이러니胡爲乎光復後庚寅에又復爲墟于燹擾之中矣라其爲於邑이當復如哉아乃於翌年辛卯冬에卽爲之重設而越二年癸巳에踵以創建一齋於祠之砌戺下陽明處하고扁以經義者는竊取諸胡安定講明經義於湖學之義也러라於是에以岳翁九代孫冠巖先生鴻으로追以配於西壁而安之焉하니라然而若擧其三賢翁行治能事之梗槩而言之컨데岳隱翁은以麗季鴻儒로志節이高尙인데與李牧隱鄭圃隱吉冶隱李遁村朴漁隱諸賢으로交以道義라恭愍朝에以監務로歷正尹上護軍하고己亥에與我太祖와安遇慶으로討平紅巾賊하며壬寅에又與我太祖와黃贊成裳으로討平金鏞之亂而恢復京城일세俱策一等勳하고戊午에請行大明年號하며戊辰攻遼之日에又明尊攘之義하고及麗運訖에與四十同志로掛冠杜門於寶鳳山이라가後歸于咸豊采邑而月朔每望哭松京이러니及卒에贈諡武烈하고錦溪翁은以倜儻不羈之姿로師事李栗谷而中宗壬午에中進士하고乙酉에以學行으로薦別提러니宣祖壬燹에從權元帥慄하야屢立功於幸州宜寧인데丁酉에被俘入日本而抗節不屈하고己亥에遇明使林震虩하야同舟而到閩中이라以徐宗師匡嶽薦으로入朱子武夷書院하야講論經學하고酬唱詩韻하니院中諸生이皆稱賞曰海東夫子러라是年夏에上催歸原情疏於神帝에有祥忠武節之稱之命而賜還本國하니宣祖有教曰得全素節에皎然本心이라하고又曰古有社稷之臣이러니今爾近之라하니라庚子에登勸武科하고甲辰에與李統相慶濬으로擊破餘倭於唐浦하니有御賜勝戰圖요丙午에歷水原府使하고丁未에又歷黃海水使러니未幾에以鄭仁弘所詆로貶于群山이라가光海朝에謝病歸鄕里하고冠巖翁은身長이八尺餘而體大過圍하고廣額方頤而面如斗髥如戟하며勇力이絶倫而韜略이精熟이러니宣祖壬辰에以權元帥薦으로除桃浦萬戶한데翁이卽整船而赴李忠武陣하야露梁大捷에錄原從二等勲하며增秩至訓鍊副正하고庚子에登武科라除臨淄僉使러니未幾에辭歸田里라가光海戊午에與金將軍應河와及同鄕壯士卞德馹로赴於中朝하야請兵渡鴨綠江하야入遼而深河之役에斬獲이甚多而戰久之餘에忽矢盡釰亦折이라竟與金卞兩將으로同死於節하니神帝幷祭金魯卞三將軍文略에曰秋霜大節이요白日精忠이로다身雖死於一敗나名不死於萬古라하고又曰五岳은可動이로되一節은難動이로다忠如將軍이요勇如將軍이요智如將軍이라하니라竊伏惟此三賢翁之挺生于咸平氏一家而後先也에德業之博洽과文章之浩瀰와忠義之堅貞은一是同串而若其展施於出處用舍之間者는雖不無異同이나然이나推其本則亦一揆也라以故로士林之景仰이若斗若山而爲依歸之所者殆積有歲月之久且遠矣라抑間於此而章甫之會之時多라咸曰祠不可無誌而古則但記其創與重建也와撤與復設也와且躋而壇而追而享之之時而已요餘皆散逸無存則無乃置之可也로되若今亦無誌則將何以備後日之無徵也耶아早圖之可也라하야以是有言者屢矣러니乃於今者에朴上東李承萬數斯文이適同任於祠中而岳翁後孫仁塾潤根炳祚洙昌四彦이俱是能事者也라相與之裒輯其三賢事蹟梗槩之顚末과及祠中將事儀節之若干하야抄而成一卷하야付諸剞劂氏할세謁余置一言于卷端커늘余老且病而謝筆硏이久矣라辭屢矣而不獲命하고遂略識其事實云爾로라光復後丙寅小春節後學坡平尹堯重謹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瞻謁儀節 士林有請參拜則居齋人具巾服自左夾門引導布席階下再拜若請奉審仍升階上開門而入謹嚴循位退出閉門【但院中歷吏等說話出門後敍事若參拜人無巾服則借用院內備置巾服雖緦麻之輕服在身者不許參拜奉審奉審人姓名必無漏記載於奉審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中丁國忌相値季丁退行告由 今春(秋)享祀適値國忌季丁退行敢告【中丁前一日焚香先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國恤中停焚香告由 宗社不幸某月某日大行大王(大王大妃)禮陟中外震驚哀痛普深來朔(今望)焚香公除前禮當姑停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停享祀告由 大行大王(大王大妃)因山未訖今春(秋)享祀禮當不擧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廟宇修葺告由 廟宇頹圮滲漏床席不勝惶悚將加修葺謹以酒果用伸虔告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院任望帖書式【幷送呈書翰】 望姓名本院何職某年某月某日茅山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皮封圖 皮封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送呈書翰 伏惟時下尊體上萬旺仰頌仰頌第今次本院齋任改選【補選則云補選】而某職【掌議或曰色掌】之望歸於座下故望帖玆以修呈幸須入齋將事之地千萬千萬餘不備禮某年某月某日茅山祠儒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望帖書式二 望姓名來三【秋云九月】某日中丁本祠春享【秋云秋享】初獻官【亞終獻諸執事隨稱】某年某月某日茅山祠皮封同前送呈書翰伏惟時下尊體萬旺仰頌仰頌第今次春(秋)享在於三月某日【秋則云九月某日】中丁而某官【獻官執事隨稱】之望歸於座下故望帖玆以修呈幸須前期一日入齋將事之地千萬千萬餘不備禮某年某月某日茅山祠院任何某何某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院中土地記簿 全羅南道羅州郡細枝面龍山里貳貳〇香地 壹壹〇七坪臥雲里壹〇壹壹番地 八五〇坪龍山里壹八貳番地 九六壹坪貳貳壹番地 八五六坪城山里八參五番地 六四八坪八參六番地 八貳貳坪八參七番地 五五九坪八參貳番地 壹壹八壹坪八壹四番地 壹貳六參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朱子白鹿洞規 父子有親君臣有義夫婦有別長幼有序朋友有信右五敎之目博學之審問之愼思之明辨之篤行之 右爲學之序言忠信行篤敬懲忿窒慾遷善改過 右修身之要正其誼不謀其利明其道不計其功 右處事之要己所不欲勿施於人行有不得反求諸己 右接物之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慕孝齋先生實記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講席圖 講席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藍田呂氏鄕約 德業相勤過失相規禮俗相交患難相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松石亭韻 千尺之松下庇石。共堪風雨相無斁。寄語作亭亭裏翁。胡然而白胡然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別大方 科目誤人今豈今。英雄從古老詞林。七十壯元非不賀。北風行李最關心。贐行不是山翁事。阿睹適然五百錢。此義野客講應熟。行橐貧寒遙自憐。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