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構堂始居吟【庚午】 索居底事臥深雲。別有泉聲隔夜聞。弟兄共硯仁何讓。儒釋同堂道自分。自顧山中憐獨我。遙望江上謝諸君。洞口朝陽暄雪後。樵歌無數好成群。蝸殼蟻封各有居。碧山結構問何如。百事還空咬菜後。一身渾忘聽泉餘。千里江淮分脈始。大冬松柏晦根初。誦經不獨空門在。走鹿飛禽亦解書。閒居無事愛晴嵐。朝起山西夕又南。爾亦世情耽水石。主翁自此汲泉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守性堂追輓 守性堂已古。我來哭筵前。傳宗懷簡戒。幽宅卜牛眠。分業敦文藝。訏謨置義田。信乎守性子。隨事率其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竹峯 陽春固非下里所和。而强驅塵腹。忘拙塞責。不幾近於刻畵無鹽。唐突西施耶。大雅寂寥久。何來得正聲。比興雖所本。觸感失其平。騁虛非逸韻。賦實是原情。詩兼書替面。猶勝參商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別三州橘隱 橘里元多橘。君鄕應獨君。南海拔乎萃。中州會以文。意到來立雪。水窮坐看雲。黃香未專馥。高價從此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坐 雪封雲鎖飽靑霞。何事難忘不遺遐。人非峽裏生長客。梅是臘前蓓蕾花。翁心求夜時看卵。兒意如籠每憶家。未了耄言聽者睡。三更月色已傾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百花亭重修韻 能世百花主。孰非願一遊。風流接往武。事業期前頭。會文臨好客。謀婦有新蒭。肯堂固可賀。源行孝思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酬靑陽林友 風雪是何遠客時。偏憐行色久棲遲。西湖多我從前債。南國留君去後詩。不携此地來靈運。寡和何村見子期。歲暮窮山嗟一別。人情安得不相思。靑山之下大江濱。臘雪初晴獨起晨。地近東方無一士。眼高南國見何人。驚世文章空十載。欺余白髮已中身。金丹歲暮漁樵晩。肯向人間回首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本倅金五鉉【丙戌】 向日患候平復。吏民相愛。足以知惠政之入人深矣。至於賤民。在化囿中。雖無一幅修。但誦通也。受賜大。不以爲罪。耑書俯存。速以參邦慶【大殿誕辰】宴席之末。敢不赴命。顧以傷暑餘喘。收拾精神。僅保朝夕。實無以致身於揖讓進退之列。深恕不置逋慢之誅。則幸孰大焉。千萬下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曺士弘【毅坤】 書中顔面託契。三十年未曾有。摩挲三復。矧審體上連享泰平。導迪兒孫。看作一身擔夯家政足矣。此外何求。地家禍福之說。旣知其妄。則所謂地理。不過土之吉凶。此亦不可不知也。三淵詩依敎謄上。祿休間遭末侄夭慽。悲何可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跋 右莘湖先生金公遺集也。竊惟公挺生於湛翁詩禮之家。承襲旣正。而又就正于蘆沙奇文簡公之門。薰陶者久。則德器益充。而志尙益高。視勢利紛華若浼。究心於性命之奧。畢生慥慥。造詣之深。行義之卓。屹然爲南士楷範。而惟於詩文之述作。不甚屑意。故所存盖無多。然皆平談慤實。發於躬行心得之餘。而非巧飾悅人者比也。故東江金公寗漢。嘗序其稿而曰。人以文傳者。所重在人。而不在文者。信知言也哉。公之殁。今八十有三年矣。其曾孫晶中。懼夫愈久而或泯。將付諸手民。要不侫一言相役。顧余耄昏。雖不堪當。平日服公者深。遂不揆僭易。謹書數語于篇末。以寓景仰之思云。辛酉孟春。延昌安鍾宣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失鷺 飲啄隨人守我庭。幾乎饕餮醉無醒。高低霄漢風將任。飢飽江湖天實聽。長颺縱敎形影失。固維寧忍羽毛零。鷺兮得所知其性。可奈雲山獨也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三石亭韻【小序】 奇司馬元瑞甫。得一區地於家近。作亭而顔之曰三石。辛卯秋。余始登亭。問名亭之意。柱主翁曰。亭前二石對立。故又添余一寓而以名之也。余曰奇哉名命也。遂步其韻。一翁二石渾三成。適意居然亭得名。不遇一生還奇遇。無情曠世却有情。卽物卽人須看合。於渠於我孰爲榮。聊將今日元章拜。先賀主人酒數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扶風尹雅【五言】 一面已知抱。此書感契深。營疏遺後計。意切奉先心。邊幅語前剗。衷情句裏尋。有時非不遇。白髮誤靑衿。凍天釀雪北風寒。七十旅窓棲屑難。猿鶴不驚山夜靜。芝蘭成列鯉庭寬。事皆付去別人做。心可收來自分安。蓬萊仙子前期在。月露茶鐺圓且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羊山歸路宿德峙年少家呼韻 七十周觀已病秋。住笻何事雙溪樓。竹期自量衰翁力。楓景全輸貴客遊。隙地論經雖善俗。有時拈韻是風流。望門行色還堪笑。可奈臨歧悵去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康津【庠珪○乙酉】 冠山歸路一宿。雖不見割鷄牛刀之痕。下車屬耳。豈可無後日之望。見書承近日啓居一安。爲慰爲慰。朞服人天冠海陬名山。宿債已償。頗覺神爽。不無行役之憊。莫非衰狀。奈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學官【維鉉】 春間一書。在筮仕後賀狀前。何等珍重。而至今逋謝悚也。文墨罕接。疏慵爲痼。每知舊往復。失便後時。安敢望寬厚善恕也。秋序已闌。伏詢旅中啓居候。對時增護。溯往憧憧。克齋兄向有書答。以楓期在卽。更圖償昨秋餘債矣。果有南爲聲光耶。記下朞服人。秋風病蘇。有誰挑發登山臨水之懷。如非黃嬭爲隣。籬菊相對。悠悠自遣而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學官 城主再莅玆邑。遺愛之民。延頸相賀。座下誼在不相離。已聞幷駕矣。則於先施拜書。謹審攘餘體候不至大損節。實慰瞻望。記下西關遠遊。出於大病後暢懷之計。今日小亭。營在晩暮燕息。皆是崦嵫日迫。發狂不任之致。其情則戚矣。何羨之有也。好呵好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忠正公誠齋柳先生奉安文 奕世勳業翹英勝國弱冠北學殊俗咸服整笏東閤客使知怪斥彼左敎扶吾正道直諫匡君竟以成仁巍然一祠士林薦芬不幸見撤今始重新伏惟尊靈庶鑑精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松村宋先生奉安文 伏惟先生麗朝侍中鵠嶺遺民罔僕矢志夷齊同倫杜門滅影抗節不屈仍遯高靈松林欝欝杏亭詩句龍潭漁謳千年松栢一夢悠悠江鱖山薇可以療飢旌招雖繁不渡漢江一片宋墩遺風淳尨舊紙實蹟易世不朽多士欽仰曾設廟宇不幸中間遞當敗運天道好德今更重建卜吉尸祝以妥以寧敢薦禋祀庶歆苾香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