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2년 정석인(鄭石仁)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鄭石仁 沃溝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756 1852년에 환부(鰥夫) 한량(閑良) 정석인(鄭石仁, 61세)이 옥구현(沃溝縣)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축년 친부(親父)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915 기축년(己丑年)에 친부(親父)의 묘소(墓所)를 택(擇)하고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택일기(擇日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묘년 친부(親父)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915 신묘년(辛卯年)에 친부(親父)의 묘소(墓所)를 택(擇)하고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택일기(擇日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31년 남상성(南相成) 등기 명의인 표시 변경 등기신청서(登記名義人表示變更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南相成 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 孫鎭瑩印 2顆(적색,원형,1.2cm)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 1課(적색,정방형,2.2×2.2cm)司法代書人孫鎭瑩印 1顆(적색,정방형,1.3×1.3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4226 1931년 3월 2일에 남상성(南相成)이 함흥지방법원 울진 출장소(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에 제출한 등기 명의인 표시 변경 등기신청서(登記名義人表示變更登記申請書) 대상: 울진군 원남면 금매리(蔚珍郡 遠南面 金梅里) 658番地 畓 412坪, 울진군 원남면 금매리(蔚珍郡 遠南面 金梅里) 663番地 畓333坪, 울진군 원남면 금매리(蔚珍郡 遠南面 金梅里) 42番地 畓44坪 금액: 등록세 80錢 참여자: 대리인(代理人) 손진영(孫鎭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忠篩祠奉安文 惟靈桓桓熊羆仡仡干城護軍慷慨武穆平生孝忠全德繩墨律己喪元初心裹革壯志虎躍英名龍韜石畵直道而行剛腸不屈數邑分憂百代淸芬邊備多聳注意方勤鹿島孤城咽喉南東九重承往千里折衝銘釼自誓貞忠報國死而後已無愧背涅島夷梗化旌旗蔽海釜萊失守嶺南瓦解棄兵相望疇敢敵愾賊勢騰風鑾輿播越羽檄星馳安危呼吸公乃奮義泣血催揖按釼抗辭主將動容樓船擧帆鼓勇洋中諸葛呼風祖生誓江四伐五伐電擊舂撞風雲合變奇正神謀烏號星發浮屍塞流如雲賊艘迎刃破竹推鋒乘銳所向無敵漲天烟焰讋鬼軍聲淮陽保障益州威名自夏徂秋荷戈被甲師直爲壯大勳將集天胡不祐毒丸遽及賊未盡殲公豈瞑目氣作山河光幷日月宇宙棟樑歲寒松柏敵人推沮乃公之烈宗社重恢乃公之績至尊震悼朝臣嘆服立祠贈秩弔祭褒旌竹帛英風泉壤疏榮矧我南鄕賴免魚肉到今受賜景慕彌切鏡湖一曲仁里之傍署廟妥靈應幾洋洋千秋香火自今可繼謹將牲醴恭伸奠禮遺遠徽如昨聳動後生瞻式有所小攄微誠牛山安文康公邦俊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旌閭銘 嗚呼此故鄭將軍之閭也壬辰之變將軍以一褊將鎭鹿島左水使李舜臣大會諸將與議戰守策時慶尙水使元均求救甚急諸將皆畏縮劻勷横議百出舜臣亦疑危無敢決志將軍遂按釼大聲曰國之存亡迫在朝夕奈何獨爲身謀欲以賊遺君況湖嶺實我唇齒嶺南方急呼救至此而視若秦瘠將欲何爲言甚憤切怒髮衝冠諸將皆慴伏縮頸舜臣乃大覺愧謝曰非鹿島幾誤事遂卽日部署諸將整飭舟師直赴嶺南時四月三十日也師次巨濟之玉浦始與賊遌賊勢甚盛諸將氣奪股戰皆有逗撓色將軍以捍後將奮起大呼曰諸君任意吾不敢負國遂按劍促櫓直突賊船諸將始乃相繼進船殊死戰大戮之盡焚賊艘五十餘舳自是遇賊將軍輒自爲前鋒猶恐不先登遂入固城赤亭蕩賊巢穴燒四十餘艘俄進十巖遇賊大陣獨戰踣之又灰其四十餘船又誘賊閑山大蹂洋中全船斬獲七十餘艘屍浮成陸海赤波血又當賊安骨奮擊逐之大猶如此小不可盡數捷報續聞上特嘉之超授折衝將軍折衝緋玉之班將大任之也九月轉戰至釜山時東萊海尉之間爲賊大營窟複屯相接將軍望見賊藪挺身鼓勇欲與決戰助防將丁傑危其輕進固止將軍將軍不聽曰此吾死所遂促船以戰士無一不敢死酣戰至夕中丸死之實初一日也一軍沮喪大事遂去此非志士英雄千古沾衿者歟敵人相賀曰鄭將軍已死餘無患矣噫天禍吾東奪我將軍雖使大勳未集顧其精忠義烈撑柱天東又令兩湖生靈得以安堵於五六年者寔將軍以死捍賊使不敢西搶之功嗚呼偉哉將軍名運字昌辰本河東大姓中世移居靈巖遂爲靈巖人以材力進常恥早孤失學旣投筆猶酷嗜文史通曉古今日用書牘亦不讓人爲人慷慨倜儻智勇超絶莅官處事小有不可意者萬夫雖奪嘗一爲郵官再典縣邑皆以剛果去宣廟辛卯島夷有叵測覬覦志朝廷以鹿島爲湖路要衝特揀將軍以重之至是訃聞行朝至尊震悼嗟惜曰舜臣之赴援嶺南運實力贊終乃力戰以身殉國褒贈特加令立廟鹿島多置田氓歲以饗祀且命爵其後承賜祭旌閭其後巖人又建祠其鄕賜額忠節噫聖朝之報施將軍其亦至矣子孫懼其遺烈世遠或泯請於門楣略識其語俾行路人知所以式之遂爲之銘銘曰烈烈忠赤炳炳日星式此門閭以樹風聲崇禎紀元後重光作咢餘月上澣申命主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鄭忠壯公實記序末段 嗚呼公志氣骯髒不隨俗低昂故官最卑及其臨亂奮發扶義而動推理而行定籌倡勇至死不悔用能摧賊鋒而捍國難以基重恢之偉績雖其身先殞而功莫與京昔張巡許遠蔽障江淮成唐祚不亡之功公於其曠世同歸而若其以微官而能首事比兩人又加難矣公沒未幾忠武公又死於忠意兩公英魂毅魄化爲風霆迅掃妖氛廓淸左海精光不磨與日星同其悠久其生也洵不虛生而其死也眞不死矣不佞嘗遵海而南登沒雲臺臺上有公碑以立慬之在玆也想像當日事若目擊其桴鼓盪海斬殪鯨蜺有蹴馬島擣江戶之氣仍無碑釀涕祗回久之不忍去也噫沒雲之名與龐士元落鳳坡同生死自有前定所謂與天地相終始者距不信哉或有以公之未躋麟閣謂有欠於旂常之典而公赤心殉國已不知有其身又何恤身後之名哉凡君子之道不論身之貴賤位之高下不能一日忘其君者爲有以盡臣子之分耳以故從古取義之士不在於世冑崇班而多出於落拓不遇人主所不識何狀之流此其故何哉落拓不遇者必不肯苟循時好用全其天器也公之所成就亦由於輕爵祿而重名節有本者如是夫公後孫在天輯公譜系誌狀及公私文獻爲兩編謁序于不佞不佞嘗服公精忠大節托名卷端以效其區區實與有幸不敢以癃病辭而爲之敍如此云爾崇禎紀元後四丙午夏至日唐城洪直弼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李忠武公祭文 維萬曆二十年歲次壬辰九月朔庚戌初八日甲子水軍節度使李舜臣使軍官奉事宋希立敬祭于右部將鹿島萬戶鄭君之靈嗚呼人生必有死死生必有命爲人一死固不足惜而君獨可傷者國運不幸島夷作孽嶺南諸城望風奔潰長驅席捲所向無前都城一夕兇醜成巢千里關西鑾輿播越北望長痛怒膽如裂嗟我短拙討殲無策與君論難披雲見曜計定揮劍戰艘相連決死掛席冒刃先登倭奴數百一時流血黑烟漲天日東愁雲四度報捷是誰之功恢復宗社指日可期豈意神天不佑毒丸遽及彼蒼者天理固難究回船更突誓欲報怨日且奄暮風亦不順未遂所願平生之痛豈過於此也言念及此痛若割肌所恃者君更將何爲一陣諸將痛惜無已鶴髮在堂已矣誰將抱恨窮泉曷時瞑目嗚呼痛哉嗚呼痛哉才不展時位不滿德邦家不幸軍民無福如君忠義古今罕聞爲國忘身有死猶生長恨世間誰識我心含哀致誠遙奠一酌嗚呼痛哉尙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安牛山釜山記事末段 故朱上舍曄嘗過吳姓人於興陽地吳自亂初從舟師終始有功者以諺譯爲日記詳悉曄依其錄作一文字來示余余卽刪其煩蔓補其闕略名之曰釜山記事使後人知國家之恢復由於湖南之保全湖南之保全由於舜臣之水戰舜臣之水戰皆出於鹿島萬戶鄭運首事嘗試之力也元均則於前後之戰頓無尺寸之功而當諸將破賊之時隨後取馘諸將又各以其所獲分載於均均之所得最多於諸將故其時陣中有收匙飯多本飯之說均之於舜臣恩固不貲而均便生奸計虛張聲勢欺罔君父使其腹心軍官先達于行朝及大駕還都公論稍行則均恐其情狀敗露反因緣行賂誣陷舜臣無所不至以爲有異志舜臣終至於拿鞫均代之五六年完裝舟師所用器具一朝蕩盡均之罪固不足道任事之臣於心安乎大抵壬辰之變水陸事蹟朝廷一從諸將之狀啓故凡所記錄種種無一可信而至於鄭運之死於水戰非徒人人之所共知舜臣之狀啓明白尙存而忠臣傳乃以陸戰書之則其他可知余每於如許等事不得不明辨者良以此也覽者勿以爲罪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趙直敎【丁酉】 客冬鄙覆中路相會之說。承順兄書懇到而云。然非自我所創出。而始聞于聖華所傳云者。殆非承接前書之意。冷然無溫煖之氣。如非心灰氣落。必是其中有所啣耳。講明義之一字。莫過於此。當此之世。不得不明之。而聽若不聞過去。書末節飮食愼言語云者。亦可謂隨答乎。大違平日所望。寒暄非所敢問。止此不長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趙直敎 向覆激於兄書沒實而云云。今承條陳。理或然矣。有何深意也。向擬隨兄引鞭。承此望弟先導。衰可想矣。兄雖加弟無病三年。比弟五年吟病。固爲尙强。兄亦老矣。此生前相面難期。書亦幾何。紙上攄懷。亦從爲時諱寒暄焉。庸拖長爲乎。不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趙季豪【性宙○乙酉】 見頭流。得吾兄頭流常在眼中。兄何可一日忘也。但書中顔面託契。數十年來未曾有。摩挲久不能釋手。書後日富。棣體更若何。種種溯往。弟朞服人。悠泛依舊。衰狀轉深。案上佔?。不疏而自遠小人之歸決矣。自憐自訟。不知爲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南坡集後 公卓犖不覊。胸藏萬卷。不喜文章。慷慨言古之人古之人。夷考不掩者耳。足可謂南州高四矣。斯集之行。求公於言議之表。而不以文章。則庶幾焉。其行與事。諸人之述備矣。今於强請一言。剔實而副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德松松屛 德松得畵松一本。誇以妙入三昧。傳神在此。欲得立言。傳之無窮。爾形古詭。松身蒼古。旣號且畵。亦可謂善形容矣。釋道色空。松德後凋。道德已是畵。不得傳神之言。言太誇。成住壞空一句。此豈非爾佛祖秘傳要旨耶。異日超上乘見性之日。形色俱空。言語途斷。身且不有。何暇論其傳不傳於有無也。題此一言。把作竹篦三聲。亦豈非頓悟界耶。師其會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大方月夜吟 洞裏鳩笻石逕鳴。黃花白髮際時行。琴書塵架還須拂。猿鶴秋園也不驚。客床山靜虛無夢。松子夜深細有聲。七十知非逐鹿日。鷄晨何事待窓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九月九日作羊山停車之行。越三日。會于德山齋。 庚熱已經又屬秋。詎能使我臥孤樓。菊約今宵還德月。楓期昨夜宿淸流。書堂獨步思高手。詩到擅場不讓頭。老去山中遐意在。少年何事莫淹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崔雅訪余山齋有韻。因次其韻。 觸處寒風萬樹鳴。空山寂寞有誰行。烟霞充腹吾何得。藜藿梗湯客亦驚。居然籬菊渝時色。自在冰泉送夜聲。如逢曠世源源約。各剩心燈一炷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相別三年逢趙友【直敎】喜吟 臥雲無事對蒼岑。穿路何朋萬樹林。堪歎望中先後約。須傾逢處短長心。夏燭頻桃山夜靜。瑤琴更抱岸松深。靑鶴黃龍如地縮。吾人不惜日相尋。詩成碁罷論文初。黃鳥轉淸千睡餘。貯景幾時須客至。暢情今日賸吾居。早年書釰心何壯。暮境猿禽計反疏。故人征策留難得。一約從知不我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華陽山水屛 朱宋夫子。二身一心。武夷華陽。異世一致。尊德樂道。載於大全。樂山樂水。想於圖書。武夷舊有圖。華陽之圖。始於何人。我則得之於郭氏。郭氏之摸。出於安氏。傳之三姓。摸亦非出一手。詎可無愈失其眞也哉。若見其書而得其意。按其圖而得其趣。圖書已屬筌蹄云。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